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유치원 교육실습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와 내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신수경(Shin, Su-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실습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 및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해 봄으로써 유치원 교육실습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N대학에 재학 중인 4학년 30명을 대상으로 교 육실습에 대한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와 내적 동기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 첫째,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는 유치원 교육실습 전에 비해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부정적 요인 인 실습 교직 업무부담 및 긍정적 요인인 사회적지지가 증가함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인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는 감소되지 않음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의 내적 동기는 유치원 교육 실습 전에 비해 내적 동기의 하위요인 중 내적 완성감, 내적 독립적 판단, 내적 성향이 증가함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인 내적 동기가 증가됨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육실습으로 인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직무 부담 등의 실습 업무 스트레스가 여전히 과중되고 있음으로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실습과정 중에 경험한 사회적 지지와 교육 실습을 통해 내적 완성감, 내적 독립적 판단, 내적 성향 등이 긍정적으로 향상됨으로 나타나 교육실습에 임하는 예비교사의 태도 및 가치관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어 전문적인 교직인으로서 발전 가능성을 보여준 연구 결과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on teaching practice work stress and internal motivation of pre-service child teachers,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This study collected data on teaching practice work stress and internal motivation of 30 senior students attending N university. I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llected data, first, for teaching practice work stress of pre-service child teachers after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among the sub‐factors of teaching practice work stress, job burden, which is a negative factor and social support, which is a positive factor,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that before the teaching practice. Second, after the teaching practice, for internal motivation of pre-service child teacher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was found in internal completeness, internal independent judgment, and internal dispos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internal motivation compared with that before the teaching practice. In conclusion, in this study, although teaching practice work stress such as job burden of pre-service child teachers due to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are still overloaded, through the experience of social support and teaching practice during the process, the internal completeness, internal independent judgment, and internal disposition, etc. were found to be improved, which is a result of research showing that the attitude and valu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who are engaged in the teaching practice change positively and show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as a practical teaching person.

      • KCI등재

        유아가 지각한 부모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유아의 규범적 행동 간의 관계 연구: 유아 민감성의 매개효과

        신수경(Shin, Su-Kyung),이현경(Lee, Hyun-Kyung)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1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facilitative communication perceived by children and children’s normative behavior,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9 children aged 5 years old who were enrolled at 12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G city.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24 classroom teachers these children.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parents’facilitative communication perceived by childre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normative behavior.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children’s sensitivity between parent s facilitative communication perceived by children and children’s normative behavior. It is thought that by increasing level of parents’facilitative communication as perceived by children, as well as sensitivity, may serve as a basis to suggest ways to promote the children’s normative behavior. 본 연구는 유아가 지각한 부모의 촉진적 의사소통이 유아의 규범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 두 변인과의 관계에서 유아의 개인적 변인인 민감성 요인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G시에 소재하는 12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만 5세 유아 240명의 담임교사 24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한 후 수합된 자료 중 총 229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가 지각한 부모의 촉진적 의사소통이 유아의 규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였다. 둘째, 유아가 지각한 부모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유아의 규범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민감성이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부모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유아의 민감성을 높임으로써 유아의 배려행동의 하나인 규범적 행동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방안 제시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창의적 체육놀이, 리듬과 멜로디를 이용한 음률놀이 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신수경(Su-Kyung Shin),김현정(Hyun-jeong Kim)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창의적 체육놀이, 리듬과 멜로디를 이용한 음률놀이 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한 S유치원의 재원 중인 총 60명이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12주 기간 동안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창의적 체육놀이, 리듬과 멜로디를 이용한 음률놀이를, 비교집단 유아에게는 실외자유놀이를 각각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 ‘기초체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ANCOBA 분석을 통해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첫째, 창의적 체육놀이, 리듬과 멜로디를 이용한 음률놀이는 유아의 기초체력을 증진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창의적 체육놀이, 리듬과 멜로디를 이용한 음률놀이는 유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through creative physical play, music and movement using rhythm and melody play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basic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e two group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types of play for the duration of 12 weeks. The two different types of play the experimental group was assigned to were creative physical play method and music and movement play method using rhythm and melody. The comparison group was assigned to outdoor free play using method. The basic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self-efficacy were measured to collect data. Data were analyzed with a mean, standard deviation, and ANCOVA on the pre-score and post-score to find out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ic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reative physical play, music and movement using rhythm and melody play activities in young children’s basic physical fitnes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reative physical play, music and movement using rhythm and melody play activities in young children’s and physical self-efficacy.

      • KCI등재

        한국어판 ‘장소안도감’ 척도의 타당화 연구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신수경 ( Sookyung Shin ),김찬우 ( Chanwoo Kim ),고은정 ( Eunjung Ko ),김현민 ( Hyunmin Kim ),서종건 ( Jonggun Seo ),이뿐새 ( Bbeunsae Lee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1 사회복지정책 Vol.48 No.3

        인간의 삶을 이해하는데 있어 일상생활을 하는 장소의 의미는 매우 중요하다. 고령 인구가 급증하면서 지역사회 지속 거주(Aging in Place)의 개념이 주목받고 있는 것은 이 같은 맥락에 기인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주거환경 개선방안과 같은 물리적 환경에 한하여 논의되고 있다. 이는 재가 또는 시설이라는 사회복지 서비스의 이분화된 접근방식,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장소와 삶의 역동성에 대한 이해 부족의 문제와 더불어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의 부재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에서 개발된 장소안도감(Sense of IBASHO) 척도를 우리말로 번역한 후,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여 국내 사회복지 정책과 실천에서 논의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재가노인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응답자 473명 중 분석에 적절한 451명의 자료를 활용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판 장소안도감 척도(Korean Version of the Sense of IBASHO Scale)는 원 척도와 달리, 3개 요인, 총 19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하위요인은 ‘물리적·개인적·사회적 장소안도감’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내적 일관성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해당 척도가 사용하기에 적합함을 검증하였다. 이는 척도를 구성하는 3개 하위요인에 적재된 문항들이 동일한 요인을 측정하고 각 요인이 서로 구별되는 개념을 측정하는 정도가 양호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한국어판 장소안도감 척도(K-SIS)의 개발은 사회복지서비스가 이뤄지는 다양한 클라이언트의 생활 장소에 대한 장소안도감 측정을 가능케 하여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places where people live in everyday is important. As the aging population is on the increase, ‘Aging in place’ has been noticed in the scope of welfare for the aged. When discussing issues about welfare for the aged based on the concept of AIP, the places they send most of their time are exemplified as only home or facility. In other words, this binary approach in terms of places only considers the physical environment. This may also be related to the absence of a scale to measure the sense of 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sense of IBASHO scale(K-SI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500 elderly people aged 65 and over living at hom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f the 473 final respondents, Using data from 451 suitable for analysis were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K-SIS were satisfactory. The K-SIS is Three sub-factors consisted of 19 item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scale is composed of 3 factors (Physical, Personal, Social). The scale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satisfactory construct validity. This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that the items in the three sub-factors constituting the scale are sufficient to measure the same factor and to measure the concept in which each factor is distinct. The development of the K-SIS will contribute to measuring the sense of IBASHO in the place where social welfare service clients live.

      • KCI등재후보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교사의 안전 인식 및 요구

        신수경(Su-Kyung Shin),김치곤(Chi-Gon Kim),오세경(Se-Kyoung Oh)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4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교사의 안전 인식 및 요구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장애유아 통합교육 환경에 있어서 안전한 교실 환경을 구성할 수 있는 효율적인 지침을 마련하는데 있다. 관련 변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 문헌분석, 전문가 집단, 유아교사 등의 협의를 통해 설문지를 개발한 후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의 2개 하위 영역으로 구분하여 총 4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55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일원변량(ANOVA)분석을 실시하였고 추후분석으로는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교사의 안전 인식과 요구는 교사의 배경 변인인 교육경력, 학력, 기관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safety recognition and needs of physical  environment for the inclusive education in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rior literature, research and arrangements with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and used to collect data.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2 items of 43  questions related to teacher’s safety recognition and needs of physical environment for  inclusive education in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55 early childhood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 and  kindergarte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ANOVA and Scheffé.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artially among the groups in teacher’s safety  recognition and needs of physical environment for inclusive education in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 KCI등재

        북한의 전후 복구 시기 조각 연구 - ‘일반조각’을 중심으로

        신수경(Shin Sookyung)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0 No.-

        이 논문은 북한의 전후 복구 시기(1953-1961) ‘일반조각’을 중심으로 6·25전쟁에 대한 인식과 전후(戰後) 재건의 모습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북한의 문예지·도록·단행본 등에 산재해 있는 조각 관련 문헌과 작품 이미지를 수집하여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고찰했다. 먼저 전후 복구 시기 조각 관련 문헌을 ‘소련 및 동유럽 조각의 영향’, ‘창작체험기’, ‘창작방법론’, 그리고 ‘전시와 작품 비평’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그 결과 195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소련의 영향이 절대적이었지만, 1950년대 후반이 되면 소련 관련 문헌이 줄어드는 대신 동유럽 국가들과의 교류를 보여주는 문헌이 증가했다. 이렇게 외교 채널이 다양해졌을 뿐만 아니라 이 시기 미술잡지에는 조각가들의 진솔한 체험기를 비롯해, 전시 및 작품에 대한 매우 구체적이고 날카로운 비평문이 실렸다. 특히 기념비 조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1950년대 후반부터는 민족적인 양식을 찾기 위해 신라·고려 시대 조각을 소환하기도 하고, 소련 조각을 이상적으로 내세우는 등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전후 복구 시기 제작된 ‘일반조각’에는 의외로 6·25전쟁을 다룬 작품은 많지 않았다. 오히려 항일혁명 투쟁이나 반미의식을 주제로 한 작품이 더 많은데, 이는 6·25전쟁이 미국의 한반도 지배 위협으로부터 지켜낸 민족해방전쟁이라는 인식에서 기인한다. 이 시기 조각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주제는 전쟁의 상처를 딛고 급속한 공업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천리마 기수들의 노력투쟁이다. 1950년대 중반 속도전을 표방한 천리마 운동이 1950년대 후반이 되면 ‘사상(의식) 개조’를 중점에 두고 ‘증산경쟁’을 결합한 ‘집단적 혁신운동’인 천리마 작업반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조각가들 역시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천리마 창작단’을 결성하고 자신들을 당 정책의 선전자로 근로자들의 교양 강사로 자처하며 노동자와 농민상을 작품으로 형상화했다. 아직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북한의 전후 복구 시기 ‘일반조각’을 중심으로, 개별 조각가들에 대한 구체적인 활동상과 작품을 살펴본 이 글은 그동안 북한 조각에 대한 연구가 집체창작으로 이루어지는 기념비 조각에 집중되었던 시각에서 벗어나 북한 조각계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보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article examines North Korea’s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and its postwar reconstruction through the lens of ‘figurative sculpture’ made during the postwar period(1953-1961). Based on numerous literary resources and images collected from North Korean periodicals, art catalogues and books, this study sheds light on a noteworthy transition that happened in the 1950s when North Korean artists shifted their attention from the Soviet Union to diverse countries in Eastern Europe as well as Korea’s past. In the mid-1950s when the influence of the Soviet Union was dominant, North Korean art journals introduced representative Soviet sculptors and Soviet articles translated by North Korean artists who had returned from the Soviet Union after years of study there. However, this tendency declined when North Korea began to diversify diplomatic channels and North Korean artists pursued a new source of inspiration not only in Eastern European sculpture but in Korea’s traditional sculpture from the Silla and Goryeo periods. While idealizing Soviet sculpture, North Korean sculptors also attempted to find ethnic styles from native ancient sculptures. There were not many sculptures which directly addressed themes of the Korean War in the postwar period. Rather they tended to represent the Korean War, along with the anti-Japanese revolutionary struggle, as a national liberation war. These sculptural representations intended to justify the Korean War as the historic national war to protect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military threat of the United States, invoking anti-Americanism. In the mid-1950s, North Korean sculptors featured the heroic struggle of Chollima riders amid the country’s postwar reconstruction and rapid industrialization. With the slogan of speed battle, the Chollima Movement developed into the Chollima Work Team Movement. While undergoing the rectification of thought/class consciousness and provoking increase in production, individual sculptors became avid propagandists of party policy and instructors for teaching workers and farmers. Among them, notable artists like Song Young-baek presented the model of the Chollima team leader and Cho Won-seok created many sculptural pieces to show anti-American themes. This article scrutinizes the field of study called ‘figurative sculpture’ which has been overlooked by art historians who paid special attention to North Korean monuments made by collective creations.

      • KCI등재후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자기조절능력과 휴대폰중독 정도 간의 관계

        신수경(Su-Kyung Shin),최경남(Kyung-Nam Choi)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4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개념 및 자기조절능력과 휴대폰중독 정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G시 에 위치한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2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이경화, 고진영(2006)이 제작한  유아의 ‘자아개념척도’, 이정란(2003)의 ‘자기조절능력 척도’, 이진영(2006)이 개발한 ‘한국형 휴대폰 중독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Pearson 적률상관 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자아개념은 휴대폰 중독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개념의 하위영역인 ‘친구 관계자아’, ‘일반자아’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능력은 휴대폰 중독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영역인 ‘자기평가’, ‘정서성’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 among young children’s self-concept, self-regulation and cellular phone addition degree. The subjects were 228 children in G city. In collecting the data, the ‘SCI Self-concept Scale’ was used to assess children’s self-concept while the ‘Self-regulation Scale’ was used to assess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the ‘Korean Cellular Phone addition Scale’ for Young Children was used to assess children’s cellular Phone addition degree. Pearson r was used to analyzed the relations among young children’s self-esteem, self-regulation and cellular Phone addition degre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cellular Phone addition degree is negatively related to young children’s self-concept and self-regulation.

      • 월북 미술가의 연구현황과 과제

        신수경(Shin, Soo Kyung)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3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2 No.-

        이 글은 오랫동안 금기시 되었던 월북미술가를 연구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우리사회에서 ‘월북(越北)’이라는 단어가 어떻게 통용되었고, 그동안 월북미술가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월북’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기준에 따라서 나누어지는 경계를 지나 북쪽으로 넘어감”이다. 그러나 한반도에서 ‘월북’이라는 단어는 공간의 이동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월북의 개념은 남과 북 두 체제의 대립에 의해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북쪽의 체제나 이념을 선택한 자만이 아니라, 규정 당하는 대상의 성격도 포함된다. 따라서 월북 미술가의 범위를 설정함에 있어 ‘북한의 정치체제를 선택한 남한 출신의 작가’ 뿐만 아니라 ‘남한에서 활동하다가 자기 고향으로 돌아간 북쪽 출신의 미술가들’도 포함시켜야 한다. 월북미술가의 연구 현황은 1988년 해금조치를 기준으로 그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전반적인 논조와 서술방식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고찰하였다. 1950년대 이승만 정권과 1960, 70년대 박정희 정권은 반공 이데올로기를 내세웠기 때문에 남한의 미술사 속에 월북미술가는 제외된 채 서술되어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다 1980년대 후반 들어 전 세계적으로 불던 탈냉전 흐름으로 인한 남북대화의 모색,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정부 정책의 변화에 따라 월북예술가에 대한 해금조치가 이루어지면서 연구에 일대 전환이 일어났다. 월북작가 인명록과 연표 작성, 관련 문헌을 찾아내어 목록화 하는 등 한국 근대미술사 속에 월북미술가의 위치를 재정립시키기 위한 기초작업이 이루어졌으며, 월북작가의 작품이 미술관에서 전시되고, 미술 전문잡지에는 해방공간에서 미술인들이 펼쳤던 활동과 북한미술 등이 기획기사로 실리는 등 월북미술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1990년대 중반 들어 월북미술가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축적된 연구 성과와 발굴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더욱 심도 있게 진행되었으며, 1990년대 후반부터는 개별 작가론으로 발전되었다. 가장 주목받는 월북미술가는 작품에 있어서는 이쾌대, 미술비평 분야에는 김용준을 들 수 있다. 1991년 대규모로 작품이 공개되면서 관심을 모았던 이쾌대와 전집이 발간된 김용준에 대한 연구는 한국 근대미술사에서 사실주의 미술과 미술비평계의 지형도를 다시 그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외에도 배운성, 김주경, 정현웅, 정종여, 박문원에 대한 학위논문과 서적이 출간되어 이들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졌다. 한편, 1991년 평양에서 발행된 미술가 인명사전인 『조선력대미술가편람』(리재현 지음)을 비롯해 북한의 미술문예잡지가 남한의 학자들에게 알려진 이후, 월북미술가들이 북한에서 펼친 활동상이 보다 구체적으로 조명되었다. 자료 접근의 제한 때문에 주로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에 집중되었던 월북미술가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들어 북한과 접촉이 많아지면서 북한 미술계의 실상을 알 수 있는 저서와 논문이 잇달아 나왔다. 그러나 월북미술가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작품이나 저작이 대규모로 발굴된 일부 작가에 한정되어 있으며, 연보조차 불분명한 작가가 대다수다. 월북미술가들의 행적을 단순히 사실들의 나열에 머물지 않고, 사실로부터 추출된 의미 구조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들을 하나의 범주로 묶어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탈냉전, 탈이념적 시각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구술사나 시각문화 등 다양한 장르를 월북미술가 연구에 적극 활용한다면 한국 근대미술사의 폭도 그만큼 넓어질 것이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