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기도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위치 검증 : 확인적 요인분석을 활용한 위치적 특성에 대한 가설적 타당성 검증

        송진희(Song, Jinhee),서인석(Seo, Inseok),윤병섭(Yoon, Byung Sup) 경인행정학회 2021 한국정책연구 Vol.21 No.2

        보육교사에게 심리적 안녕감은 이직의도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이론적 차원에서 규명하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무엇보다 보육교사 연구에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심리적 안녕감 변인이 이론적으로 체계화되어 있지 않아 이직의도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임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개념적으로 체계화된 Ryff(1989)의 심리적 안녕감을 기초로 독립변인, 매개변인, 종속변인 등의 다양한 위치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한 후 가장 적실성 있는 이론적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독립변인, 매개변인, 종속변인으로써 각각 위치시킨 후 모형 적합도를 통해 가장 최적의 위치를 가늠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독립변인, 매개변인, 종속변인으로 구조화한 관계 모두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고 있었다. 이는 비록 통계를 통한 확인일지라도 심리적 안녕감이 보육교사의 역할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둘째로, 최적화된 역할은 매개변인이었다. 모형적합도를 기초로 판단하건데, 직무스트레스라는 외부환경 요인의 자극은 낮출 수 없으나, 심리적 안녕감이 강화되었다면 이직의도는 변화될 수 있다. 셋째로, 무분별하고, 임의적으로 사용되던 심리적 안녕감 변인의 이론적 위치를 탐색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심리적 안녕감은 연구자의 관점과 논리에 따라서 지나치게 자의적으로 사용되어왔다. 이 연구 결과는 다양한 선행연구들의 쟁점을 판단할 수 있는 연구결과이다. 향후 연구를 통해 이론적 논의가 더 강화될 필요는 있지만, 직무스트레스라는 외적요인과 이직의도라는 행태요인의 사이에서 심리적 안녕감은 ‘매개요인’이라는 것이다. This study was start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for childcare teach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tress from a theoretical level. Above all, it was judged that the problem was tha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variable, which is increasing in importance in the study of childcare teachers, was not theoretically systematized and was used arbitrari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tress. Therefore, based on Ryff s (1989)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was conceptually systematized, we tried to verify the most appropriate theoretical position after empirically verifying various positions such as independent, mediating, and dependent variable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each position was plac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 parameter variable, and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ll of the relationships structured into independent, mediating, and dependent variables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is the fact that, even if it is confirmed through statistics, it can be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well-being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in the role of childcare teachers. Second, the optimized role was a parameter. Judging on the basis of model fit, the stimulus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job stress cannot be lowered, but if psychological well-being is strengthened, turnover intention can be changed. Third, the theoretical position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variable that was used indiscriminately and arbitrarily was verified exploratoryly. Psychological well-being has been used too arbitrarily according to the researcher s point of view and logi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research results that can judge the issues of various previous studies. Although the theoretical discussion needs to be further strengthened through future research, psychological well-being is a mediating factor between an external factor such as job stress and a behavioral factor such as turnover intention.

      • KCI등재
      • KCI등재

        수감 중인 약물사용자의 약물재활교육 경험

        송진희(Song, Jinhee),서종건(Seo, Jonggun),권혜진(Kwon, Haejin),김용석(Kim, Yongseo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7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5 No.1

        약물사용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지만 대처는 매우 미흡하며, 근거를 제공할 수 있는 관련 연구 또한 매우 부족하다. 특히 교도소의 경우 극소수만이 참여하는 약물재활교육 외에 약물 관련 서비스가 부재한 실정이다. 그 결과는 재범 재발로 인한 교도소 수용의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어 약물사용문제가 있는 교도소 수용자에 대한 적극적이고 효과적 개입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약물사용문제로 교도소에 수용된 사람들의 약물재활교육 참여 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용 기간 동안 약물재활교육에 참여했던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활교육에서의 이중적 태도와 덧씌워진 낙인에서 오는 혼란, 두 영역에서 6개의 상위범주와 14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수형자들은 당위적 현실적 동기로 약물재활교육에 참여한다. 하지만 약물사용자 및 범죄자라는 이중적 낙인, 사회와 분리된 수형생활 및 타 수형자와의 모순된 관계 등 교도소 환경의 불안정성이 출소 후 단약과 재활의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도소 내에서 약물문제에 대한 개입을 위해 고려해야 할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제시했다. Drug use is becoming a serious social problem, but coping is very poor, and related research that can provide evidence is also very scarce. In particular, there are no services for drug users in prison, except for rehabilitation programs. The result is a vicious cycle of prison reentry due to relapse and recidivism.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ctive and effective interventions for prisoners with drug us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drug users in participating in prison-based drug rehabilitation programs due to drug use problems. For this purpose, the qualitative data obtained from 6 interviewee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analyzed. As a result, 6 categories and 14 subcategories in the areas of stigma and double attitudes were extracted. Inmates of this study participated in drug rehabilitation programs with realistic motives. However, it was found that stigma associated with them as drug abusers as well as criminals, being separated from society, and fake relationships with other inmates had effects on participants’ sobriety and willingness to recover. Finally, several suggestions for in-prison drug rehabilitation programs were made.

      • KCI등재

        관계망 개입(Network Intervention) 기반 청소년 음주 · 흡연 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김용석(Kim, Yongseok),송진희(Song, Jinhee),이석호(Lee, Sokho),권이진(Kwon, Yijin),강정환(Kang, Jeonghwa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9 No.1

        관계망 개입이란 행동 변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사회관계망 데이터를 사용하는 과정으로 또래사회관계망과 또래 리더의 힘과 영향을 적절히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는 개입방식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계망 개입기반 청소년 음주 · 흡연 예방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것이다. 경기도 소재 중학교 2학년 5개 학급 114명의 학생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 2개 학급에는 효과성이 검증된 보편적 물질남용 예방 프로그램인 Unplugged 프로그램을 관계망 개입을 적용하여 제공하였고 통제집단 3개 학급에는 동일프로그램을 기존 방식대로 제공하였다. 관계망 개입을 위해 실험집단 2개 학급 각각을 대상으로 사회관계망 분석을 하여 또래리더를 선발하고 모둠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전 또래 리더들을 대상으로 별도의 교육을 하여 리더로서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관계망 개입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프로그램 실행 전과 후에 사전, 사후조사를 그리고 약 1년 후에 추후조사를 하였다. 유의미한 평가 결과가 많이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흡연에 대한 태도 변화에서 시간과 집단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관계망 개입을 적용한 최초의 국내 연구로 관계망 개입의 확장을 위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Network interventions, defined as the process of accelerating behavior changes by using social network data, improve the program effectiveness by implementing it using the powers and influences of peer social networks and peer lea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 network intervention-based adolescent alcohol drinking and smoking prevention program. A total of 114 students in a middle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network intervention-based prevention program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s (2 classes) and the same program but implemented in a traditional way provided to the control groups(3 classes). Social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data of the experimental data in order to create sub-groups and select peer leaders. Before implementing the program, peer leaders were trained in order for them to be familiar with the program and to learn leaders’ role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network intervention-based program, several outcome variables were measured at three points, baseline, post-initial, and one-year follow-up. Although many significant findings were obtained, there was a significant time and group interaction effect in terms of the attitude toward smoking. The changes of the attitude toward smoking by time were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s only. This study is the first one of this kind and provides some suggestions to expand the network intervention-based pre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판 사회복지사 공감척도의 타당화 연구

        김용석(Kim, Yongseok),송진희(Song, Jinhee),김묘정(Kim, Myojung),조민영(Jo, Minyou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4 No.1

        사회복지교육과 실천현장에서 공감의 중요성은 강조되어 왔으나 사회복지분야에서 공감을 개념으로 이론화하고 측정하거나 실천에 접목하려는 시도는 매우 적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복지분야에서 측정가능한 공감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공감을 개념화하고 외국에서 개발된 사회복지사 공감척도(Empathy Scale for Social Workers: ESSW)를 우리말로 번안한 후 신뢰도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한국어판 사회복지사 공감척도는 3요인(연민적 맥락사정 요인, 수용·협력적 탐구 요인, 내재적 도움과 정서적 지지 요인) 21문항이 타당성 있는 구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뢰도는 양호하였으며, 공감을 측정하는 다른 도구인 관계척도(BLRI)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수렴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평균 분산추출을 이용한 판별타당도도 입증되었다. 한국어판 사회복지사 공감척도의 개발은 공감개념을 체계화하고 반복적 측정을 통하여 근거에 기반한 사회복지실천과 이론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Although the importance of empathy has been emphasized in social work education and practice, efforts to theorize and measure the concept of empathy have been scar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Empathy Scale for Social Workers(ESSW), which was developed based upon theories and research findings related to empath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ESSW like its English version is composed of 3 factors(a compassionate contextual assessment, an accepting and attentive collaborative inquiry, and intrinsic helping and emotional support). The Korean version of the ESSW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snd satisfactory construct validity.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SSW would contribute to conducting scientific studies on empathy.

      • KCI등재
      • KCI등재

        UVB로 손상된 인체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핑거루트 에탄올 추출물 및 물 분획물의 피부 보호 효과

        연다솜(Dasom Yeon),이하나(Hana Lee),송진희(Jinhee Song),양진우(Jinwoo Yang),김영화(Younghwa Kim),정헌상(Heon Sang Jeong),이준수(Junso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8 No.1

        본 연구는 핑거루트 추출물 및 분획물을 이용하여 UVB를 조사한 인체 섬유아세포에 대한 광노화 억제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핑거루트 에탄올 추출물은 우수한 세포 보호 효과를 보였으나 2 μg/mL 이상 처리 시 높은 독성을 보였다. 따라서 우리는 에탄올 추출물을 용매 분획하여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 분획물을 얻었다. 이 중 물 분획물이 20 μg/mL까지 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UVB에 의한 세포생존율 감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였다. 또한 물 분획물 처리는 UVB에 의한 광노화의 주요인인 ROS 생성을 감소시켜 UVB 조사에 의한 인체 피부 섬유아세포의 산화적 손상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UVB 조사에 의해 유도되는 MMP-1, MMP-3의 mRNA 발현 및 단백질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세포 내 콜라겐 수준을 증가시켰다. 본 연구를 통해 핑거루트 에탄올 추출물의 물분획물이 UVB에 의한 광노화에 대하여 피부 보호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핑거루트 에탄올 추출물의 물분획물이 보다 안전하고 유용한 항산화, 항노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otective effect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and ethanol fractions from fingerroot were evaluated against UVB-induced photoaging in human skin fibroblasts. The ethanol extract of fingerroot showed cytoprotective effects but high toxicity when treated at 2 μg/mL or more. Therefore, we partitioned the ethanol extract into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aqueous fractions. Among these fractions, the water fraction from the ethanol extract showed dose-dependent protective effects with no cytotoxicity up to 20 μg/mL. In addition, the water fraction effectively inhibited the mRNA expression and protein produc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and MMP-3 induced by UVB irradiation and increased the intracellular collagen levels. In this study, the water fraction of fingerroot ethanol extract exhibited skin protective effects against photoaging induced by UV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