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듀이와 경험으로서의 언어

        송광일 범한철학회 2010 汎韓哲學 Vol.56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how Dewey's language as experience may settle the conflict between the objectivist and the relativist views of language by offering a third way of accounting for the nature of language. Analytic view of language is concerned exclusively with some pure form of language that separates language from human experience. Such a view disregarding human aspects of language, and thus considering language as a mere tool for referring the world and objects, leads to an objectivist view which claims that the real meaning is the one that is expressed in terms of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language and the world. On the other hand, Rorty rejects the analytic view of language on the grounds that it is based upon the dichotomy of modern theory of knowledge. Furthermore, Rorty, by claiming that not only language but the world and the self are also contingent without any constraint, brings about the fear about the nihilistic form of relativism. According to Dewey, experience is not an autonomous system independent from human beings but a part of human activities. Namely, the problem of language is neither one of pure thought nor of contingent product, but a part of experiences necessary for a man to cope successfully with his world. Because of this the meaning of language is determined by our linguistic situation and culture. In other words, Dewey's conception of language as experience changes, adjusts, and expands through continuous activities including our purpose and intention, and comprises not only objective meanings but relative meanings to a certain degree through a mutual agreement. Thus, the conception of language as experience does not represent a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world but an expression with the common consent of our intention and behavior by means of symbolization. And because the range of such a consent is constrained and determined within a particular situation, language is not entirely contingent.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듀이의 경험으로서의 언어 개념을 통해 분석철학의 객관주의적 언어관과 상대주의적 언어관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제3의 가능성을 밝히려는 데 있다. 분석철학적 언어관은 언어와 활동, 언어와 삶을 분리시키는 이분법에 근거하여 언어 그 자체를 순수한 고찰 대상으로 삼는다. 이러한 분석철학적 언어관은 인간의 활동과 언어 사용을 무시하고 언어를 어떤 실체나 관념을 가리키는 도구로 간주함으로써 언어 대 사물, 언어 대 관념 식의 ‘일대일’ 대응 관계를 통해 드러나는 의미만이 언어의 참된 의미라고 간주하는 객관주의적 태도를 취한다. 반면에 로티는 분석철학의 객관주의적 언어관에 대한 그릇된 가정을 지적하고 거부한다. 하지만 로티는 언어뿐만 아니라 세계와 자아까지 우연적인 산물로 간주함으로써 의미에 관한 무제약적인 우연성 논제로 나아간다. 이로 인해 로티의 언어관은 허무주의적 상대주의라는 우려를 불러온다. 듀이에 따르면 언어는 경험에서 비롯되며, 경험은 추상적인 것이 아니라 실재적인 것이다. 듀이는 경험을 물리적 경험과 반성적 경험으로 구분한다. 이러한 경험의 두 층위는 사유 속에서만 분리될 뿐 현실적으로는 분리되지 않으며, 물리적 경험 층위에서 일정 정도의 객관적인 의미가 확보되지만, 그것을 넘어서는 창발적 확장 과정에서 의미는 상대적 변이를 드러낸다. 이러한 듀이의 경험으로서의 언어는 객관주의적 언어관과 상대주의적 언어관 사이의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선취하고 있다.

      • KCI등재

        로티의 퍼트남의 실용주의적 전회

        송광일 범한철학회 2008 汎韓哲學 Vol.48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viability of Dewey's pragmatism by comparing it with Rorty's “pragmatism without methodology" and Putnam's “pragmatic enlightenment". Rorty and Putnam both have recourse to Dewey's pragmatism in criticizing the basic assumptions of traditional philosophy, especially of modern epistemology. In this sense, they both take part in “the pragmatic turn," which is seen as a viable alternative to the dilemmas of “the Linguistic Turn" in the early 20th century. Nevertheless, intentionally or not, both of Rorty's and Putnam's versions of pragmatism betray Dewey's conception of pragmatism, and thus giving rise to serious problems which Dewey would not have. Rorty ignores the importance of the empirical method, while Putnam ignores the principle of continuity, both of which serve as the very foundations of Dewey's pragmatism. Their moves do not just lead themselves away form Dewey's pragmatism, but undermine the viability of it. By drawing on the evidence from recent empirical researches, especially from cognitive science, I will suggest that returning to Dewey will give us better ground for the open-ended philosophical discourses in the post-analytic age. 본 논문의 목적은 로티의 ‘방법론 없는 실용주의’와 퍼트남의 ‘실용주의적 계몽’을 검토함으로써 듀이 철학의 현재성을 드러내는 데 있다. 로티와 퍼트남은 전통 철학, 특히 근세 인식론의 기본적인 가정을 비판한다는 점에서 듀이의 실용주의와 철학적 시각을 공유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로티와 퍼트남은 20세기 초 ‘언어적 전회’의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한 현실적 대안으로 ‘실용주의적 전회’에 가담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티와 퍼트남의 실용주의는 의도적이든 아니든 듀이의 실용주의의 주도적 개념을 거부함으로써 듀이에게서는 발생하지 않는 심각한 문제를 불러온다. 로티는 ‘경험적 방법’의 중요성을 무시하는 반면, 퍼트남은 ‘연속성의 원리’를 간과하고 있는데, 경험적 방법과 연속성의 원리는 듀이의 실용주의의 핵심적 기제로 작동한다. 로티와 퍼트남의 실용주의는 듀이의 실용주의에서 멀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듀이 철학의 현재성을 간과하고 있다. 필자는 최근의 경험적 탐구, 특히 ‘인지과학’의 연구 성과들을 제시함으로써 듀이로의 회귀가 탈분석시대에 우리에게 열린 철학적 담론을 위한 더 나은 지평을 제공해준다고 제안할 것이다.

      • KCI등재

        듀이의 포스트-포스트모더니즘

        송광일 범한철학회 2017 汎韓哲學 Vol.87 No.4

        Long before the emergence of the waves of postmodernism, Dewey already had a sharp insight into the problems of the very conception of universal reason underlying the modern philosophy. Dewey was one of the ‘post-postmodern philosophers’ as he delivered a radical criticism against the unrealistic aspects of the traditional objectivist conception of reason cherished in modernity. Yet, Dewey at the same time went beyond the postmodernism which has left the world full of ‘plays’ without any constrain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examine both the view that strongly criticizes the relativistic aspects of Dewey’s philosophy, and the view that attempts to dismantle the constructive aspects of it. By doing so, I try to show that Dewey was a philosopher who pursued a whole new way of thinking that transcends the objectivism/relativism dichotomy itself. Dewey’s philosophy in this respect may well be dubbed as ‘post-postmodernism,’ in that it goes beyond the dichotomous confrontation between the traditional objectivism and the postmodern relativism. 듀이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물결이 일어나기 전 근세 철학의 보편적 이성의 문제점들을 꿰뚫어 보고 있었다. 듀이는 낡은 이성의 허구성과 전통 철학의 방법론을 비판하는 급진적 입장에 서 있었던 동시에 우리의 모든 것을 근거 없이 떠도는 무제약적 놀이로 열어 버린 포스트모던 철학 또한 넘어서 있다는 점에서 ‘포스트-포스트모던 철학자’이다.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듀이 철학의 상대주의적 측면을 강력하게 거부하는 진영과 듀이의 건설적 측면을 해체하려고 하는 진영의 비판의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듀이가 ‘객관주의 아니면 상대주의’라는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 서 있는 철학자이며, 실용주의적 계몽을 이끌고 있는 그의 사유가 ‘포스트-포스트모던적’이라는 점을 드러내는 데 있다.

      • KCI등재

        듀이의 창발적 자연주의

        송광일,남미순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학연구 Vol.57 No.4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that Dewey who had proposed the model of new future philosophy was standing in the progressive position that criticized methodology of traditional philosophy and its product in fallacy reasoning while displaying as the ‘post-postmodern philosopher’ beyond the post modernism. For this purpose, We will describe the importance of empirical method that Dewey emphasized and interprets the ‘comprehensive experience’ with the ‘embodied experience’, and the ‘integrated intelligence’ as the ‘naturalized intelligence’ in a way of securing the feasibility of the emergent naturalism of Dewey.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새로운 미래철학의 모형을 제안했던 듀이가 전통철학의 방법론과 그 산물인 이성의 허구성을 비판하는 급진적인 입장에 서 있으면서 동시에 포스트모더니즘을 넘어서 있는 ‘포스트-포스트모던 철학자’라는 것을 드러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듀이가 강조한 경험적 방법의 중요성을 상술하고, 듀이의 ‘포괄적 경험’을 ‘신체화된 경험’으로, ‘복합적 지성’을 ‘자연화된 지성’으로 해석함으로써 듀이의 ‘창발적 자연주의’의 타당성을 확보할 것이다.

      • KCI등재

        니체와 듀이의 자연주의 교육관

        송광일,남미순 한국교육철학회 2023 교육철학 Vol.86 No.-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structure the discourse of Nietzsche who advocated the for natural education of small number of Übermensch and educational philosophy of Dewey who proposed an education for growth of experience in a way of displaying that they stressed perspective on the naturalism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Übermensch and natural education that Nietzsche stated. Thereafter, it explains the relativity of experience in life and education in terms growth in culture as advocated by Dewey. The reason to formulate the common ground by restructuring the education discourse of Nietzsche and Dewey is that it would be the best way to demonstrate the present state and alternative importance of the perspective on naturalism education as deployed by the respective ways

      • KCI등재

        니체와 듀이의 자연주의 윤리관

        송광일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61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point that Nietzsche and Dewey emphasized ‘naturalistic ethics’ by reconstructing Nietzsche’s ‘moral naturalism’ and Dewey’s ‘naturalistic ethics’. First describes Nietzsche’s method of moral inquiry, the genealogical method, and the ethics of customs. Second explains Dewey’s tool of ethical research, the genetic method and morality of habits. The reason for reconstructing the ethics of Nietzsche and Dewey to explore their commonalities is the presentness and alternative importance of their naturalistic moral discourse.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도덕적 자연주의’를 주창한 니체와 ‘자연주의 윤리학’을 제시한 듀이의 담론을 재구성함으로써 그들이 ‘자연주의 윤리관’을 역설했다는 점을 드러내는 데 있다. 먼저, 니체의 도덕 탐구 수단인 계보학적 방법과 풍습의 윤리를 기술한다. 이어, 듀이의 윤리학 연구 도구인 발생론적 방법과 습관의 도덕을 상술한다. 니체와 듀이의 윤리를 재구성하여 그들의 공통점을 탐색하는 이유는 그들의 자연주의 도덕담론의 현재성과 대안적 중요성 때문이다.

      • KCI등재

        근원적 인지 메커니즘을 통한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정서·행동장애의 상호 관계성 탐구

        송광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1

        This study was intended to disclose the relationship between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E/BD) through an original cognitive mechanism (송광한, 2013a), from which diverse phenomena of human mind appear, in order to decide if two disorders are one or two independent disorders. The results indicate that ASD and E/BD share a common biological cause of excessive growth of mental space in the brain. Excessive attention and consciousness are directed to the internal cognitive space in the brain (ASD) subsequently, causing autistic cognitive disorder. And the autistic cognitive disorder results in diverse characteristics of E/BD reflected by intellectual level. Therefore, ASD and E/BD, as appearing through the same hierarchical casual relationships, are not independent disorders, and the different criteria of two disorders ar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with ASD appearing according to intellectual level.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the two disorders and its direction, and provides specific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direction and research on biological causes of ASD and E/BD. 이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ASD)와 정서․행동장애가 서로 다른 장애인지, 혹은 동일한 장애인지 판단하기 위해, 인간의 다양한 정신 현상들이 생성되어 나오는 근원적 인지 메커니즘(송광한, 2013a)을 통해서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정서․행동장애의 상호관계성을 파악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정서․행동장애는 모두 두뇌 인지 공간의 과도한 성장으로 인한 두뇌 구조 이상이라는 생물학적 원인으로부터 비롯되고 있다. 과도한 내적 인지 공간의 성장은 주의 및 의식이 내부 인지 공간의 기억의 세계로 과잉 집중(자폐)되도록 만들고 그에 따라 다양한 자폐적 인지 장애가 발생한다. 이런 자폐적 인지 장애로 인해 지적 수준이 반영된 다양한 정서․행동장애의 특성들이 나타난다. 따라서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정서․행동장애는 서로 다른 별개의 장애가 아니라, 층층의 인과 관계로 연결되어 나타나는 장애로서,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정서․행동장애의 서로 다른 주요 특성들은 지적 수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자폐인의 정서․행동장애 특성들이다. 이 논문은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정서․행동장애의 통합적 이해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방향을 제안하였으며,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정서․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공통적인 기본 교육 방향 및 생물학적 원인 연구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이성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에 대한 철학적 성찰

        송광일,남미순 대한철학회 2024 哲學硏究 Vol.169 No.-

        이 글의 목적은 인간중심주의나 탈인간중심주의 세계관을 벗어나기 위해 공존성 패러다임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근대 이성주의 철학에 대한 회귀적 성찰을 한 후, 근대의 인간중심주의나 이성적 인간을 비판하는 탈인간중심주의로서의 환경윤리학과 생태주의를 탐색한다. 끝으로 인간중심주의와 생태주의를 지양하며 다양한 생태적 인간을 추구하는 생태철학의 모델로 환경실용주의 혹은 생태민주주의를 제안하고 그 가능성을 모색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we should shift to a coexistence paradigm in order to escape from the worldview of either anthropocentrism or post-anthropocentrism. To this end, this researcher speculates on the philosophy of rationalism retrospectively and explores environmental ethics and ecology as post-anthropocentrism that criticizes modern anthropocentrism or rational humans. Lastly, this study proposes environmental pragmatism or ecological democracy as a model of ecological philosophy that sublates anthropocentrism and ecology and pursues various ecological humans and explores its potential.

      • KCI등재

        인류세를 위한 듀이의 생태민주주의와 생태전환교육

        송광일 한국교육철학회 2023 교육철학 Vol.88 No.-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and Dewey’s democracy to eco-democracy. Eco-democracy mixed with ecology connects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a new coexistence paradigm for the sustainability of humans and nature. Therefore this paper describes the advent of Anthropocene by rational humans, and suggests the necessity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on the problems of Anthropocene and climate cri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