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메타인지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적용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탐색

        신문승(Shin, Moonse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인지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메타인지와 학업성취 및 자기주도적학습능력, 학습태도와 정의적 변인 등 학업관련 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메타인지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효율적 인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대상과 방법을 정하고, 2000년부터 2019년 6월까지 출간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중 체계적 문헌고찰 흐름도(QUOROM)에 의해 본 연구의 분석 대상 설정 기준에 부합하는 실험연구 38편을 선정하여 242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메타인지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메타인지와 학업성취 및 정의적 변인 등에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664(U3 = 74.54%ile)로, 메타인지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 향상 및 정의적변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별로는 자기주도적학습능력과 교과에 대한 흥미와 태도의 신장에 매우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재 변인 중 대상 학년은 고학년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더 큰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ta-analyze the effects of metacognitive teaching-learning programs on academic-related variables such as metacognition, academic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attitudes and affective variables. And the 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guidelines for the effective program composition of the metacognitive teaching-learning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The analysis targets and methods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determined. Master s thesis, doctoral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2000 to July 2019 were selected. From 38 papers, a total of 242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overall average effect of metacognition teaching-learning programs on metacogni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affective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664 (U3 = 74.54%ile). Metacognitive teaching-learning program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and affective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a grea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interest and attitude development in subjects. In the case of interventional variables, the target grades were higher in older grades.

      • KCI등재

        초등학교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신문승 ( Moon Seung Shin ),강충열 ( Choong Youl Ka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9 초등교육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meta-analysis of recent studies on the effect of creativity education in program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ES) of creativity programs turned out to be .9355, and according to Cohen(1977)`s effect size(ES) interpretation criteria, this effect size(ES) is great, since it`s above .80. The percentile of nonoverlap(U3) was 82.64 percentile, which showed experimental groups that were exposed to creativity education made a 32.64 percent higher progress. By the cognitive sub-factor of creativity, the mean effect size(ES) of creativity programs was the biggest(.8615) in terms of fluency, followed by flexibility(.6931), elaboration(.6863), originality(.6512) and openness(.5939). But the number of students and the kind of instruments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력(CPS) 프로그램이 초등영재의 창의성 신장과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신문승(Shin, Moonseung),문정표(Moon, Jungpy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력(CPS)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성향의 신장과 과학탐구능력 향상에 있어 효과적인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창의성 신장과 과학탐구능력에 효과적인 과학영재수업을 구안하여, G시 소재 초등학교 영재학급 중 발명영재반과 과학영재반 두 학급을 선정한 후, 실험집단인 발명영재반에는 창의적 문제해결력(CPS) 프로그램을 10차시에 걸쳐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인 과학영재반에는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한 과학영재반의 프로그램인 과학문제해결수업을 실시하였다. 동질성 확인과 실험효과 검증을 위하여 사전, 사후검사로 초등학생용 창의적 성향 검사(신문승, 2010)와 과학 탐구능력 검사(권재술, 김범기, 1994)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적 문제해결력(CPS) 프로그램은 초등 영재학생들의 창의성 신장 및 과학 탐구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창의적 성향의 경우 창의적 성향과 그 하위변인(인내, 동기, 모험심, 호기심, 자신감)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과학탐구능력의 경우 하위변인인 기초탐구력과는 달리 통합탐구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것과 같이, 초등 영재를 대상으로 한 창의적 문제해결력(CPS) 프로그램은 초등 영재학생들의 창의적 성향 및 과학탐구능력의 신장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at the CPS program is effective in enhancing the creativity of the elementary school gifted students and improving the scientific inquiry skill.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developed a science enrichment class that is effective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scientific inquiry skill. After selecting two classes of gifted and talented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gifted classes in G metropolitan city, the CPS program was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0 class hours, and the comparative group was given a science class program for the science gifted students. In order to confirm homogeneity and verify the experimental effect, creative personality inventory for gifted children and the science inquiry skill test was tes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PS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F=33.318, p=.000) and science inquiry skill improvement (F=15.566, p= .000). In the case of creative character, the creativity tendency and its sub-variables (patience, motivation, adventure, curiosity, confid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inquiry skill (F=1.592, p=.215), unlike the basic inquiry skill (F=15.262, p= .000). As confirmed in this study, the CPS program for elementary gifted students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creativity and science inquiry skill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 KCI등재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신문승(Shin, Moonse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이 학생의 학업성취와 융합인재 소양 및 역량, 교과와 진로 분야의 흥미와 태도 등 학업성취 관련 변인에 미치는 다양한 교육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분석 대상과 방법을 정하고,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최근 5년간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 중 본 연구가 설정한 기준에 부합하는 관련 연구 115편을 선정하여 398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융합인재교육 (STEAM)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0.686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Cohen(1988)이 제안한 효과 크기의 해석 기준으로 보면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이 아동과 청소년의 학업성취 및 교과와 진로 관련 흥미를 증진시키고, 융합인재소양 등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 효과적이라 할 수 있으며, 비중복 백분위 지수( U 3 )는 75.49%ile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이 비교 집단보다 25.49%만큼의 향상을 가져온다고 해석할 수 있다.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유형별로는 전교과/영재교육 프로그램(0.740)이 STEAM 교과(0.661)보다 조금 더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별로는 융합인재소양/역량(0.774), 창의성/문제해결력(0.736), 자기주도적학습능력 (0.635), 진로흥미/태도(0.584), 교과흥미/태도(0.534), 교과관련개념/지식/기능(0.532), 도구활용능력(0.388), 학업성취(0.287)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재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학교급의 경우 중학교(0.807), 대상은 참여희망자(0.854), 연구설계에서는 단일집단설계(0.746)에서 각각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그러나 연구대상을 제외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중재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융합인 재교육 프로그램(STEAM)은 중재변인과 관계없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EAM education program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convergent talent literacy and competence, interest and attitude of subjects and career field through meta-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TEAM education program, the subjects and methods of analysis were determined. In the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in recent five years from 2014 to 2018, 115 selected relevant studies were selected and 398 effect size was calculated and analyzed.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the STEAM education program was 0.686. According to Cohen s (1988) interpretation of the effect size, the STEAM education program has a moderate effect size, which promotes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terest in subject and career, U3 is 75.49%ile, which means that the STEAM education program group has 25.49% more improvement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e STEAM curriculum ( .740) showed a slightly larger effect size than the STEAM curriculum ( .66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titudes toward the subject ( .534), interest/attitude toward the subject ( .534), concepts/knowledge/skills related to the subject ( .774), creativity/problem solving ability ( .736),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532), tool literacy ( .388), and academic achievement ( .287). As a result of examining by intervention variables, middle school ( .807), subject participant ( .854), and single group design ( .746) showed high effect size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EAM education program except for the study subjects. The STEAM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regardless of the intervention variables except the STEAM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을 통한 창의성 교육

        신문승(Shin Moon se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1

        초등학교 교육에서의 창의성교육은 교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교과 시간의 교수-학습 과정 속에서 학생들이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을 경험하고 창의적 체험활동을 함으로써 창의성을 신장시켜 나가야 한다. 창의성교육을 실제 교수-학 습과정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창의성 교육의 교수-학습 내용이 단원이나 교재 등에 구체적으로 드러나야 한다. 이 때 관건이 되는 질문은 ‘초등학교 시기의 아동들에게 어떻게 창의성 교육을 실시할 것인가?’라고 할 수 있을 것인데, 창의성의 발현에 기여하는 구성 요인인 창 의성의 인지적 능력, 창의성의 정의적 성향, 창의적 환경 등을 고려하여 학교 전체 창의성 교육의 큰 틀에서 각 학년 학급별로 근본적 성격에 충실한 방식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The 21st century is the age of creativity. Society needs creative talents with original ideas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Learner based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ust do based on subject curriculum and the course of study. In teaching-learning process of subject instruction time, children may promotes their creativity by experiencing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doing creative hands-on experiencing activity. In order to introduce creativity education into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eaching-learning contents of creativity education must be displayed in subject unit or teaching material, course of study, etc. First of all, important question is how will you execute creativity education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Creativi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ust consist of full way in basic trait into each grades and every classes in big framework of whole elementary school creativity education that pay due regard to creative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as well as creative environment that contribute in development of creativity.

      • KCI등재후보

        핀란드 종합학교 교육의 성공요인과 시사점

        신문승 ( Moon Seung Shin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1 통합교육과정연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핀란드 교육의 성공을 가져다 준 핀란드 종합학교 교육의 개요 및 철학과 교육제도를 확인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우선 PISA 평가 결과와 핀란드의 종합학교 교육제도를 검토하였다. 이어서 핀란드 교육정책과 동향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핀란드 종합학교 교육의 성공적인 모습에 대한 공통된 요인을 찾아보았다. 다음으로 핀란드 종합학교 교육이 우리나라 교육에 시사하는 교육적 대안과 정책적 시사점을 교육이념, 교육제도, 국가교육과정, 학생, 교사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첫째, 핀란드 교육은 평등한 교육이다. 둘째, 핀란드에서는 교육받을 권리를 복지 정책으로 보장하고 있다. 셋째, 핀란드는 기회의 평등을 보장하는 것을 기반으로 개별화된 학습을 통해 수월성을 추구해가고 있다. 넷째, 종합학교에서 가르쳐야할 내용은 국가 중핵교육과정에 통합교육과정 주제로 제시되어 있다. 다섯째, 핀란드 종합학교의 성공은 교육과정의 분권화 및 자율성에 따른 책무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about the Finnish comprehensive school which explains the world`s leading academic achievement of Finnish education system. Finland got the highest grades of reading, mathematic, and science of PISA (2000, 2003, 2006, 2009). The forms and structures of the curriculum and the ideas about integrated curriculum and study courses were analyzed how the Finnish comprehensive school contributed to the success of the Finnish education. Finnish comprehensive school followed the educational policy based on the Finnish national core curriculum. And the comprehensive school follows the pedagogical principles of the Frenchman Celestin Freinet, who underlines learning by doing and community orientation. Furthermore, Finnish comprehensive school education system suggests an alternative educational philosophy of welfare, equity chance of opportunity, differentiated learning, integrated curriculum, flexible student clusters and age group integrated classes, the comprehensive school curriculum based on decentralization and autonomy, and the educational system by an authority of the teacher.

      • KCI등재

        교과통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 관련 변인에 미치는 효과

        신문승(Shin, Moonseung),문정표(Moon, Jungpy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초등 교과통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 관련 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하여 알아보는 것이었다. 초등 교과통합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분석 대상과 분석 방법을 정하고, 융합인재교육(STEAM)정책이 발표된 이후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 중 본 연구의 분석 대상 설정 기준에 부합하는 연구 163편을 선정하여 모두 510개의 효과크기를 산출․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 교과통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721로 나타났다. 이것은 Cohen(1988)이 제안한 효과 크기의 해석 기준으로 보면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로, 초등 교과통합 프로그램이 초등 학생의 학업성취를 증진시키는 데 있어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비중복 백분위지수(U3)는 76.42%ile로, 초등 교과통합 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이 비교 집단보다 26.42%만큼의 학업성취 향상을 가져온다고 해석할 수 있다. 초등 교과통합 프로그램 의 종속변인별로는 창의성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크기( .851)가 크게 나타났고, 교과 흥미와 태도( .623), 문제해결력( .609), 인성/성향 등의 정의적 영역( .785)과 교과 기능의 신장과 지식정보처리역량( .587) 및 자아개념( .667)은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F=7.940, p= .000), 초등 교과통합 프로그램은 특히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과 창의성 교육에 있어 큰 효과를 보이는것으로 나타났다. 중재변인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초등 교과통합 프로그램은 중재변인과 관계없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integration program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related variables through meta-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integration program on student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analytical subjects and analysis methods were set up.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STEAM policy, from 2012 to March 2018, 163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wer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set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and 510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elementary school integration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hievement was .721. This is a moderate effect size larger than .50 and smaller than .80 in terms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 size proposed by Cohen(1988). That is, elementary school integration programs are effective in promot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 non-overlapping percentile index (U3) is 76.42%ile, which means that the group with elementary school integration program has a 26.42% improvement in academic achievement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The effect of creativity improvement program showed the greatest effect by the dependent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integration program,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tegration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showed a great effect especially on students creativity and creativity education.

      • KCI등재

        협동학습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 관련변인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신문승(Shin, Moonse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협동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 관련 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하여 알아보는 것이었다. 문헌고찰을 통하여 분석 대상과 분석 방법을 정하고, 2014년부터 2018년 4월까지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 중 본 연구의 분석 대상 설정 기준에 부합하는 연구 77편을 선정하여 모두 376개의 효과크기를 산출․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초등 협동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767로 나타났다. 이것은 Cohen(1988)이 제안한 효과 크기의 해석 기준으로 보면 .50보다 크고, .80보다 작으므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라 할 수 있고, 효과크기의 신뢰구간 내에 0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유의미한 효과크기라 할 수 있으 며, 비중복 백분위 지수(U 3 )는 77.94%ile로, 초등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이 비교 집단보다 27.94%만큼의 학업성취 향상을 가져온다고 해석할 수 있다. 초등 협동학습 프로 그램의 종속변인별로는 자기주도학습의 효과크기가 1.689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자아개념 /자아효능감, 교과 기능/능력과 문제해결력의 효과크기 또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협동학습 프로그램의 유형과 연구의 중재변인별로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서, 협동학습 프로그램은 협동학습의 유형이나 중재변인과 관계없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program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related variables through meta-analysis. A total of 376 studies were analyzed from 77 master 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 published from 2014 to April 2018.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elementary school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on students achievement was 0.767. This is a moderate effect size because it is larger than 0.50 and smaller than 0.80 in terms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 size proposed by Cohen(1988). But the effect size is a meaningful size since there is no value of 0 within the confidence interval of the effect size and the non-overlapping percentile index is 77.94%ile. The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have a great effect on the growth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speciall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