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역사교육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송인주(Song In-Ju)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2

        본 연구는 ‘역사를 위한 역사’, ‘역사가를 위한 역사’가 아니라, 역사를 전공한 역사가로서 그리고 교육대학교에서 ‘역사교육을 담당하는 역사교육자’로서의 복합적 경험에 의거하여 기왕의 한국 역사교육연구에 관한 비판적 성찰을 하려는 데 있다. 그리고 그 연장선상에서 역사교육연구의 방향을 모색한 것이다. 연구자로서 현 단계 우리나라 역사교육연구 전반을 회고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무엇보다 정확한 현실인식에 입각하여 역사교육을 바라보려고 하는 교육철학의 빈곤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역사교육에 대한 메타담론을 뿌리로 교육과정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한편 그 토대위에서 역사교육과정과 역사교육연구의 이론과 좌표를 설정해야 한다고 본다. 미래를 겨냥한 한국 역사교육연구의 유용성은 교육철학과 교육과정 그리고 역사교육과정과의 유기적이며 정합적인 연계 고리를 통해 그 정당성과 타당성의 준거가 마련될 때 비로소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previous research of history education in Korea not in terms of ‘history for history’ or ‘history for historians,’ but in terms of a history educator’s experiences, and suggest a better direction for Korean history education. The biggest problem at present in Korean history education in general seems to be the lack of philosophy in which history education is viewed with appropriate awareness of reality. I suggest that we establish the identity for a long standing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education upon the meta-discourse of this philosophy, and the discourse for history education research should start off from this meta-discourse. The value of research of history education for the future could be assumed when it acquires it’s justification and validity through organic and synthetic integration of the philosophy of education, the curriculum, and teaching practices in history classroom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기획논문 : 개인사 프로젝트를 활용한 초등 역사교실수업

        송인주 ( In Ju Song ),하선희 ( Sun Hee Ha ) 역사교육학회 2015 역사교육논집 Vol.55 No.-

        History is a kind of object that is not familiar and directly perceivable. It is, therefore, very difficult for students o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o understand and interpret a historical topic while exploring history. As an effective history education for children, this paper suggests the personal history project through which children could experience how history is structured and on what basis it is explored. Through this project, the children tracked their life based on their memories, photos, interviews, etc. They came to learn that more credible is us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rather than relying on a single resource. They also experienc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themselves. They showed themselves signifying their life with their own language during the chronology making activity, autobiography writing and letter writing. The children became the subject of history exploration and came to have their own personalized history.

      • KCI등재

        예비 초등 교사들의 역사 프로젝트 구성상의 문제점과 과제

        송인주 ( Song In-ju ) 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논집 Vol.67 No.-

        This paper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e history projects preservice teachers have composed by evaluating their project guides meanwhile also proposing future tasks. As hitherto pointed out, project learning is a class activity that depends on a teacher’s thorough plan of the different levels of classes and strategies. Teachers preferentially choose an important topic among the education schedule set out for a particular grade and comprise a systematic professor learning guidance plan. As an extension after they construct the learning content and the material, teachers present a guideline that represents the research’s main emphasis and goals. Based on such guidelines they deploy activity. Finally with the historical knowledges that derived from this progress, and the debate between students the final results are drawn. Of course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a checklist that teachers made prior to the deployment of the project and are let known to the students. The success of the project learning completely depends on the role of a teacher. In other words teachers are given the profession of history teaching and the responsibility. However, unfortunately, the history project guidelines pre-service teachers show are showing no little problems. Therefore in universities there needs to be a multilateral study of teaching methods that are needed for pre-service teachers when employing history project learning.

      • KCI등재

        예비 초등 교사들의 역사 인물 프로젝트 후기 분석

        송인주(Song, In-Ju)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9 사회과교육 Vol.58 No.2

        본 연구는 대구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들이 역사 인물 프로젝트를 수행한 이후 제출한 자전적 에세이를 연구자가 항목별로 재개념화하여 분석한 글이다. 그동안 프로젝트 학습은 교실수업에서 교사로 하여금 반성적인 실천가로서의 태도를 이끌어내는 유의미한 자기 반성적 교육활동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 역사교과라는 교과내용의 바탕이 되는 통사적 역사지식의 방대함과 역사교육 방법론의 적용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교육상황이 부족한 관계로 그 실현성은 매우 떨어져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이미 종래의 한 연구를 통해 연구자의 입장에서 예비 초등 교사들이 작성한 역사 프로젝트의 다양한 양태와 문제점을 조명한 바 있다. 이번의 논고는 그 연장선상에서 역사 인물 프로젝트 수업 실행에 참여했던 예비 초등 교사들이 자신들의 시각으로 보고 듣고 느끼며 경험했던 점을 회고해 보려는 목적에 따라 기획되었다. 미래의 예비 교사들인 학생들이 역사주제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인식하고 접근하고 있는지, 그리고 프로젝트와 연계한 초등 현장 역사교실수업의 진전을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하는 점에 관한 선행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사회과 역사영역의 수업을 담당할 예비 초등 교사들에게 하나의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프로젝트 학습과 관련된 사회과 역사교육의 실천성을 그려나가려는 도상계획의 일환인 셈이다. This study presents the researcher’s analysis of autobiographical essays submitted by pre-service teachers after they experienced constructing a history project. It is widely accepted that project education is a reflective education program in that it leads teachers in classrooms to become reflective practitioners. However, in the field, the immensity of historical knowledge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curriculum content of History, and a teacher’s professionalism, which is rooted in the methodology of history education, along with the educational circumstances that back up these conditions, are not sufficient, consequently degrading feasibility. With this context, the author took the perspective of a prior researcher’s perspective to look into the diverse manifestation and problems with history projects written by pre-service teachers. This contention was designed for the purpose of retrospecting the experiences pre-service teachers had while participating in history project classes. In the existing literature, there is not much precedent research about how students, who will later on become pre-service teachers, comprehend historical topics, and what is required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 history classes. Taking this into account,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 guideline for pre-service teachers who are in the fields of social science history. In short, this research is a specific plan to secure the actual practice of social science histor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