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손혜진(Son, Hye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의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대인관계 유능성을 중심으로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경상북도 소재 K대학교 재학생 중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희망자를 모집하여 한국판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K-ICQ)를 통해 대인관계 유능성을 사전 측정하였고, 프로그램에 실제 참여가 가능한 40명의 실험참여자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20명씩 무선배치한 후 실험집단에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수행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대인관계 유능성을 프로그램 종료 후(사후)와 프로그램 종료 4주 후(추후)에 걸쳐 측정하여 집단과 시기에 따른 비교를 실시하였다. 사후 측정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유능성은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4주 후 재 측정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유능성의 향상 효과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래상담자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성을 지닌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는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의 참여자들이 실제 또래상담을 운영하게 될 경우에도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rainees’ interpersonal competence. For this study, the peer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applied to a total of 20 students who were willing to become peer counsellors. The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OVA repeated measure conducted with the data collected from a total of 40 students which consists of 20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students of the control group. Twenty participants of peer group counseling program belong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ir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group, which had twenty non-participants of peer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data analysis yields the results that interpersonal competence of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right after the completion of peer group counseling program while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in control group. Furthermor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peer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measured after 4 weeks of completion of the program and compared to the data collected at the time of completion.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within subjects group which collected data from two time points, indicating that peer group counseling program not only affect participants’ interpersonal competence right after the completion but also the effect remains after 4 weeks of training completion.

      • KCI등재

        교육 목표 상세화를 통한 해외 대학에서의 주제 중심 한국어 읽기 수업 설계 방안

        손혜진(Son Hye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7

        본 연구는 해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과 한국학 수업을 연계하는 방안으로 내용 중심 교수법의 활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해외 대학에서의 한국어 수업은 어학 수업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한국학과의 연계를 염두에 두고 배경 지식을 습득하도록 돕는 역할을 요구받는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 언어와 내용을 통합한 교수법인 내용 중심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실천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에 내용 중심 교수법의 다양한 모형을 검토하고, 그 결과 주제 중심 교수법 을 통한 한국어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이와 더불어 주제 중심 교수법을 교육 현장에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 목표를 언어 관련 목표와 내용 관련 목표로 이원화하여 상세화하고, 이를 교육목표 분류학에 근거하여 분류함으로써 수업 목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주제 중심 교수법과 교육목표 분류학을 활용하여 교육 목표 설계와 수업 구성이 어떻게 이루어질수 있는지 해외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읽기 수업을 예시 사례를 통해보다 구체화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designing Korean reading class integrating language and content knowledge for overseas college courses. In order to design it, the study suggests using Content Based Instruction(CBI) and A revision of Bloom 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s theoretical bases. In the context of overseas college courses, it is often required to deal with content knowledge related to Korean Studies in a Korean language classroom. For this reason, this study reviewed several CBI teaching models. As a result, among CBI teaching models, Theme-based model could be a good instructional model to serve this need. Furthermore,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can be used as a clear guideline for using Theme-based model through elaborating educational objectives to deal with language and content knowledge. This study also presents an example of Korean reading class based on theme-based model of CBI and its elaborated educational objectives.

      • KCI등재

        TV 드라마 대본을 통한 한국어 관용표현의 사용 맥락 고찰

        손혜진(Son Hyejin),임형옥(Lim Hyung-ok),공하림(Kong Har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본 연구는 TV 드라마 대본을 대상으로 관용표현이 사용되는 담화 맥락의 특징을 살펴보고,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관용표현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드라마 2편의 중 각 10화까지의 대본에 포함된 관용표현을 분석 하였다. 이때 주로 담화 맥락의 구성 요소 중 담화 기능, 담화 참여자의 관계, 담화의 공식성에 초점을 두고 관용표현 사용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된 2편의 TV 드라마에서는 주로 비난하기, 논평·평가하기, 설명하기의 기능으로 관용표현이 사용되었다. 담화 참여자 관계는 50% 이상의 관용표현이 화자가 청자보다 힘적으로 우위에 있는 경우에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공식성의 경우 80% 이상의 관용표현이 사적 상황에서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관용표현의 사용이 상대적으로 선호되는 맥락이 존재하며, 한편으로는 사용의 제약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의 경우, 관용표현은 주로 화자가 대화의 화제가 되는 대상, 혹은 청자에게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드러내고자 할 때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화자가 청자보다 지위가 낮거나, 나이가 어릴 때, 또한 공적인 상황에서는 이러한 관용표현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관용표현을 교육할 때는 반드시 해당 관용표현이 주로 사용되는 담화 기능, 담화 참여자 관계, 담화의 공식성을 고려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본 연구에서 분석한 자료는 2편의 TV 드라마 대본에 불과하므로, 향후 개별 관용표현이 사용된 다양한 담화 맥락을 보다 다양한 자료를 통해 고찰하는 연구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ntext in which idiomatic expressions are used through analysis of TV drama scripts.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are important educational ite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In order for Korean learners to learn idiomatic expressions properly, it is important to know their meaning, but it is also essential to provide information on correct use. Foreigners are not only lacking intuition about Korean, but also lacking experience in various situations where idiomatic expressions are used. In this study, we tried to get the pedagogic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of idiomatic expressions through analysis of TV drama script. Especially, w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idiomatic expressions, focusing on the function of discourse, the relationship of discourse participants, and the formalities of discourse. As a result, in the two TV dramas analyzed in this study, the idiomatic expressions appeared 164 times, and they were mainly used for criticizing, commenting, evaluating and explaining. When we look at the relationship of discourse participants, more than 50% of idiomatic expressions were used when the speaker held a dominant position in terms of social status and power. Finally, in the case of formalities, more than 80% of idiomatic expressions were used in private situ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idiomatic expressions could be preferred in some conditions due to various reasons, and there also could be restrictions in some condition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data used in this study, the idiomatic expressions were mainly used when the speaker has a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subject of conversation, or the listener, and to express it. However, the use of idiomatic expressions limited when the speaker is lower in social status than the listener, or in official situations. Therefore, when teaching idiomatic expressions for Korean learners, education should consider the discourse function, the participant relationship, and the formality of the discourse. However, since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are only two TV drama script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study to investigate various contexts in which individual idiomatic expressions are used through various data.

      • 다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활용한 교육실습제도 분석 및 개선방안

        손혜진(Son, Hyejin),최연주(Choi, Yeonju),이인수(Lee, Insu)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19 교육실습연구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교육실습제도가 교원양성 교육과정 중에서 그 효과성과 교직 적응에의 도움 정도에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특히 중등교육실습의 경우, 사범대학과 실습학교 간의 대화와 협력이 결여된 채 교육실습의 질이 단위학교의 실습지도 교사에 의해 상당 부분 결정되고, 대학은 교육실습 운영에 참여하지 못하는 ‘방임형 교육실습’에 머물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판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고, 그 개선방안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교육실습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Cooper 외(2004)가 제안한 다차원적 정책분석 모형을 바탕으로 현행 교육실습제도의 문제점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 진단하고 실효성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규범적 차원에서는 현행 교육실습제도의 문제점으로는 교육실습 환경에 따라 예비교사의 역량강화 결과는 차이를 보였다는 점, 구조적 차원에서는 학생들이 절대적으로 체감하는 실습기간의 양이 적기도 하고, 다른 선진국에 비해서 상대적인 실습기간도 짧다는 점, 구성적 차원에서는 교육실습에 관여하는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 기술적 차원에서는 문제들을 개선할 공식적 창구가 없다는 것 등이 제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차원별로 다음과 같이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규범적 차원은 교육실습제도의 목적에 대해 예비교사의 교직에 대한 적성 확인 및 교직 역량 증진이라는 본래의 가치가 잘 실현되고 있는 지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구조적 차원에서는 교육실습 시간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구성적 차원에서는 교육실습제도 관련 구성원들(교육부, 시도교육청, 현직교사, 예비교사 등) 간 공통의 책무성 강화를 제안하였다. 끝으로, 기술적 차원에서는 교육실습제도에 대한 긍정적 요소뿐만 아니라, 부정적 요소 제거에도 집중하여 현장 목소리를 반영할 공식적인 창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the criticism that the current Teaching Practicum is staying in the disposable teaching practice although it is relatively highly evaluated in terms of its effectiveness and level of help in adapting to teaching positions among teacher training curricula.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policy analysis model proposed by Cooper et al (2004) and considering the preceding studies on education practice conducted so far, the government wanted to analyze, diagnose, and present effective measures for problems in the current education practice system from various aspects. Looking at the improvement measures of the current Teaching Practicum derived from this study, it proposed the need to re-examine the role of influential people and institutions of the original value of checking the aptitude of prospective teachers for teaching positions and enhancing teaching skills at a normative level. On the structural level, it was proposed to increase the time spent on training practice. On a constructive level, it proposed strengthening common responsibilities among the relevant members of the Teaching Practicum (such as the education ministry,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incumbent teachers, and prospective teachers). Finally, at the technical level, it was proposed that a formal window should be opened to reflect the field voice, focusing not only on the positive factors for the Teaching Practicum but also on the elimination of the negative factors.

      • KCI등재
      • KCI등재

        Keller의 ARCS 동기이론을 활용한 특성화고등학교의 기초제도 수업방안 연구 : 정투상도와 특수투상도 단원을 중심으로

        손혜진 (Son, Hye Jin),김관배 (Kim, Kwan Bae)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3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기초제도 수업 중 ‘정투상도’와 ‘특수투상도’ 단원에 ARCS 학습 동기이론을 활용함으로써 효과적인 수업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특성화고등학교 디자인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수업과정의 실효성을 검증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P 특성화고등학교 1학년으로 2019년 5월 4주에 걸쳐 총 8차시 수업의 효과 검증을 위해 ARCS 동기이론을 적용한 연구수업 전 기존수업과 연구수업 후 학생들을 대상으로 5점 척도로 만족도 설문조사하고,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ARCS 동기이론을 활용한 기초제도 수업이 주의집중 향상, 높은 흥미와 전반적으로 높은 평가의 만족도를 받아 적용된 수업의 긍정적인 효과가 입증되었다.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proposes by applying the ARCS learning motivation theory to the chapters orthographic projection and special projection of the basic drawing subject that are the basis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The teaching method applied to the ARCS learning motivation theory has been verified for first-year design students in the P specialty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The same students take the class without the ARCS motivation theory and the class applying the ARCS motivation theory, to study the effect of the classes applying the ARCS motivation theory. A survey with a 5-point scale to the students is conducted on the satisfaction of the class applying the ARCS motivation theory and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by using the t-test. As a result of t-test analysis, it proves the positive effect of classes applying the ARCS learning motivation theory by improving concentration, inducing interest, and positive satisfaction for basic system classes using ARCS motivation theory.

      • KCI등재

        가상현실을 활용한 디지털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메타 커뮤니케이션 유형

        손혜진 ( Son Hyej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연구 Vol.44 No.3

        본 연구는 디지털 놀이에서의 유아 간 메타 커뮤니케이션을 관찰하여 가상현실을 활용한 디지털 놀이가 유아의 놀이를 지원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인지, 그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사립유치원 5세 유아 24명을 대상으로 5월부터 10월까지 참여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포괄적 자료분석의 방법으로 메타 커뮤니케이션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상현실을 활용한 디지털 놀이에서의 유아 간 메타 커뮤니케이션은 ‘가상현실과 현실의 놀이틀 내에서 놀이 역할하기’, ‘가상현실과 현실의 놀이 역할 속에서 은밀히 조율하기’, ‘가상현실과 현실의 놀이를 위해 놀이스러운 언어 추가하기’, ‘가상현실 내 놀이에 대해 현실에서 이야기하기’, ‘가상현실과 현실의 놀이를 위해 놀이 밖에서 짧게 유도하기’, ‘가상현실과 현실에서 암묵적으로 놀이틀 구성하기’와 ‘가상현실과 현실의 놀이를 위해 현실에서 명시적으로 제안하기’의 7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상현실을 활용한 디지털 놀이에서 유아가 자연스럽게 메타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하였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디지털 놀이가 유아의 놀이를 지원하는 매체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virtual reality(VR)-based digital play as a tool to support young children’s play by examining meta-communication among young children during digital pla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from May to October, involving 24 five-year-old children at a private kindergarten in Seoul. The types of meta-communication were analyzed using a comprehensive thematic analysis approach. The results revealed seven categories of meta-communication in VR-based digital play among young children. They consisted of ‘playing the role of play within the play frames of virtual reality and reality’, ‘secretly coordinating between play roles in virtual reality and reality’, ‘adding playful language for play in virtual reality and reality’, ‘describing virtual reality play verbally in the context of reality’, ‘prompting briefly outside of play for the virtual reality and reality’, ‘implicitly structuring play frames in virtual reality and reality’ and ‘explicitly proposing play for virtual reality and reality in the real world’.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young children naturally use meta-communication in VR-based digital play, highlighting the potential of digital play as a medium to support young children’s play.

      • KCI등재

        언어문화 리터러시 관점에서의 한국어 관용 표현 양상 분석 : 한국어 모어 화자의 구어 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공하림(Kong Harim),손혜진(Son Hyej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2

        본 연구에서는 언어문화 리터러시의 관점에서 실제 한국어 모어 화자의 구어에 포함된 관용표현 사용 양상을 분석했다. 국립국어원 구어 말뭉치 분석 결과 현 한국어 교재에서 제시된 것외에도 다양한 관용 표현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물론, 관용 표현의 기본형 외에도 여러 변이형이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국어 교육적 관점에서 관용 표현 교육이 관용 표현의 선정에서 교육 방식에 이르기까지 재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용 표현 교육의실제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언어문화 리터러시 관점에서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수가 많고 다양하게 변이하는 관용 표현을 목록화하여 가르치는 것은 비효율적이며 현실적으로어렵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관용 표현 사용의 원리에 초점을 둔 언어문화 리터러시 관점에서의교육을 통해 보다 실제적인 한국어 관용 표현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sage of idiomatic expression included in native Korean speakers’ spoken language in terms of language and culture literacy. According to the spoken corpus analysis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various idiomatic expressions have been used other than those suggested in the current Korean textbook, but both the basic form and the variants have also been used. This suggests that idiomatic expression should be reviewed, ranging from selecting idiomatic expression and education method in terms of Korean education. Thu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education in terms of language and culture literacy in order to enhance the practicality of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Since idiomatic expressions are numerous and subject to continuous change, it is inefficient to categorize and teach them—it is practically difficult. Therefore, education in terms of language and culture literacy that focuses on the principle of using idiomatic expression may facilitate practical Korean idiomatic ex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