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옛 시문과 그림으로 살핀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형상화 및 정착시기

        노재현 ( Rho Jae-hyun ),손희경 ( Son Hee-kyu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7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5 No.1

        관동팔경의 형성과정에 주목하여, 문헌 및 도상자료의 분석과 해석을 통해 관동 명승의 집경에 따른 팔경 형상화 및 정착시기를 탐색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關東八景`이란 최초 용례(用例)는 이황의 「答洪應吉」로 볼 때, 관동팔경은 이미 16세기 이전 당시 인들의 인식 속에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론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한 지리지 분석 결과, 관동팔경은 16세기 초·중반에 관동십경으로의 확장 또한 이루어졌다. 최초의 관동팔경에 대한 집경은 신즙의 「詠關東八景」으로 확인됨에 따라 관동팔경이라는 용어는 문학 분야에서는 최소한 16세기 이전부터 존재하였으며 현재의 세트화된 관동팔경으로 정착된 시기는 늦어도 17세기 초반이라 추정된다. 관동 명승의 출현빈도 분석 결과, 시문에 등장한 관동 명승은 관동팔경 경물에 대한 집중현상이 뚜렷하였다. 한편 회화 분야에서 오로지 관동팔경만을 모은 그림은 허필의 『關東八景圖屛』에서 최초로 확인되는데 실경산수화에서 표현된 관동팔경은 시문에서의 집경 양상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지만 화제 출현률 순위로 볼 때 시각적 결속력과 응집성이 더욱 강하게 드러났다 이는 일정한 관념체계 상 특정 의의를 지닌 회화의 도상(圖像)을 중요시하는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더불어 조선 후기에서 근대에 들어 제작된 다수의 민화 형식의 팔폭병풍(八幅屛風)은 관동팔경의 문화현상이 보편적 수용기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증좌이다. 또한 조선후기 성행한 남승도놀이 등 명승유람놀이에 등장하는 강원도내 13개의 명승에는 관동팔경이 오롯이 나타나고 있음을 볼 때 조선 말기 관동팔경은 놀이문화 속에서도 확고하게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할 때, 관동팔경의 인식은 15세기 전반 이전부터 있어 온 것으로 보이고, 16세기 형상화 과정의 지속적 전개를 통해 17세기 정착되었으며 18세기에 들어 관습화·보편화 된 것으로 추정된다. 궁극적으로 관동팔경은 고려시대부터 별개의 경물로 명성을 얻은 지역 명승이 17세기 후반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관동 명승 중에 관동팔경은 오랜 기간 여러 사람의 탐승과 유람문화 향유(享有)를 통해 오직 여덟 개의 최상의 명소만을 추리기 위한 절차탁마(切磋琢磨)의 과정을 거쳐 형성되고 배태된 국내 대표적 팔경임을 일깨워준다. The research takes note of the formation process and settling period of Gwandong-Palkyung(關東八景, Eight Sites of Eastern Korea), the representative palgyeong(prominent eight sites) and jipgyeong(集景, landscape collection of scenic beauty), and investigates the time of formation regarding the palkyung and jipgeyong of Gwandong`s scenic beauty through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bibliographic data, and reference data.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As the first document that records the terminology of “Gwandong-Palkyung” is 「Daphongeunggil(答洪應吉)」 of Yi, Hwang(李滉), Gwandong-Palkyung is inferred to be settled within the recognition of the people even before the 16th century. The geographic analysis result including 『Sinjeung 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Gwandong-Palkyung expanded as Gwandong-Sipkyung in early to middle of the 16th century. The first confirmed landscape collection regarding Gwandong-Palkyung in this study is confirmed in Shin Zup(申楫)`s 「Yeonggwandong-Palkyung(詠關東八景)」, thus, the terminology of Gwandong-Palkyung existed before 16th century at the latest. The settlement time of current “Palkyung” collection is estimated to be early 17th century at the latest. Poetries regarding Gwandong-Palkyung, and the frequency on the appearance of Gwandong scenic beauties are analyzed as making clear of the concentrated phenomenon on the sceneries of Gwandong-Palkyung. On the other hand, the collection of Gwandong-Palkyung in the domain of arts is confirmed initially in the《Gwandongpalkyungdobyeong(關東八景圖屛)》of Heo, Pil(許泌). Gwandong-Palkyung, expressed as the actual scene landscape painting shows similar tendencies of the conditions in the jipgyeong from the poetry, but the appearance rate of the painting subject was more prominent in visual solidarity and cohesion due to the reflection of the importance on icon(圖像) of the art works produced with particular meaning in the case of fixed ideal system. From late Joseon to modern times, 《palpokbyeongpung(八幅屛風)》of various forms of folk painting is a corroborative evidence notifying that the cultural phenomenon of Gwandong-Palkyung has entered the universal period of embrace. Also, the 13 scenic beauties of Gangwon-Do appearing in the games of Namseungdo and Myeongseungyuramdo include Gwandong-Palkyung, which confirms the settlement of Gwandog-Palkyung even within the culture of games in late Joseon. Such results demonstrate the existence of awareness regarding Gwandong-Palkyung from the first half of the 15th century, which is presumed to have completely settled in the 17th century throug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formative process in the 16th century. Ultimately, Gwandong-Palkyung is the concrete formation of regional scenic beauties that individually gained its reputations as scenery from the Koryo Dynasty to late 17th century. Gwandong-Palkyung of the scenic beauty of Gwandong is a unique cultural scenery of the region that have germinated and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cutting and polishing of long time to collect the best eight of scenic beauty from the many participation of sightseeing culture.

      • KCI등재

        <영사정팔경도(永思亭八景圖)>와 팔영시로 본 영사정팔경의 경관구조와 의미

        노재현 ( Rho Jae-hyun ),손희경 ( Son Hee-kyung ),김홍균 ( Kim Hong-kyun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7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5 No.2

        문헌조사 및 시화(詩畵) 분석 및 해석 그리고 현장조사를 통해 <영사정팔경도>와 청계 양대박의 영사정팔영시에 드러난 영사정팔경의 경관구조와 의미를 분석·해석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영사정과 그 일원은 조영자 안전이 선친의 음택을 향해 망배를 올리던 `영사`의 공간으로, 영사정팔경은 남원 형승의 거점이자 요체인 지리산과 순자강 그리고 요천, 금석교, 청계동 등 영사정을 중심으로 한 남원 승경을 관망대상으로 하고 있다. 영사정팔경은 일반적인 정자팔경과는 달리 다시점 구도와 시점 그리고 장소의 전이를 보이는 가운데 영사정은 물론 순자강과 요천 일대의 산수경관을 조망하는 파노라믹한 부감적 구도를 보인다. 영사정팔영은 중국 소상팔경과의 시각적 결속의 흔적이 다수 엿보이는 가운데 남원지역의 토속적인 경관과의 어울림을 추구한 조선중기 과도기적 특성을 지닌 제영 집경으로 판단된다. 팔영시와 팔경도 각 1·2영[경]에 등장하는 `창송취죽(蒼松翠竹)`은 영사정의 조영자인 안전 또는 팔영시의 저자인 양대박의 현신이자 경관 향유주체로 상정하고 있다. 표제에 등장하는 시어 및 화소의 음양론적 특성을 해석한 결과, 팔영시에서는 대부분 음적인 시어들로 충만해 있고 팔경도 또한 이에 조응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영사정팔영에서 묘사된 행위와 <영사정팔경도>에 표현된 행위에 대한 비교 분석 결과, 제3경 순강모우를 제외하고는 두 매체 간에는 일치된 특성이나 공통성이 거의 발견되지 않음은 볼 때, 매체간의 형식적 유사성은 인정되지만 영사정팔영과 팔경도는 언어예술과 공간예술의 본질적 속성에 충실한 다른 결과물로 추정된다.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after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landscape structure and meaning of Yeongsajeongpalkyung(永思亭八景) that appears in Yeongsajeongpalyeongsi(永思亭八詠詩) of Cheonggye(靑溪) Yang, Dae-bak(梁大樸, 1544~1592) and < Yeongsajeongpalkyungdo(永思亭八景圖) > through document studies, poetry and painting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nd site investigation, is as follows. Yeongsajeong and its nearby lands are the area of “Yeongsa”, where the builder, Ahn, Jeon(安?, 1518~1571) worshipped towards the grave of ancestors, and Yeongsajeongpalkyung oversees a family burial ground in Namwon, centering around Yeongsajeong such as Yocheon, Geumseokgyo and Cheonggyedong, and Sunjagang River and Mountain Jiri, which are the foot hold and key points of advantageous scenic views in Namwon. Yeongsajeongpalkyung, unlike general Jeongjapalkyung, shows a panoramic bird`s-eye structure overseeing the landscape and scenery of the Yocheon area and Sunjagang River, in addition to Yeongsajeong, while show in a transition of location, a multi-view structure and time. The trace of visual unity with Sosangpalkyung of China can be seen in many places in Yeongsajeongpalkyung, which seems to be a transitional feature of composing poems regarding Palgyeong during the mid-Joseon dynasty, which pursues harmony with the local landscape of the Namwon area. The `Changsongchwijuk(蒼松翠竹)` appearing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cenic views of Palgyeong and Yeongsajeongpalyeong can be understood as an incarnation of Yang, Dae-bak, the author of Palyeongsi or Ahn, Jeon, the builder of Yeongsajeong.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interpreting the yin-yang features of poetic diction and picture elements appearing in the subtitle of Yeongsajeongpalyeong, Palyeongsi seems mostly full of yin-like elements and Palgyeongdo. Moreover,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cts expressed in < Yeongsajeongpalkyungdo > and acts described in Yeongsajeongpalyeong, based on the fact that the reis almost no common ground between the two media except for Soongangmowoo, the third scenic view, the formal similarity between the two media can be acknowledg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discover any substantive `integrity of poetry and painting`.

      • KCI등재

        전주팔경의 시원(始原)과 변용(變容)에 관한 연구

        노재현 ( Jae Hyun Rho ),손희경 ( Hee Kyung Son ),신상섭 ( Sang Sup Shin ),최종희 ( Jong Hee Choi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3

        전주를 대상으로 한 11개 집경(集景)의 표제어 및 시어(詩語) 분석과 해석을 토대로 전주 팔경의 형식과 내용상의 시원 및 변용과정을 시계열분석으로 살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추재(秋齋) 조수삼(趙秀三, 1762~1849)의 팔경시 이전에는 전주팔경의 골격과 유사한 형식의 집경 사례가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추재집』에 실린 여덟 편의 시를 전주팔경의 시원(始原)으로 보기에는 큰 무리가 없으며 그 시기는 1829년경으로 추정된다. 이후 19세기 말 작품인 ‘완산승경’ 과 ‘열녀춘향수절가 에 기재된 팔경’ 그리고 일제강점기의 ‘시인 신석정이 전하고 있는 팔경’ 중 ‘동포귀범’만이 행정구역의 변화에 따라 동지포에서 봉동의 동촌으로 대상장이 변용되었지만 모두 조수삼의 팔경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 또한 이를 뒷받침한다. 표제어 일치율 분석 결과, 전주팔경은 최소한 19C 후반에 정착(定着)된 이후 일제강점기에도 줄곧 전주를 대표하는 경관으로 지속된 것으로 확인되며 이후 ‘남천표모’와 ‘곤지망월’이 추가되어 전주십경으로써 외연(外延)이 확산되었다. 이러한 팔경 제영의 형식성에도 불구하고「패향십영(沛鄕十詠)」이나「견도십영(甄都十詠)」그리고「빈일헌십영(賓日軒十詠)」등 조선 전기의 집경뿐만 아니라 일제강점기 일본인 나루시마 슈쿠시(成島淑士)의 집경 속에도 경기전·건지산·조경단·오목대 그리고 기린봉·덕진연·만경대 등 조선왕조의 발생지이자 전라감영의 수부(首府)로서의 상징성이 높고 전주십경의 연원(淵源)이 되는 명소들이 자리하고 있음을 볼 때 전주팔경의 의미론적 태동기는 조선 전기까지로 그 전범이 소급(遡及)되어야 할 것이다. 이 시기에는 견훤도(甄萱都)와 같이 후백제 도읍지로서의 회고(懷古) 관성(慣性)이 큰 승경 뿐 아니라 만경대와 같이 고려말 정몽주와 이성계를 상기시키는 내용의 경물 또한 전주 팔경에 등장함으로써 후백제 도읍지로서의 전주의 위상을 높이고, 조선 왕조의 발흥지로의 역사적 간극을 좁히고 있음이 확인된다. 전주팔경은 후백제 이후 조선시대 역사문화를 담는 유기체적 존재로 다소 부침(浮沈)을 거듭하였지만 지역의 대표적인 승경으로 꾸준히 변용되어 왔다. 전주 팔경은 ‘전주 한풍경(韓風景)’을 이해할 수 있는 문화족보로, 이를 보존하고 계승하기 위한 노력은 오늘을 사는 전주인의 몫이라 판단된다. Based on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headwords and poetic words of a group of eleven collecting sceneries of Jeonju, the origin and transformations of the Jeonju-Palkyung(Eight sceneries of Jeonju) investigated by a time-series analysis are as follows. As there is no collection of landscape with a formal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current Jeonju-Palkyung, prior to the Palkyung by Chujae(秋齋) Cho Soo-Sam(趙秀三, 1762~1849), there is no significant problem in assuming the eight poems in Chujaejib(秋齋集) are the origins of the Jeonju-Palkyung, and it is estimated to have been produced in 1829. In the late-19th century poem ‘Wansanseunggyeong(完山勝景)’, ‘the Palkyung in Yeollyeo Chunhyang Sujeolga’, and ‘the Palkyung delivered by poet Shin Seokjeong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only the ‘Dongpogwibeom(東浦歸帆)’ changed from Dongjipo to Dongchon of Bongdong as for ‘Landscape Setting There(LST)`` according to changes in district administration; despite this change, the fact that they are not too different from the Palkyung of Cho Soo-Sam, also supports this. Moreover, according to the headword concordance analysis, it is proven that the Jeonju-Palkyung was established in the late-19th century and continued to be the region’s representative sceneries ev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later ‘Namcheonpyomo(南川漂母)’ and ‘Gonjimangwol(坤止望月)’ were added to expand to the Jeonju-Sipkyung(ten sceneries of Jeonju). But when we see there are famous spots that are the origins of the Jeonju-Sipkyung, including Gyeonggijeon, Geonjisan, Jogyeongdan, Omokdae, and Girinbong, Deokjinyeon, and Mangyeongdae, all of which have great representational significance as the capital of Jeolla Provincial Office as well as of the place of origin for Joseon Dynasty in the grouping of sceneries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including 「Paehyangsipyeong(沛鄕十詠)」, 「Gyeondosipyeong (甄都十詠)」, and 「Binilheonsipyeong(賓日軒十詠)」, the beginnings of the semantic Jeonju-Palkyung should be considered up to the first half of Joseon Dynasty. During this period, not only the fine sceneries with high retrospective merit as the capital of Hubaekje, like Gyeonhwondo(甄萱都), but also the sceneries like Mangyeongdae that reminds people of Jeong Mongju(鄭夢周) and Yi Seonggye(李成桂) in the late period of Goryeo appeared, elevating the status of Jeonju as the capital of Hubaekje and shortening the historical gaps as the place of origin of the Joseon Dynasty. The Jeonju-Palkyung is an organic item that carries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after Hubaekje and has gone through many cycles of disappearing and reappearing, but it has continued to change and transform as the region’s representative sceneries. The Jeonju-Palkyung is a cultural genealogy that helps one understand the ‘Jeonju Hanpunggyeong(韓風景: the sceneries of Korea in Jeonju)’, and the efforts to preserve and pass it down to the next generation would be the responsibility of the people of Jeonju.

      • KCI등재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군(천연기념물 제214호)의 생육진단 및 관리방안

        노재현 ( Rho Jae-hyun ),오현경 ( Oh Hyun-kyung ),한상엽 ( Han Sang-yub ),최영현 ( Choi Yung-hyun ),손희경 ( Son Hee-kyu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6 No.3

        천연기념물 제214호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군의 고사(枯死) 및 쇠약(衰弱) 요인의 명확한 진단(診斷)과 처방(處方)을 통한 천연기념물로서의 가치 존속(存續) 방안을 강구하고자 시도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68년 13그루의 천연기념물 지정 이후, 1973년을 시작으로 근년까지 계속적으로 고사가 진행되어 현재는 3주만 생존하고 있다. 특히 2010년 이후 마령초등학교 담장 후퇴 등 정비과정에서 복토된 토양의 일부 제거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고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된다. 둘째, 지정목 중 1·3번 생존목 또한 고사된 가지가 많고, 잎이 왜소하며, 엽량이 적었다. 1번목은 수세가 ‘극히 불량’하고 다량의 가지가 이미 고사하였으며, 금년에는 단지 2개 가지에서만 개화가 이루어졌으며 엽량 또한 현저히 적은 상태이다. 2번목 또한 ‘불량’상태로 잎이 작고 엽밀도도 낮으며 수형의 변형이 이루어지는 등 수세가 쇠약한 상태이다. 현존하는 가장 큰 1번목은 논토양으로 추정되는 점질토가 복토되어 있어 우려를 더하고 있다. 셋째, 평지리 이팝나무군의 토성 분석결과, ‘미사질양토[微砂質壤土, Silt loam(SiL)]’로 밝혀짐에 따라 미사(Silt)의 성분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번목 북측의 토양산도는 pH 6.6으로 다른 부위의 흙과는 편차가 컸는데 이는 원지반 토양이 아닌 외부에서 반입된 토양으로 복토되었음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유기물함량은 적정범위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보호관리를 위한 시비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진 결과가 반영된 것이라고 판단된다. 넷째,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군의 고사 및 생육 불량의 근본적 원인으로는 복토(覆土)로 인한 심각한 생리저하의 만성적 증후군으로 판단된다. 이는 신규로 식재된 후계목 또한 일부 고사된 것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다섯째, 1차적으로 기존 고사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복토 부분에 대한 점진적 제거가 시급하다. 무엇보다도 근계부에 복토된 점질토양의 제거를 건의한다. 복토부를 제거한 후 굵은 모래로 치환하고 뿌리의 호흡 개선을 위해 유공관을 설치한다. 그리고 고사한 4번 고사목과 5·6번의 고사흔적인 밑둥은 제근하고, 하층식생은 예초한다. 생존목은 상부 고사지를 제거, 수피 이탈부는 외과수술을 시행하는 한편 생장점 아래에서 전정하여 맹아의 발생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지하부 뿌리를 확인하여 부패근 절단 및 토양호흡 개선방안을 마련한다. 근계 전반에 대한 추적 굴취 등으로 썩은 뿌리부를 단근하여 새 뿌리의 발생을 유도한다. 일곱째, 이후 잡초 발생과 답압 억제 그리고 토양 보습효과 유지를 위한 멀칭을 시도한다. 또한 지속적 영양공급을 위한 무기양료 엽면시비 및 영양제 나무주사, 무기양료의 토양관주를 고려한다. 향후 모니터링과 예찰방안을 마련하여 계속적으로 변화상을 체크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find out the value of cultural assets through the clear diagnosis and prescription of the dead and weakness factors of the Population of Retusa Fringe Trees in Pyeongji-ri, Jinan(Natural Monument No. 214),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designation of 13 natural monuments in 1968, since 1973, many years have passed since then. In particular, despite the removal of some of the buried soil during the maintenance process, such as retreating from the fence of the primary school after 2010, Second, The first and third surviving tree of the designated trees also have many branches that are dead, the leaves are dull, and the amount of leaves is small. vitality of tree is ‘extremely bad’, and the first branch has already been faded by a large number of branches, and the amount of leaves is considerably low this year, so that only two flowers are bloomed. The second is also in a ‘bad’state, with small leaves, low leaf density, and deformed water. The largest number 1 in the world is added to the concern that the s coverd oil is assumed to be paddy soils. Third, It is found that the composition ratio of silt is high because it is known as ‘[silty loam(SiL)]’. In addition, the pH of the northern soil at pH 1 was 6.6,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soil. In addition, the organic matter content was higher than the appropriate range, which is considered to reflect the result of continuous application for protection management. Fourth, It is considered that the root cause of failure and growth of Jinan pyeongji-ri Population of Retusa Fringe Trees group is chronic syndrome of serious menstrual deterioration due to covered soil. This can also be attributed to the newly planted succession and to some of the deaths. Fifthly, It is urgent to gradually remove the subsoil part, which is estimated to be the cause of the initial damage. Above all, it is almost impossible to remove the coverd soil after grasping the details of the soil, such as clayey soil, which is buried in the rootstock. After removal of the coverd soil, a pestle is installed to improve the respiration of the roots and the ground with Masato. And the dead 4th dead wood and the 5th and 6th dead wood are the best, and the lower layer vegetation is mown. The viable neck should be removed from the upper surface, and the bark defect should undergo surgery and induce the development of blindness by vestibule below the growth point. Sixth, The underground roots should be identified to prepare a method to improve the decompression of the root and the respiration of the soil. It is induced by the shortening of rotten roots by tracing the first half of the rootstock to induce the generation of new roots. Seventh, We try mulching to suppress weed occurrence, trampling pressure, and soil moisturizing effect. In addition,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fertilization of the foliar fertilizer, the injection of the nutrients, and the soil management of the inorganic fertilizer for the continuous nutrition supply. Future monitoring and forecasting plans should be developed to check for changes continuously.

      • KCI등재

        국제행사를 통한 한국 창작무용의 국제화경향

        손희경;남수정 한국무용연구회 2007 한국무용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대규모 국제행사인 88서울올림픽과 대전엑스포요93. 2002한일월드컵축구대회 등의 공연행사를 중심으로 공연 된 해외공연 현황과 경향을 조사함으로써 국제행사가 한국 창작무용의 국제화. 즉 해외공연을 통한 국제교류의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연구 분석의 초점은 국가 주도 국제행사 기간을 중심으로 공연 된 해외공연 실태를 중심으로 연구함으로써 국제화에 관한 창작무용의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단행본, 논문, 무용전문지, 신문, 학회지 등의 관련 자료 조사를 통하여 대규모 국제행사로 인한 창작무용의 공연현황을 중심으로 국제화 경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한국 창작무용에 국한한 점, 작품분석과 양적 데이터를 배제한 점, 국•공립기관이나 무용단체의 국제교류에 주안한 점, 범세계적인 국제행사 중 88서울올림픽, 대전엑스포93, 2002 한일월드컵축구대회 등으로 제한하고 행사년도를 중심으로 해외에서 공연 된 현황만을 중심으로 조사한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로는 정부 주도적인 국제 행사의 국내 유치는 한국적 예술작품으로서 한국 창작무용이 다양한 국가에서 보다 많은 공연을 할 수 있도록 직접•간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여 본격적인 한국무용의 국제교류의 시작이 성립되었다는 점이 입증되었다. 최근은 예술적 창작 작품의 활성화, 작품의 레퍼토리화, 지속적인 해외공연과 공연 지역도 다변화, 해외합작 프로젝트 등을 통한 국제교류가 한층 심화되고 있는 시점이다. 국제화가 본격화 된 계기 중 국제행사 개최를 통한 한국 창작무용의 해외공연 증대 원인을 문화적 확산이라는 사회변동의 얼 요인을 통해 연구함으로써 급진적인 현대 사회의 세계화의 번화와 도래하는 미래에 대해 한국 창작무용의 향방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This report outlines the investigation of the features of various international events like Seoul Olympic 1988, Dae Jun Expo 93, 2002 FIFA World Cup Korea-Japan and thus evaluates how international exchange via such overseas performance have contributed to the trend of globalization of Korean creative dance. The research aims to reflect the globalization of Korean creative dance due to social change. In particular,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examining how cultural elements such as performances carried out overseas has contributed towards spreading of globalization of creative dance. The secondary resources were mainly used to support the statement in analyzing the current movement towards the globalization of Korean creative dance. The main sources include mook, published reports, specialized magazines and learned journals. The focus of this report is only bounded to Korean dance and has excluded its analysis of data. The lacking number of international performance, which were considered in this report, and rather heavy focus on the study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 of data between various dance associations gives unbalanced features of report overall and consequently results in the limitations of this report. Through this research,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by the government attracting international events to domestic soil, Korean artworks such as creative dancing, have gained further opportunities to perform abroad thus setting the foundations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of Korean dancing. Recently, there has been a deepening of international exchange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Creative artworks, repertory, of artworks, continuation of tours abroad, diversification of venues and joint international projects. This research was started with the initiative of setting a roadmap for Korean creative dancing in an era of cultural globalization and the likely impacts of attracting international events and increase in the number of overseas tou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