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버스를 활용한 공연 특성이 예술 계열 대학생의 메타버스 공연 관람에 미치는 영향 - 개인 혁신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송진화,이동수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0 No.2

        As "Untact" culture spreads among communities throughout pandemic from COVID-19, performances without contact have been built newly in fields of arts & performances as well. Such change in performance arts has developed on-line performances, especially focusing on Metaverse that has removed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virtual world, and maximizing online performances' efficiency. The industry of art and performances is putting more weight on online art performances to make a breakthrough this new society with untact culture especially by focusing on Metaverse technology. With acknowledging such background, we have studied about art performances based on Metaverse technology by choosing art-major undergraduates as subject, for having lowest entry to the metaverse-related art performances. We have also made quantitative study for the factors related to these students' intention to attend metaverse performances. To summarize, our study is made upon how quality, characteristic and emotional traits of metaverse performances are related to people's intention to attend these performances, and analyzing if personal innovativeness of art-major undergraduates can have mediator effect in this relationship. As a first result of study, characteristic of performances based on metaverse and emotional traits to this performance has valuable effect on peoples' intention to attend metaverse performances. Secondly, innovativeness of art-major undergraduates was shown to have partially mediate people's emotional trait an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to the metaverse performances. Our study has proved variants related to students' intention to participate metaverse performances, and implied plan to improve their intention to attend to such performances based on this result of analysis. 코로나19의 펜더믹을 통해 사회 전체에 비대면 문화가 심화되면서 공연예술계에서도 비대면 공연문화가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공연예술계는 온라인 공연의 발전에 집중하였으며, 특히 온라인 공연 중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무너트린 메타버스에 집중하였다. 즉 공연예술산업은 비대면 문화가 성행된 사회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 위해 온라인 공연예술에 집중하고 있으며, 메타버스라는 기술에 집중적으로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을 인지하여 메타버스 공연에 대한 이용의도를 연구주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메타버스 공연에 대한 장벽이 낮은 예술 계열 대학생을 선정하였으며, 예술계열 대학생의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와 관계성이 있는 요인들에 대해 양적연구를 하였다. 즉 메타버스를 활용한 공연 품질, 특성, 매타버스 공연에 대한 정서적 특성이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에 어떤 관계를 갖는지, 또한 이러한 관계에서 예술계열 대학생의 혁신성은 매개효과를 일으키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자면 첫째, 메타버스를 활용한 공연 특성과 메타버스 공연에 대한 정서적 특성은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둘째, 예술계열 대학생의 혁신성은 메타버스 공연에 대한 정서적 특성과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를 부분 매개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 결과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예술계열 대학생의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와 관계성 있는 변수들을 증명하였고, 예술계열 대학생의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를 높일 방안에 대해 시사하였다.

      • KCI등재

        공연계열 대학생의 창업요인과 창업의지와의 관계에 대한실증 연구: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송진화,이동수 한국비즈니스학회 2023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8 No.4

        본 고는 공연계열 대학생들의 창업요인들과 창업의지의 관계성에 대한 실증연구를 하였으며, 공연계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이러한 관계에 조절효과를 이루는지에 대해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공연계열 대학생들을 위한 창업지원프로그램의 효율성을 위해 양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공연계열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 창업지원프로그램이 창업의지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지, 개인적 특성, 창업지원프로그램과 창업의지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조절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양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자면, 첫 번째, 개인적 특성의 하위요인들 중 위험감수성이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었다. 그러나 다른 창업지원프로그램들과, 개인적 특성의 다른 하위요인들은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지 못했다. 둘째, 조절효과의 경우, 개인적 특성의 하위요인 중 위험감수성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조절변수로서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었다. 그러나 창업지원프로그램들과, 개인적 특성의 다른 하위요인들은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공연계열 학생의 창업의지에 연관된 창업요인들에 대해 이론적으로 증명하였으며, 공연계열 대학생들의 창업문화 활성화를 위한 공연예술 창업지원프로그램의 방향성에 대해 시사하였다. Subject research is to empirically study cor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majoring college students' reason and motivation, and to study if their self-efficacy can create self-regulation to the relationship. Also we've proceeded quantitative studying for efficiency of start-up supporting program for performance art majoring students. We put as our major question a 1. how personal trait, start-up supporting programs affect on start-up willing of people and two. how social support between in relations of personal trait, start-up supporting program, start-up willing, to verify availability on above two. To summarize a result of the experiments, first, factors with meaningful effects on start-up willing were innovativeness, risk sensitivity in personal traits those were having affirmative effectiveness. However, other factors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Second of all, in terms of regulation effect, it was self efficacy that were affective to start-up willings. out of cause-effect relationship intermediates risk sensitivity and start-up willing. However, factors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In conclusion, We have theoretically clarified launching reasons related to performance art majoring students' motivation for the startup, and proposed ways for more activated start-up supporting programs for Performing Art of major students.

      • KCI등재후보

        개인적 특성, 창업지원프로그램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송진화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1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5 No.2

        본 고는 공연예술 전공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대해 양적 연구하였다. 즉 공연예술 전공 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창업지원프로그램이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사회적 지지가 조절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독립변수인 개인적 특성의 혁신성과 위험감수성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다. 둘째, 개인적 특성의 혁신성과 위험감수성이 창업의지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조절변수로 기능하였다. 즉 공연예술 전공 학생의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혁신성과 위험감수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사회적 지지 유형의 창업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할 수 있었다. Subject research is a quantitative study to analyze major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art major student’s willingness of startup. It is to study how personal traits and startup supporting program affect willing of startup, and analyze if social support can function as regulative tool. As a first result of research, innovativeness and risk sensitivity of personal traits were figured out to have meaningful, direct effect on startup willing. Secondly, innovativeness and risk sensitivity of personal traits were having meaningful effect on startup willing, in terms of regulation effect social support. We have theoretically clarifying variables related to Art major students’ willing on startups as per these two studies, and hereby suggest ways to improve on startup supporting program for art major students.

      • Prediction of dysphagia by thoracic muscle mass estimated by chest computed tomography in elderly pneumonia patients

        송진화,진광남,이정규,김덕겸,허은영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8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6 No.-

        Background: Dysphagia is one of the main mechanism of developing pneumonia and it is related to atrophy of the swallowing musc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dysphagia in elderly pneumonia patients by measuring thoracic muscle mass on chest CT.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09 patients who were over 65 years and admitted as pneumonia, underwent both chest CT and videofluoroscopy (VFSS) between March 2012 and July 2018. Thoracic muscle mass was calculated using the cross-sectional area at the 4th thoracic vertebra (T4) level and adjusted by dividing the square of height. Dysphagia was defined when the result of VFSS was being unable to oral feeding and changing to nasogastic (NG) tube feeding.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4 level muscle mass measured by CT scan and the degree of dysphagia using VFSS. Results: Of the 109 elderly pneumonia patients, 37 (33.9%) patients diagnosed as clinically significant dysphagia. In male patients with dysphagia, the mean value of muscle mass index was lower than patients without dysphagia,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199.1±132.0 vs. 175.1±65.8, p=0.333). When we divided enrolled patients into quartile group according to the muscle mass, the highest quartile group showed decreased the risk of dysphagia than the lowest quartile group.(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0.47 (0.12-1.95), p value=0.300, p-for trend 0.579). Conclusion: The thoracic muscle mass measured by chest CT could not predict dysphagia in elderly pneumonia patients.

      • F-128 Prevalence and acute exacerbation rate of Asthma-COPD overlap syndrome in Korean COPD cohort

        송진화,( Chang-hoon Lee ),( Kocoss Investigators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6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1 No.-

        Purpose: We evaluated the proportion of asthma-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overlap syndrome (ACOS) among Korean COPD patients defined by recently suggested Spanish and modified Spanish (or ERJ) criteria, and investigated the impact of ACOS on acute exacerbation. Method: Among COPD patients enrolled in Korean COPD Subtype Study (KOCOSS), ACOS was defined as follows: (1)Spanish criteria - at least 1 major criterion (bronchodilator test (BDR)>400mL and 15% or past history of asthma) or at least 2 minor criteria(blood eosinophil>5%, IgE>100IU/mL, or BDR>200mL and 12%) (2)ERJ criteria - all 3 major criteria(persistent airflow limitation with 40 years of ages or older, smoking more than 10 PY or equivalent air pollution exposure, and BDR>400mL) and at least 1 minor criterion (history of atopy or allergic rhinitis, BDR>200mL, blood eosinophil ≥ 300cell/μL). During follow-up, moderate-to- severe exacerbations were evaluated. Result: Prevalences of ACOS according to the Spanish and ERJ criteria were 50.2%(694/1383) and 3.2%(44/1383), respectively. ACOS according to both criteria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ime to 1st exacerbation (hazard ratio(HR,1.42; 95%CI, 0.79-2.55 and HR, 0.27; 95%CI, 0.04-1.96; respectively) and the rates of moderate-to-severe exacerbation (incidence rate ratio (IRR),1.26; 95% CI, 0.82-1.92 and IRR 0.50; 95% CI, 0.19-1.29). Conclusion: There were substantial discrepancy in the proportion of ACOS among KOCOSS COPD patients between Spanish criteria and modified Spanish criteria. ACOS did not affect the risk of exacerbation.

      • KCI등재

        공연예술 전공 학생의 개인적 특성, 창업지원프로그램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송진화,이동수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2 No.2

        정부는 2020년 대비 창업지원 예산을 29.8% 증가시키면서 국내 창업지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진행하였다. 그러나 2020년 중소기업벤처부의 보고서를 살펴보았을 때, 전체창업지원 예산은 증가하였으나, 해양수산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는 2020년 대비 창업지원예산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문화체육관광부는 9.4억원 의 감소액을 보여주면서 가장 많은 창업지원 예산이 감소되었다. 즉 다른 산업분야와 비교하였을 때, 여전히 문화예술산업 분야의 창업지원은 미흡하다는 점을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기존의 문화예술 창업에 관한 연구를 문헌고찰하여 연구대상을 예술인 창업 의의에 가장 적합한 예술 전공 학생으로 좁혔으며, 특히 창업생존률이 높은 장르를 중심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문화예술 장르 중 대중성이 더 높고 시장규모가 더 큰 공연예술을 중심으로 공연예술 전공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좁혔다. 즉 본 연구는 공연예술 전공 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창업지원프로그램이 창업의지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효과성을 검증하 였으며, 창업지원프로그램, 공연예술 전공 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역 할을 하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연구결과에 대해 요약하자면, 첫째, 창업의지에 유의한 직접 효과가 있는 변수는 개인적 특성의 혁신성과 위험감수성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정(+)의 효과가 있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를 통한 매개효과의 경우, 개인적 특성 중 혁신성과 위험감수성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인과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변수로서 유의한 정(+)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공연예술 전공 학생의 창업의지에 관계된 변수들을 이론적으로 규명하였으며, 공연 예술 전공 학생을 위한 창업지원프로그램의 개선방향에 대해 시사하였다. Government has been actively enforcing on startup supporting policies by increasing related budget by 29.8% from 2020. However, the report of MSS shows that budget for startup supporting has been cut from MOF, MOIS and MCST from previous year, while MCST has reduced the most by 940 million Won. This clarifies Art Industry’s support on startup is still les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other industries. Subject study has narrowed group of objects to be limited as art major students those are mostly corresponding to the significance of artist startup, by acknowledging above problem and researching documents, and a group of performance art major student basis performance art genre, which has higher popularity and bigger market for it, to majorly study genre with higher survivability for making startup. In other words, our subject study has verified effectiveness of performance art major students’ personal traits and startup supporting programs on willing of creating startup. It also has verified if social support could function as mediator in relationship between startup willing and students’ personal trait and startup supporting program. To summarize first result, factors with direct meaningful effect on startup willing were innovativeness and risk sensitivity in people’s own trait, and they were positively affective. Second, it was social support that were positively affective in cause-effect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trait and startup willing, in case of mediated effect basis social support. We theoretically clarified variables related to Performing Art major students’ startup willing with these results of studies,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on startup supporting program for Performing Art major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