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스페인의 '외국어로서의 스페인어' 교육 정책

        송예림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4 국어교육연구 Vol.34 No.-

        본 연구는 스페인의 '외국어로서의 스페인어' 교육 정책을 고찰하는 데 그 목표가 있다. 세계 21개국의 공식 언어이자 4억 명 이상이 모국어로 사용하는 스페인어의 국제적 영향이 확대되면서 스페인어에 대한 학습 수요도 크게 늘자 외국어로서의 스페인어 교육은 스페인 정부의 주요 정책 과제가 되었다. 우선 이러한 교육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1990년대 이후의 역사를 두 단계로 나눠 알아보았다. 첫 번째는 1988년 스페인어 공인 자격증인 DELE 시험제도의 창설과, 1991년 스페인어권 언어와 문화를 보급하기 위한 공공 기관인 인스띠뚜또 세르반테스를 설립하면서 성장의 기반을 다지게 되는 시기이다. 두 번째는 유럽 연합의 『언어 학습, 교육, 평가를 위한 유럽 공통 참조 기준』(2001)의 발간과 구체적인 스페인어 커리큘럼인 『인스띠뚜또 세르반테스의 커리큘럼 플랜』(2006)이 출판되며 본격적으로 성장해 나가는 시기이다. 외국어로서의 스페인어 교육을 위한 대표적인 정책은 첫째, 교수·학습을 활성화하는 원동력으로서의 DELE 자격증 제도, 둘째, 커리큘럼의 통일을 바탕으로 한 양질의 스페인어 강좌, 셋째, 체계화된 교사 교육, 넷째, 다양한 정보기술 프로그램의 활용, 다섯째, 학술 연구의 지원 및 스페인어 현황을 분석한 연감의 발간, 여섯째, 스페인 어문학 전문가 육성을 위한 장학금 지원으로 요약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책 연구를 통해 외국어로서의 스페인어 교육 정책의 현황과 과제를 알아보고, 한국어 교육에의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cy for the teaching of Spanish as a foreign language in Spain, a major policy task for the Spanish government. This study first reflects on the history of the policy making for Spanish education. The first phase focused on building a foundation for growth through the creation of the DELE in 1988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o Cervantes in 1991. The second phase focused on growing in earnest, with the introduction of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by the Council of Europe in 2001 and the publication of Curricular Plan of the Instituto Cervantes in 2006. There are six representative policies: (1) the organization of the DELE, (2) the provision of Spanish courses, (3) the provision of training courses for Spanish teachers, (4)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5) the support for research and publication of yearbooks, and (6) the provision of scholarships. Finally, this study also suggests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현재완료 및 단순과거 시제대조 분석을 통한 문법 교육의 지향점 - 이론 문법에서 교육 문법으로

        송예림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18 스페인어문학 Vol.0 No.86

        This study aims to define pedagogical grammar and its content selection criteria for the development of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eaching Spanish as a foreign language. The grammar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a link for implementing the linguistic theory of the language form into teaching practices. For this reason, pedagogical grammar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normative grammar and descriptive grammar. The study, therefore, selected the opposition between the present perfect and the preterite in the Spanish-speaking world in order to search for adequate perspectives of pedagogical grammar on this grammatical phenomenon beyond the theoretical visions of normative and descriptive grammar. First, this study examined this contrast in Nueva gramática de la lengua española, and then in Gramática descriptiva de la lengua española.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norms and the uses of the present perfect-preterite suggested by these two grammars, which were made for native speakers, it was discussed what should form the content of the pedagogical grammar according to the mentioned selection criteria in actual classrooms.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ot just the tense markers but also the speaker’s subjective point of view toward the temporal reference of an action to select the tense for the description of what has happened recently. In the actual Spanish classroom, the preterite that is used in much of Latin America, as well as the present perfect, widely used in the Iberian Peninsula, should receive significant attention.

      • KCI등재

        Manuales de ELE centrados en la enseñanza de la cultura hispánica en Corea del Sur: análisis y evaluación de la dimensión cultural.

        송예림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4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25 No.2

        In teaching and learning Spanish as a foreign language in Koreanclassrooms, cultural components play a key role in developing the students’communicative competence. Incorporating culture into the Spanish languagecurriculum is one of the main objectives of the Seventh Curriculum, proposed by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cultural dimensionexplored in two mainstream Spanish textbooks, published for Korean highschools, that focus on integrating Hispanic culture into Spanish education: Lacultura hispánica (Seoul, 2003) and Culturas hispanas (Seoul, 2011). This studyfirst analyzes La cultura hispánica according to the sociocultural inventories ofthe Plan curricular del Instituto Cervantes and the four criteria of analysisproposed by Areizaga. Following this, the study examines Culturas hispanas bycomparing and contrasting it with La cultura hispánica. To assess the integrationof language and culture, the study considers some activities within a thirdtextbook of culture and civilization, El mundo en español: lecturas de cultura ycivilización nivel A2 (Madrid, 2013), as a comparison point for the two targettextbook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two textbooks’ cultural componentsmay constitut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Spanish textbooksin Korea. En la enseñanza-aprendizaje del español como lengua extranjera(ELE) en el aula coreana, el componente cultural desempeña un papel clavepara desarrollar la competencia comunicativa de los alumnos. Incorporar lacultura en el currículo escolar de ELE es uno de los principales objetivos delSéptimo currículo escolar, propuesto por el Ministerio de Educación de Corea. Este artículo examina la dimensión cultural abordada en dos manualesrepresentativos que se centran en la integración de la cultura hispánica en ladidáctica de ELE, publicados para los bachilleratos de Corea: La culturahispánica (Seúl, 2003) y Culturas hispanas (Seúl, 2011). Analizamos, en primerlugar, La cultura hispánica, según los inventarios socioculturales del Plancurricular del Instituto Cervantes y los cuatro criterios de análisis de Areizaga. En segundo término, se examina el texto Culturas hispanas, a fin de comparary contrastar ambos manuales. Para valorar la integración de lengua y cultura,consideramos algunas actividades de un tercermanual de cultura y civilización,El mundo en español: lecturas de cultura y civilización nivel A2 (Madrid, 2013),como punto de comparación con los citados manuales coreanos. Pensamosque el resultado del análisis del componente cultural de los dos libros de textopodrá constituir un aporte significativo para el desarrollo de losmanuales de ELEen Corea.

      • KCI등재
      • KCI등재

        교육과정 전환기 문화 교육에 대한 스페인어 교사의 인식

        송예림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23 스페인어문학 Vol.- No.108

        Korea’s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dopts the term intercultural perspective and aims to develop learners’ intercultural competences.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45 Korean Spanish teachers to analyze their perceptions and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and improvement points for teaching culture in Korean secondary Spanish education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before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25. The teachers answered closed-ended questions about the need to teach culture, methods of teaching culture, the contents of culture teaching, and their evaluation of the three goals of the Spanish curriculum, as well as open-ended questions about defining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suggesting improvements for teaching culture in Spanish classrooms. Through this analys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eachers’ perceptions of the problems and areas for improvement in teaching culture in Spanish education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development.

      • KCI등재

        교육 문법에서의 가정미래 - ELE 교재에서의 접근 방법

        송예림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19 스페인어문학 Vol.0 No.92

        In traditional Spanish grammar, the conditional is usually explained in temporal terms: as the future in the past. However, the conditional has more important modal values that are manifested through communication, such as conjecture, attenuation, courtesy, modesty, etc. This study analyzes which of these values should be taught in the pedagogical grammar of Spanish as a foreign language (SFL) through an analysis of Nueva gramática de la lengua española and Plan curricular del Instituto Cervantes. Then, the four representative SFL textbooks are selected: Prisma continúa, Nuevo ven 2, Agencia ELE 3, and Gente hoy 2. The approach and activities of each SFL textbook are analyzed, including how the conditional form and values are presented and what activities are available for students to practice this grammatical structure. This analysis reveals that these textbooks mostly attempt to use a focus on form or an inductive approach and present various communicative activities, including the modal values of the conditional.

      • KCI등재

        행위중심 접근법에 따른 대학 스페인어 언어·문화 통합 교육방안

        송예림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6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27 No.3

        The natural integration of linguistic and cultural element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has become an essential task for the development of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A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realizing this task in teaching Spanish as a foreign language, this study uses the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2002) and its action-oriented approach. This study will present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didactic proposal for integrating language and culture in a Spanish class in a Korean university. On the basis of the needs analysis results of the learners about the target language learning and use, the final task and subject are identified, and the procedure is determined by selection of the subtasks in each step. This study will specify the preparation and presentation of tasksmade by four student groups, and analyze the evaluation of learners on the task performance. Finally, this study will evaluat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is didactic proposal in relation to the goal of “Spanish education based on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ion”. 외국어 교육에 있어 언어적 요소와 문화적 요소의 자연스러운 통합은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발달을 위한 필수적 과제가 되었다. 본 논문은 외국어로서의 스페인어(español como lengua exteranjera: ELE) 강의 내 언어·문화 통합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언어와 문화를 바라보는 발전적 시각을 제시하는 『유럽 공통참조기준』(2002)과 이 참조기준이 제시하는 언어 교수·학습의 기본적인 틀인 ‘행위중심 접근법’을 채택할 것이다. 한국 대학의 교양 스페인어 강의를 대상으로 행위중심 접근법을 적용하여 언어·문화 통합 교육 방안을 설계하고 수행한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목표 언어 학습 및 사용에 대한 학습자들의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과제 및 주제를 정한 후, 단계별 하위 과제 선정을 통해 절차를 확정한다. 실제 강의 내에서 4개의 학생 그룹에 의해 이뤄진 과제 준비 및 발표를 통해 최종 과제를 마무리하고, 과제 수행 평가를 위해 학습자 대상의 설문지 결과를 분석할 것이다. 최종적으로 ‘언어·문화 통합을 바탕으로 한 올바른 ELE 교육’이란 목표에 기반하여 본 교육 방안의 설계 및 수행에 대해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 KCI등재

        온라인으로 경험한 멕시코의 언어와 문화 - COVID-19 시대 해외 연수 참여자의 상호문화적 경험

        송예림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3 중남미연구 Vol.42 No.4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확산으로 대학의 해외 연수 또한 온라인으로 제공하려는 노력이 이뤄져 왔다. 본 연구의 목표는 온라인 단기 해외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22명의 대학 스페인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축적한 상호문화적 경험과 온라인 학습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국내 한 대학교가 주관하고 멕시코 대학교에서 실시간 화상강의 시스템을 이용해 제공한 3주간의 온라인 해외 연수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은 스페인어 수업, 지역학에 기반한 멕시코 문화 수업, 문화 체험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법으로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인식과 평가를 분석하였고 3명의 학생과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목적 및 성과, 상호문화적 감수성 척도, 멕시코와 멕시코 사람에 대해 가진 이미지인 고정관념의 변화, 긍정적인 문화 충격 및 부정적인 문화 충격에 대한 참여자들의 의견을 수집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을 통해 경험한 온라인 학습에 대한 평가를 리커트 5점 척도 문항에 대한 답안을 통해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온라인 해외 연수의 장단점과 개선점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COVID-19 시대 새롭게 등장한 온라인 해외 연수 프로그램이 실제 목표 언어 및 문화에의 몰입 환경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COVID-19 이후 시대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Due to the global spread of COVID-19, significant efforts have been made to provide online study abroad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analyzes the intercultural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online learning among 22 undergraduate Spanish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a three-week online study abroad program hosted by a Korean university, in collaboration with a Mexican university, utilizing a real-time video lecture system. The program consisted of Spanish classes, Mexican culture classes based on regional studies, and 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At the end of the program, the 22 participants shared their perceptions and assessments of online learning via a questionnaire, and three participants volunteered to take part in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focuses on multiple phenomena, including the objectives and outcomes of program participation,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 transformations in preconceived stereotypes of Mexico and Mexican people, and positive and negative culture shocks. In addition, the 22 participants evaluated the online learning experience by providing answers to questions on a five-point Likert scale. Finally, they presented the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areas for improvement of the online study abroad program. Through this, we evaluated whether the online study abroad method, which emerged in the COVID-19 era, could be a viable alternative to the in-person study abroad method in the post-COVID-19 era despite the online method’s limitations in providing an immersive experience in the target language and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