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금융제도의 제도적 특수성에 대한 고찰: 은산분리완화 논쟁을 중심으로

        송원섭 한국제도∙경제학회 2019 제도와 경제 Vol.13 No.2

        All the phenomena that are happening in the recent Korean economy and society are now linked to each other in such a way that it is difficult to draw good analysis from one field of research. Therefore, “institutional economic perspective”, which explains the phenomenon or task with mixing the economic, political, and philosophical viewpoints, is needed. From this point of view, there are many reasons why the discussions on mitigation of separation of banking and commerce related to internet banking business are out of essence. And it is true that many of those causes are not solved in the short term. However, if we conduct discussions or detailed restructuring on the easing of separation of banking and commerce without pointing out which factors are more serious and essential to the Korean economy, the results will not be evaluated again as successful. In this article, first, we look at the problem of separation of banking and commerce from the perspective of institutional specificity of Korea. Secondly, we summarize the causes that bring the problems to escape from the essence, and identify the existing problems. Finally, we suggest some more ideas for the successful institutional restructuring. 본 논문은 그간의 한국의 금융제도를 이론적인 측면보다는 실제 운영행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정당성을 평가하는 한편 향후의 금융제도개편에 있어 참고가 될 정책사례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발전국가 시기에 형성된 한국의 금융제도는 산업화 과정이 전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본질적 특성이 여전히 지속되었던 제도의 경로의존성을 뚜렷하게 보이고 있었다. 금융제도가 제도 속에 내재되어 있는 각 행위자들인 정부와 은행, 기업의 행위를 제약함에 따라 경로의존이 발생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즉, 한국의 금융제도의 변화·지속과 관련된 정책결정이 단순히 국가능력이나 시장 논리에 의해서라기보다는 제도와 관련된 각 행위자들의 이해관계와 기회의 범위 및 권력 작용에 따라 실증적으로 결정되고 있음을 ‘경로의존성’이 보여준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경로의존성을 설명할 수 있는 설명변수들을 인터넷 전문은행 관련 은산분리완화 논의가 본질을 벗어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는 원인들을 찾아보는 과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신자유주의 헤게모니’라는 외부적 특수성과 ‘발전국가’라는 내부적 특수성, 그리고 이 둘의 ‘역설적인 혼합’이 이러한 제도 개선문제들의 본질을 흐리게 만드는 주요 원인이라는, 다시 말해서 ‘한국 제도의 경로의존성’이라는 ‘종속변수’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요소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한국의 금융제도는 ‘신자유주의’라는 변수에는 매우 쉽게 반응하여 경로를 벗어나거나 경로를 유지하는 이유로 설명할 수 있는 경우가 매우 많으며, 여기에다 ‘발전국가’라는 변수는 금융제도를 운용하거나 변경해야 하는 금융당국의 역할을 제대로 설정하지 못해서 결국은 시장에 모든 걸 맡기면 균형에 도달하게 된다는 논리에 빠져들게 만든다는 것이다. 이 두 요소의 역설적인 혼합은 역량이 약하고 신뢰도가 낮으며 신자유주의에 포획된(captured) 금융당국으로 발현되어 한국의 금융제도가 변화에 잘 적응하지 못하게 되는, 즉 ‘경로의존성’을 가지게 되는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 마디로 요약하면, 최근 한국 금융제도 개선방향은 ‘신자유주의적’ 이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Landscape Changes in a Local Lineage-based-Village of South Korea: The Hidden Geographies of Darsil Village, Gyeongsangbuk-do Province

        송원섭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9 한국고지도연구 Vol.11 No.1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land and people of a certain local lineage-based-village of Korea through the concept of a ‘precarious peace’. During the last 40 years, based mainly on the notion of Neo-Confucianism, the historical and cultural meaning of the local lineage-based-villages of Korea has been explored not only by Anglophone and Korean but also by Korean human geographers. Despite of the great achievement of their research, it seems to be hard to say that multifaceted-conceptual approaches – peace, materiality, landscape, modernity, etc. - to the local lineage-based-villages of Korea has been unveiled in the context of historical and cultural geography. Using GIS data analysis, on the land registry records of Darsil village between the 1910s and the 1970s-1980s and interview data collected from the villagers, the paper shows that water conflicts for rice cultivation of the village was an ever-present danger, threatening the collapse of the community of Darsil village before the 1970s-1980s. From this empirical basis, a concept of peace as a precarious socio-spatial process emerges, contributing historical and cultural meaning for the local lineage-based-villages of Korea.

      • KCI등재

        1997년 외환위기와 한국관료제의 변화: 공적자금투입과 금융감독체계 개편과정을 중심으로

        송원섭 한국제도∙경제학회 2019 제도와 경제 Vol.13 No.4

        This paper looked at the direction of the change in the Korean bureaucracy that had been under way since the financial crisis, and at the same time, it looked at the fundamental reasons why financial reform could not succeed by looking at whether the nation's intended goal was achieved through bureaucratic reform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financial crisis. In fact, the Korean bureaucracy was changing and its cohesiveness and policy execution within the bureaucracy was weakening in the process. What has been all the more important since the 1990s was how far we will establish a system of Korean bureaucracy that can properly cope with internal democratization and external neo-liberalistic globalization. Since 1997, however, the Korean bureaucracy has changed with a neo-public management reform direction, and the team system, position classification system and work evaluation system have been introduced as representative, and the intended goal of the state has not been achieved since such reform. With the large scale of several bureaucracies, the ‘internal cohesiveness' weakened further after the reforms, and as bureaucrats became increasingly influenced by political power, the ‘embedded autonomy' was also weakened, and officials were unable to find ‘bureaucratic rationality' in the face of an ‘identity crisis’, thereby providing a reason for their weakening confidence for the government. As a result, the country's attempts to overcome the financial crisis and establish an institution that will be the basis for future economic growth through bureaucratic reforms were unsuccessful and the reforms in the wrong direction resulted in shaking the stability of the Korean bureaucracy. After the financial crisis, the state bureaucracy that should have been the subject of all reforms shook for a variety of reasons, and this paper concluded that financial reforms could not be successful fundamentally. 본 논문은 한국경제발전의 핵심으로 평가 받았던 관료제를 내부적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정당성을 평가하는 한편 향후 경제성장을 위한 관료제 개편에 있어 참고가 될 정책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1980년대 이후 한국은 발전국가체제의 국가 주도적 산업화전략에서 탈발전국가체제의 시장 주도적 산업화 전략으로 점차적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본고는 1997년 이후 금융개혁에서 관료의 행동들과 실제 관료제 내부의 변화를 중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발전국가의 변화와 성장모델의 전환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이 다름 아닌 국가 관료 기구 내부에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은 금융위기 이전부터 진행되어 왔던 한국 관료제의 변화가 금융위기 이후에는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되었는지를 살펴보면서, 동시에 금융위기 극복과정에서 관료제 개혁으로 국가가 의도한 목표가 달성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금융개혁이 성공할 수 없었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보았다. 사실 한국 관료제는 변화하고 있었고 그 과정 속에서 관료제 내부의 응집력과 정책적 실행능력은 저하되고 있었다. 1990년대 이후 더욱더 중요했던 것은 내부적으로 민주화와 외부적으로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한국 관료제의 시스템을 여하히 구축할 것인가 하는데 있었다. 하지만 1997년 이후 한국 관료제는 신 공공관리론적인 개혁 방향을 지닌 채 변화해 왔으며, 대표적으로 팀제, 직위 분류제, 업무평가제 등이 관료제에 도입되었고, 이러한 개혁 이후 국가가 의도한 목표는 달성되지 못했다. 몇 개 관료부처의 거대화로 ‘내부 응집력’은 개혁 이후 더욱 약화되었고, 개혁 이후 관료들이 더욱더 정치권력에게 휘둘리게 되면서 ‘연계된 자율성’ 또한 약화되었으며, 관료들은 정체성위기를 맞이하면서 ‘관료적 합리성’은 찾아볼 수 없게 되었고, 그에 따라 정부에 대한 신뢰가 약화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하였다는 정책사례를 제시할 수 있었다. 결국, 금융위기 극복과 앞으로 경제성장의 기반이 될 제도를 관료제 개혁으로 마련하려는 국가의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으며, 잘못된 방향의 개혁으로 한국 관료제의 안정성을 뒤흔드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금융위기 이후, 모든 개혁의 주체가 되었어야 했던 국가 관료기구가 여러 가지 이유로 흔들리면서, 금융개혁이 성공할 수 없었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 되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 KCI등재

        흉(胸)·요추압박골절(腰椎壓迫骨折) 환자(患者)의 화타협척혈 침치료(鍼治療)에 대한 임상적 고찰

        송원섭,황재연,신영일,이병렬,Song, Won-sub,Hwang, Jae-Yeon,Shin, Young-Il,Lee, Byung-Ryul 대한침구의학회 2001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3 No.5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result of thoracolumbar compression fracture patient treated with Hua-Tuo-Jia-Ji-Xue(華?夾脊穴) acupuncture. Methods : This clinical study was carried out 50 cases with thoracolumbar compression fracture, who had been admitted from January, 2000 to February, 2001, in the department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Hanseo University Oriental Medical Hospital. We divided two groups; A group, without using Hua-Tuo-Jia-Ji-Xue(華?夾脊穴) acupuncture and the other group is B group, by using Hua-Tuo-Jia-Ji-Xue(華?夾脊穴) acupuncture. Results : 1. The distribution of sex and age, 78% were female, and 84% were most above there sixties. 2. In the duration of symptom, the largest group was over 4 weeks. 3. In the distribution of cause, the largest group was "lifting heavy object"(32%) and the next was "slip down"(26%). 4. In the distribution of injured level was L1 body the most(19.6%) and T12 body was the next. 5. In the distribution of clinical symptoms on the admission, the largest group was lumbosacral pain(18%). 6. The result of treatment due to the duration of admission, 17case(34%) was the most above "Fair" during the 2~3 weeks. 7. The result of treatment, Good and Fair were the same in 24case(48%). 8. The duration of treatment was longer in high grade of clinical symptom. 9. B group discharged above good state 60% higher than A group.

      • KCI등재

        이익/손실 프레이밍과 사전 태도가 상호작용하여 국제구호 메시지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송원섭,이승조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9

        Messages to help people far away, such as International relief campaign, are heavily influenced by situational factors. In this light,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 message characteristics (gain/loss framing)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previous attitude to helping activity) interact to affect the message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study was conducted by an experiment involving 220 subjects. The analysis resulted in th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gain/loss framing and pre-attitude by the same direction for message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 It was shown that gain framing worked more effectively for the relatively more friendly group towards helping activities than for the less friendly one. The same direction was shown in the loss framing, but its difference was smaller. The process of the interactions appeared as mediated by anticipated satisfaction. The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proper planning of messages to help others. 국제기아와 같이 멀리 떨어진 사람들을 돕기 위한 메시지는 상황적인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메시지의 특성(이익/손실 프레이밍)과 개인의 특성(돕기 활동에 대한 사전 태도)이 상호작용하여 메시지 태도와 행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는 220명이 참여한 실험으로 진행하였다. 메시지 태도와 행위 의도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 이익/손실 프레이밍과 사전 태도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게 발현되었다. 그러한 상호작용은 사전 태도가 상대적으로 우호적인 집단에 대하여 이익 프레이밍이 더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였다. 손실 프레이밍에서도 같은 방향성이 나타났지만 그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았다. 이러한 상호작용의 방향성은 기대 만족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타인을 돕기 위한 메시지의 적절한 기획을 위한 실용적, 이론적 의미를 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