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의 부당행동이 유발하는 소비자의 부정적 감정과 보이콧 의사결정

        신성연,윤성욱 한국소비문화학회 2017 소비문화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nsumers’ negative emotions toward a target company on their boycott decisions. First, study1 examined the effects of negative event type(immoral vs. incompetent) on consumers’ emotion,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anger) and consumers’ animosity toward a target company was also identified. Second, the effects of the level of the consumers’ animosity toward a target company(high vs. low) and the consumers’ perceived effectiveness of a boycott(high vs. low) on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a boycott were investigated. Further, the interaction of the level of the consumers’ animosity toward a target company and the consumers’ perceived effectiveness of a boycott on consumer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a boycott was also examined in study 2. The scenario based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from the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study1 show that the respondents who were exposed to the company’s immoral event recorded higher score on their anger than those who were exposed to the company’s incompetent event. The results also reveal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anger) and the respondents’ animosity toward a target company. Consequently,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founded. The results of study2 indicate that the level of the animosity and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a boycott positively affect respondents’ boycott intention. Furth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nimosity and the perceived boycott effectiveness was significant on consumers’ boycott inten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보이콧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연구1에서는 기업의 부당행동 유형에 따라 소비자가 느끼는 부정적 감정의 차원에는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 이 때 소비자의 부정적 감정이 기업에 대한 적대감을 통해 보이콧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검증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연구2를 통해서는 적대감의 수준이 보이콧 참여의도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보이콧의 효과가 보이콧 참여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함과 동시에 적대감과 보이콧의 효과 두 변수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어떠한 결과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1에서는 기업의 부당행동으로 인해 유발되는 부정적 감정은 사건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부정적 감정은 기업에 대한 적대감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보이콧 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2에서는 기업에 대한 적대감의 수준에 따른 보이콧 참여의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소비자가 지각하는 보이콧 효과의 크기 역시 보이콧 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대감과 보이콧 효과 두 변수 간에는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에는 소비자의 보이콧 의사결정과정의 이해에 기여할 수 있는 학문적 논의를 제시하고, 기업 또는 보이콧주체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효과 측정을 위한 연구 방법 제안: LDA기반 토픽모델링을 통한 ‘국민체력100’ 사업의 이미지 분석

        신성연,김혜란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9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research metho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marketing communication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In a way different perspective from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ttempt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using big data on online social network servic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nd analysis was conducted to solve them. Major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marketing message (National Fitness Award) set up in this study, information on major channels (blogs and news) exposed online was collected and analyzed to confirm the contents (images) being delivered to the recipients (public). Second, we identifie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message recipients according to two types of communication through online major channels and those manipulated by researchers. Based on these, the direction for establishing the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y that can effectively deliver the message was suggested. To investigate the marketing message, we analyzed the search results (4,502 blogs and 10,187 news regarding the National Fitness Award) from one of the most heavily-trafficked portal sites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researchers’ own programmed web-crawler,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 based topic modeling using R (version 3.5.3). The results show that 19 topics were extracted and reduced to 4 factors in the message delivered through the blog, and 21 topics were reduced to 4 factors in the news. Further, the blogs and news shows that there are similar contents in the information that the two channels provide regarding 'National fitness Award'. A recall test was conducted on the perceptions of the ‘National Fitness Award’ between the online main channel (blogs and news) exposure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exposed th the manipulated stimulus including the official video produced by the message sender.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ain channel exposure group formed an image similar to the topics derived through blog and news topic modeling, and the experimental group formed an image related to the exposed message. 본 연구의 목적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연구방법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연구와는 차별화된 방법으로 온라인 사회연결망(Social network services)상의 빅 데이터를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측정하는 접근을 시도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마케팅 메시지(국민체력100)와 관련하여 온라인상으로 노출되는 주요 채널(블로그 및 뉴스)의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수신자(대중)에게 전달되고 있는 내용(이미지)을 확인하였다. 둘째, 온라인 주요 채널을 통한 커뮤니케이션과 연구자가 의도한 커뮤니케이션 두 유형에 따른 메시지 수용자의 인식차이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마케팅 메시지의 확인을 위해 국민체육진흥공단 ‘국민체력 100’사업에 대한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 검색결과(블로그 4,502건 및 뉴스 10,187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연구자가 자체적으로 제작한 크롤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R(version 3.5.3)을 이용하여 잠재 디리클레 할당 기반 토픽모델링(Latent Dirichlet Allocation Topic Modeling)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블로그를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는 19개의 토픽이 추출되어 4개의 요인으로 축약되었고, 뉴스의 경우에는 21개의 토픽이 4개 요인으로 축약되었다. 그리고 블로그와 뉴스 두 채널이 ‘국민체력100’과 관련하여 제공하는 정보에는 유사한 내용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주요 채널 노출집단과 메시지 발신자가 자체제작한 동영상 등이 포함된 메시지에 노출된 실험집단 간의 ‘국민체력100’인식에 관한 회상조사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따른 차이 발생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주요 채널 노출집단은 블로그 및 뉴스 토픽모델링을 통해 도출된 주제들과 유사한 이미지를 형성하였고, 실험 집단은 노출된 메시지와 관련성이 있는 이미지를 형성하였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에는 학문적 논의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후속 연구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SNS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국립과학관에 대한 이미지 분석과 경영전략 제안

        신성연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중들이 지각하는 과학관에 대한 인식의 분석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과학관 경영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연구문제들을 설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자료의 수집과 분석은 질적연구방법과 양적연구방법을 융합하여 이미지 분석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을 통해 진행되었다. 먼저 면담(Interviewing)을 통한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면접 대상자들(대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로부터 과학이라는 개념에 대한 이미지를 도출한 후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국립과학관과 관련하여 국내 대형 포털사이트 검색결과 중 블로그 포스팅 12,920건의 제목에서 추출한 63,987개의 단어에 대한 LDA기반 토픽 모델링(Latent Dirichlet Allocation Topic modeling)을 통한 양적연구방법을 융합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분석결과, 응답자 특성에 따라 과학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립과학관에 대한 포털사이트 검색결과는 20개의 토픽으로 도출되었고 7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에는 이에 대한 논의와 과학관 경영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cience consumers' perceptions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and suggest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museum.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nd the analyses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the data were conducted through a new approach to image analysis that combin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First, the image of the concept of science was derived from science consumers (adults,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group-interviewing), and then text analysis was conducted. Second,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based topical modeling of 63,987 words extracted from 12,920 titles of blog postings from one of the most heavily-trafficked portal site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perception of science diff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Further, topic-modeling extracted 20 topics from the blog posting titles and the topics were condensed into seven factors. Detailed discussion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provided in the conclusion section.

      • KCI등재

        소비자의 공감수준과 지각된 참여율이 보이콧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건 강도의 조절효과

        신성연,윤성욱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onsumers’ boycott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o extend literature on boycott behavior by examin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consumers’ boycott participation decision, and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First, the effects of consumers’ empathic responses high or low) to the victim of a target company generated incident and consumers’ perceived overall expected participation of others in a boycott on their likelihood of boycott participation were demonstrated. Second, the interaction of the two variables on consumers’ likelihood of boycott was also identified. Third, the moderating role of the severity of incidents was also exploratively examin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undergraduate students(N = 321) at a large city university in and ANOVAs were employ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The results show that the main effects of both of consumers’ perceived empathic level and overall expected participation on their likelihood of boycott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Further, the interaction effect of consumers’ perceived empathic level and overall expected participation on their likelihood of boycott was also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moderating role of the severity of incident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consumers’ perceived empathic level on their likelihood of boycott particip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consumers’ perceived overall expected participation on their likelihood of boycott participation. Detailed academic discussions that extend the consumers’ boycott decision making proces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practi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ovided in the conclusion se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들의 보이콧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확인하고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실증적 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보이콧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학문적 영역을 넓히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특정 기업이 일으킨 사건으로 인해 피해를 입는 소비자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인지한 다른 소비자들이 가지는 공감의 수준과 향후 보이콧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하는 인원의 규모가 보이콧 참여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함과 동시에 두 변수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기업이 유발하는 사건의 강도에 따른 조절효과 역시 규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나리오를 이용하는 설문조사를 통해 대학생 총32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소비자의 공감 수준과 예상하는 참여 인원의 규모가 보이콧 참여의도에 미치는 주효과들과 상호작용효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화인되었다. 그리고 사건 강도의 조절효과와 관련하여, 소비자의 공감 수준이 보이콧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사건 강도에 따른 조절효과가 발생하였지만 예상하는 참여 인원의 규모가 보이콧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서는 사건 강도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는 소비자의 보이콧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학문적 논의를 제안하고 보이콧의 잠재적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기업 그리고 보이콧을 실행하는 주체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