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변화에 따른 가족치료적 함의

        신선인 대구대학교 (한사대학) 사회복지연구소 2004 社會福祉硏究 Vol.27 No.-

        가족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위기적 상항, 지역사회복지관과 업무의 중복성이 큰 건강가정지원센터라는 새로운 기관의 출현 등, 한국의 사회복지실천현장은 최근 들어 급속하게 변하고 있다. 사회복지의 중추적 영역인 가족지원서비스체계에 대한 이러한 도전은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전문성을 재정립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응하는 전략적 과제로 사회복지사들의 가족치료기술의 함양을 강조하였다. 심리적 스트레스에 시달리며 해체되어 가는 가정들을 보다 전문적으로 돕기 위하여 사회복지사에 대한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교육의 확대가 필수적이라는 시사점을 확보하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각 기관과 학교가 협동하여 가족치료의 재교육 및 훈련을 실시하고 관련 교과목을 개발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Social work field in Korea has been significantly changed recently including rapid change and critical situation of Korean family structure, and appearance of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This challenge against the family support service system, the backbone area in social work, requires reestablishment of roles and professionalism of social workers. As an alternative strategy, this research emphasizes improvement of family therapy skills for the social workers, which will result in helping them become better experts in supporting families facing the danger of family break-ups by severe psychological distress and family conflicts. The research also emphasizes that it is critical to increase training of family therapy and/or family counseling for social work practitioners as a continuing education.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family therapy related curriculums be developed and continuing education and training of family therapy be conducted based on collaborative efforts among the social work organizations and school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신경언어프로그래밍(NLP)의 연구동향과 상담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신선인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1

        This study investigated international and South Korean domestic research trends of the Neuro-Linguistic Programming (NLP) approach from the 1970s, when it was first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to November 2011. The research aimed at helping and encouraging the Korean NLP community to pursue empirical studie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NLP as a psychological counseling or psychotherapy model. The research was done by looking through publication trends and rough contents of the NLP research papers after searching major research databases using NLP as a key word and subject term. It was found that most NLP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1980s but declined from the 1990s to the early 2000s. However, the number of publications in NLP research have been increasing again from the late 2000s until now. This implies that empirical studies on NLP has been increasing. This study also conducted a meta analysis with 21 domestic research papers selected among 60 pap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NLP. Most of these papers were masters or Ph.D. theses targeting psychotherapy or psychological counseling. Since an average effect size was shown to be large, the effectiveness of the NLP counseling programs was validated. There was no clear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NLP counseling programs in terms of counseling techniques. Meanwhile,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 size with respect to types of research pap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effect size of master theses was the smallest. NLP counselling techniques, measurement variables, ages of target population, and publication period were not related to the effect sizes. This research result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active participation of the NLP practitioners in conducting empirical research, which will solidify NLP theories and practice environment in South Korea. 본 연구에서는 1970년대 초반 미국에서 NLP가 개발된 이후부터 2011년 11월까지 국내․외에서 수행된 NLP관련 연구물의 발표추세와 연구내용을 개략적으로 정리하여 소개하고, 국내 연구물들을 중심으로 메타분석을 통해서 NLP상담의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국내 NLP계의 연구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NLP를 주제어와 중심어로 사용하여 국내․외의 주요 데이터베이스들을 검색한 결과, 주제어로 검색한 국외의 NLP 연구물들은 대다수가 1990년대 이후에 출판되었으며 2000년대 후반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NLP를 중심어로 검색하였을 때는 1980년대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으나 1990년대의 침체기를 거쳐서, 역시 2000년대 후반으로 올수록 그 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서 최근 들어 NLP에 대한 관심이 다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는 NLP관련 연구물들의 과반수 이상이 2006년 이후에 발표되었으며 학위논문 수가 증가하고 있어서 NLP가 연구주제로 관심을 끌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외 연구물들 모두 심리치료 및 상담을 포함한 임상과 학습에 관한 내용이 다수였다. 국내 연구물을 대상으로 56개의 유효한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상담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물들의 평균효과크기가 비교적 크게 나타나(̅=1.172> 0.80), 종합적으로 볼 때 국내 NLP상담프로그램들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연구물의 종류별로 볼 때는 석사논문의 효과크기가 가장 낮게 나타나서 NLP개입기술의 숙련도와 개입효과성의 상관관계를 유추할 수 있었다. NLP상담기법, 효과성측정변수, 개입대상의 연령, 발표년도 별로는 평균효과크기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NLP전문가들의 보다 적극적인 임상적 활용을 통한 연구데이터의 축적과 개입기술력 제고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저소득 외국인가정을 위한 가족복지적 개입방안

        신선인 대구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4 社會福祉硏究 Vol.27 No.-

        With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the number of families of migrant workers or international marriages is rising. Majority of them are involves in the lower levels of socio-economic status and suffer from multiple problems including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hardships. They are excluded from or at the very edge of the social safety net. Considering very limited studies of social welfare services for these families,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alternative family services to support them. Research was based on the informations gathered from interviewing migrant workers and foreign wives as well as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search. The study suggests to improve service systems for legal support for foreign partners, to develop a comprehensive system including both material and emotional supports, and to establish a well-structured service delivery systems in order to provide services more effectively to the families. Above all, it is indispensible to provide family therapy or counseling to resolve emotional discord and mis-communications among family members derived from cultural conflicts as well as personal difference. This study emphasizes that family workers should provide services that are culturally sensitive and unintrusive, and which foster acceptance of clients' values around cultural adaptation and integration. They should weigh social work values and theories of social work ethics such as protecting human right and keeping confidence. 우리나라의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국내에는 외국인근로자 및 국제결혼에 의한 외국인 가정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들의 대다수는 우리사회의 저소득 계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외국인배우자와 자녀를 포함한 가족 전체가 다양하고 복합적인 사회, 경제, 문화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사회복지계에서는 아직 이들 가족문제의 해결을 위한 지원방안에 대한 논의가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참고문헌 및 인터넷에 수집한 자료와 대구 경북지방에 거주하는 대상자들과의 인터뷰에서 입수한 정보에 근거하여 이들 저소득 외국인 가정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들을 위한 가족복지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외국인배우자들을 위한 법률적, 제도적 지원을 비롯하여 가족전체를 위한 통합적인 지원책,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전달체계의 수립과 더불어 개인적, 문화적 차이로 인한 가족간의 정서심리적 갈등 해결을 위한 가족치료 및 상담서비스의 지원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들을 위한 개입현장에서 사회복지사들은 문화적 민감성, 내담자의 자존심을 존중하며 함부로 강요하지 않는 개입강도의 적절성, 그리고 인권존중과 비밀보장 등의 사회사업적윤리와 가치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

      • KCI등재

        재해 및 재난 구호시 요구되는 정신보건사회사업서비스에 관한 연구

        신선인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0 No.-

        본 연구는 현재 우리 나라 공적 재해구호대책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재해정신보건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재해정신보건사업이 활성화되어 있는 미국에서 실시한 관련 전문가들에 대한 면접조사와 문헌조사를 통하여 재해정신보건체계에서 사회복지사가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한국과 미국에서 각각 실시한 주민면접조사에서는 한국 주민의 재해시 정신보건서비스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가 미국 주민 못지 않게 높았으며 이를 위한 주요담당전문가로서 사회복지사를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서 재해정신보건사업에 관한 사회복지적 대응이 매우 필요함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조사결과에 근거하여 우리 나라 재해구호체계에서의 정신보건사업의 활성화 방안과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attention to a disaster mental health system which has yet to be established in Korea, and to emphasize the rol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n this setting. The study was based on an overview of disaster mental health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disaster mental health workers and passers-by. Interviews were also done in Korea with locals of a disaster area and workers of the disaster relief system.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establishing a disaster mental health service program in the public disaster relief system in Korea. It is suggested that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broaden their point of view on their role from limited psychiatric social workers for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to disaster mental health workers, which enable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evention service system of community mental health.

      • KCI등재

        신경언어프로그래밍의 가족치료 사례 연구: 원가족으로 인한 아동기 트라우마 경험자를 대상으로

        신선인,임보혜 한국가족치료학회 2012 가족과 가족치료 Vol.20 No.3

        본 연구에서는 내담자들이 어린 시절 원가족 내에서 경험한 트라우마적 사건이 현재 가족관계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되는 현상에 초점을 두고, 신경언어프로그래밍(Neuro-Linguistic Programming: NLP)의 가족치료적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국내 가족치료 현장에서 NLP의 적용이 활성화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원가족으로부터 비롯된 외상 경험이 있는 7사례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가족치료 초기단계에 라포가 형성된 후, 평균 2~3회기 동안 NLP기법을 실시하였고, 나머지 기간은 일반적인 가족치료 과정을 진행하였다. 모든 사례에서 NLP의 치료적 효과성이 확인되었는데, 우선 트라우마의 특성인 고통스러운 감각의 재경험이 현저히 완화되었다. 그 과정을 가족이나 배우자가 관찰하게 함으로써 상대의 내적구조에 대한 공감적 이해를 증진시켰는데 이로 인해 관계 변화가 촉진됨이 파악되었다. 또한 감각적 민감성 훈련을 통해서 가족 간의 상호 이해가 증진되었고 서로에 대한 이미지가 개선되었다. 그 결과 의사소통을 비롯한 관계 대처능력이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됨으로써 배우자 및 자녀들과의 관계 회복이 촉진되었다. 이 연구는 트라우마의 공감각적 특성과 인지적 회복과정에서의 뇌가소성 및 긍정심리학적 개념을 그 이론적 근거로 하였다. 또한 다세대간, 경험적, 이야기치료와 해결중심 가족치료 모델들의 이론적 전제와 기법들을 통합적으로 적용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Neuro-Linguistic Programming (NLP) as an intervention model for resolving family conflicts. The study was based on the idea that trauma experienced by a client in childhood with his or her family of origin exert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client’s current family relations.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have attempted to promote the application of NLP to the domestic family therapy field. Methods: This study was a case study with seven families who have suffered from childhood traumas in their family of origin. Results: After a rapport was established, NLP techniques were applied in the early stages of the family therapy processes, across an average of 2-3 sessions, and the standard family therapy procedures were conducted for the rest of the sessions. The therapeutic effectiveness of NLP was confirmed in all cases. In particular, the re-experiencing of painful feelings, which is the main traumatic symptom, was substantially reduced. Empathetic understandings from the clients' spouses or family members increased when they were allowed to watch the NLP intervention process, which resulted in enhancing their relationships. Also, through sensory awareness training helped them to improve mutual understandings. Conclusions: As a result, communication and other relational coping skill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ccelerating changes in family relations. The conceptual bases of this study were the synesthetic characteristics of trauma, neuroplasticity, and the concept of positive psychology. In addition, the theoretical basis and techniques of multigenerational, experiential, narrative, and solution-focused family therapy models were integratively applied.

      • KCI등재

        『朝天航海錄』에서 山東省의 노선과 그 주변 지역의 산악 문화 고찰

        신선옥(申先玉),유함함(劉涵涵)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4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8

        By investigating the travelling route on land in Shandong Province recorded in 『Jo Chun Hang He Rok』(the record from July 3rd, 1624 to October 5th, 1625)and the mountain culture of the surrounding areas,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tourist route featuring mountains and the important role played by Qianfo Mountain in China-Korea communication and exchange. With this aim, this paper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scenery, historical sites and customs in Shandong. Through this study, not only can mountain-focus sightseeing route be found, but also the role of medium and value of 『Jo Chun Hang He Rok』 in tourism development.

      • KCI등재

        학교사회복지현장의 가족치료적 개입에 관한 연구: 실태 및 욕구를 중심으로

        신선인,김민지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4 학교사회복지 Vol.- No.27

        This research purposed to investigate a current family therapy service system of the school social work field in Korea, to identify school social workers’ needs for family therapeutic intervention, and to identify major factors for improving the school family therapy system. This will promote to activate family therapy service in the school social work field. We conducted a mail survey for the school social workers nationwide through the 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 We finally collected and analyzed 163 questionnaires. Majority of responders (95.1%) recognized that many children and teenagers experienced serious family problems, so that all responders regarded family therapy as an important counseling service. But only 25.2% of them practiced family therapy. The responders with higher academic background, higher age, or more certificates practiced family therapy more often. The remaining characteristics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82.8% of the responders referred their cases to outside family therapy professionals, and 39.4% of them chose clients’ refusal to family therapy to be a main problem of the family therapy system in school. Accessibility, cost, and professionalism were other problems in descending order of importance. 94.5% of the responders were willing to take family therapy training and they answered ‘much needed’ or ‘needed’ on the activity for strengthening family therapy practice ability. Major accelerating factors to stimulate family therapy included professional training, change in family perception, and establishing a well-structured referring system. Based on the results, w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he School-Based Family Counseling system in school social work field.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교사회복지현장의 가족치료 서비스 실태와 욕구를 조사하고 가족치료적 개입의 촉진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이를 통해 아동․청소년들의 문제행동 해결을 위한 학교기반 가족치료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전국의 학교사회복지실천가를 대상으로 비례층화표집을 실시하여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총 163부의 응답지 내용을 분석하였다. 응답자 대다수(95.1%)가 아동․청소년들의 가족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전수가 상담 장면에서 가족치료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나, 실제로 가족치료를 실시하는 비율은 41명(25.2%) 정도였다. 학력과 연령이 높고, 자격증 수가 많을수록 실시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나머지 특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응답자의 82.8%는 외부로 가족치료를 의뢰한 경험이 있었으며, 가장 다수인 39.4%가 내담자의 참여거부를 의뢰과정의 문제점으로 선택하였고, 그 다음으로 접근성, 비용, 전문성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응답자의 94.5%가 가족치료 재교육을 받을 용의가 있다고 답하였으며, 가족치료역량 강화활동에 대해서는 응답자 거의 전수가 ‘매우필요’ 또는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가족치료 활성화의 주요 촉진 요인으로는 전문지식 및 기술 교육, 내담자가족의 인식변화, 관련 기관과의 연계체계 확충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교사회복지현장에서의 가족치료서비스 활성화 및 학교기반가족치료(School-Based Family Therapy)의 구축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