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시 지하철 네트워크의 접근성과 공간적 형평성

        송예나,이금숙,장한울 한국경제지리학회 2019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2 No.4

        In Seoul, the subway system has been in use since 1974 and is the most frequently used travel mode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40% of passenger journeys in 2015. As such the subway system is widely adopted by people and therefore, can have great impacts on their everyday life. However, it is easily noted that transit resources are not distributed spatially uniform, in other words, not all parts of the city gain the same benefits from their network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equity of spatial distribution of subway networks based on accessibility. Accessibility of subway networks are calculated based on the time-distance between stations and then equity is measured using the Gini index. Resulted map of subway accessibility shows that the benefits are not evenly distributed in Seoul with a pattern of highly accessible core - less accessible periphery areas. Also the subway accessibility network has fairer distribution against the employees’ distribution rather than the distribution of general population or possibly transit dependent groups. 서울시 지하철은 1974년 개통되어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왔다. 지하철은 최근 전체 여객 통행의 40% 정도를 담당하며 가장 자주 사용되는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따라서 지하철 접근성이 시민들의 일상생활에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지하철을 비롯한 대중교통 자원은 공간적으로 균등하게 분배되지 않아 이로 인한 혜택이 불균등하게 배분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지하철 접근성의 공간적 분포와형평성을 살피고자 한다. 지하철 접근성은 역 간 이동시간을 계산하여 산출하였고 형평성은 지니계수를 적용하여 수치화하였다. 그 결과 지하철 접근성은 중심부-주변부 패턴을 보이며 중심업무지구는 높게 서울시 외곽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지하철 네트워크는 인구 및 대중교통 의존 계층의 공간 분포보다 고용자 분포를 고려해 보았을 때 보다 공평하게 배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국내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 분석 : 법인세의 영향을 중심으로

        송예나,김성현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2023 韓國經濟의 分析 Vol.29 No.2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corporate income tax on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OFDI) in Korea. We construct the panel data of OFDI heading towards 21 main hosting countries from 2007 to 2020. We follow Devereux and Griffith(1999, 2003) to calculate effective corporate income tax rates of Korea and destination countries. In addition to the aggregate OFDI data, we classify OFDI data by industry and purpose of investment, and separate investment into tax haven countrie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corporate income tax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aggregate OFDI but d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OFDI for the purpose of third-country seeking, especially investment towards tax havens and in financial and insurance industry. The results that the role of corporate income tax differs by various factors can provide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beneficial OFDI. 본 논문은 국내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 중 법인세의 역할을 분석한다. 계량 분석을 위해 2007~2020년 동안 한국의 해외직접투자가 향한 21개 주요 투자유치국별 해외직접투자 패널 데이터를 구성하였고 Devereux and Griffith(1999, 2003)의 방법을 사용해 국가별 평균실효세율을 계산하여 변수로 사용하였다. 전체 투자액을 사용한 분석 외에 산업별과 목적별로 투자를 구분하고, 최근 들어 증가한 조세피난처로의 투자를 구별하여 법인세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전체 해외직접투자는 법인세 차이에 유의미하게 반응하지 않지만, 제3국 진출을 목적으로 투자한 경우 조세피난처로 향한 투자는 법인세에 유의미하게 반응하고 이는 주로 금융·보험업에서의 해외직접투자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법인세의 영향이 여러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결과는 해외직접투자 관련 정책 수립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

      • KCI등재

        Change of Knowledge Intensive Service Sectors’ Employment in Two Highway Corridors on the U.S. East Coast

        송예나,William P. Anderson,T. R. Lakshmanan 한국경제지리학회 2010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3 No.4

        Aiming to reveal the employment evolution around interstate highway corridors,an extended shift-share analysis is conducted for metropolitan areas in two interstate highway corridors on the U.S. east coast: I-95 and I-85. Our focus is on knowledge service sectors, specifically finance, insurance, business services and health services for two time periods, 1977-1990 and 1990-2005. In the first period, the two corridors’ metropolitan areas have outperformed their regions in terms of both output and labor productivity. But this picture turned negative in later period with some variation by industries. Also variation in performance over time was found even in metropolitan areas in the same corridor or in geographically adjacent areas.

      • 지속가능한 교통의 실천 -Connect2 사례 연구-

        송예나 ( Yena Song )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현대사회과학연구 Vol.19 No.-

        자동차 위주의 통행은 교통체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 공중보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경제력이 높아지면서 자동차에 대한 의존이 높아지는 만큼 선진국을 중심으로 이러한 추세를 역전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걷기와 자전거를 도시 내 단거리 통행에 이용하도록 장려하는 정책이 여러 곳에서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영국의 자전거-도보 기반시설 설치 프로젝트인 Connect2가 가져온 효과를 내부 자료와 관련 논문을 이용해 정리한다. Connect2 사업으로 80여 개에 달하는 자전거-도보 기반시설이 신설 혹은 개선되었다. 이를 평가하기 위해 구성된 iConnect 컨소시엄은 기반시설 건설 전, 후에 대규모의 설문을 실시하여 교통, 환경, 공중보건의 측면에서 그 영향을 살펴보았다. Connect2 시설은 그 자체로 통행 행태를 바꿔놓지는 못 하지만 이에 적극적으로 노출된 사람들은 걷기와 자전거 타기를 일상생활에 더많이 이용하였다. 또한 해당 시설에 대한 접근성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체활동량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이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이지 못 해 기반시설 변경으로 인한 효과가 예상했던 모든 측면에서 나타나지는 않았다. Heavy dependence on the motorized modes has been accused of traffic, environmental pollution and inactive lifestyle. Increased economic status usually leads people to use cars more rather than active modes, such as walking and cycling. Thereby many developed countries try to reduce car uses and thus to attenuate the adverse impacts from the reliance on the motorized travels by accompanying more walking and cycling in people’s daily travels. This study describes the Connect2 project, a sustainable transport that constructs walking and cycling infrastructure in the U.K. and explores the impacts of the project using published papers and inside data. Connect2 initiatives constructed or improved approximately 80 walking and cycling infrastructure. An independent research consortium, iConnect evaluated the process and impacts of the Connect2 by conducting population surveys before-and-after the infrastructure installments. Three aspects, transport, environment and public health, are the main areas of evaluation. Passive exposure to the Connect2 has not changed travel behavior but using it ha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behavior change towards walking and cycling. Also people with higher accessibility to the new or improved infrastructure tended to increase their physical activity whilst those with lower accessibility did not, which indicating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he infrastructure and public health. However, in the environment aspec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was not no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