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반학급에 배치된 장애학생 학부모가 인식하는 통합교육지원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탐색

        손지영(Son, Jiyoung),임장현(Lim, Janghyu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반학급에 전일제로 배치된 장애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통합교육지원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 학교과정별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전국 초․중․고등학교 일반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수합된 252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일반학급에 전일제로 배치된 장애학생들은 특수교육관련서비스 업무 및 기타 행정적 지원, 학부모 상담, 교내외 프로그램 안내, 장애인식개선교육 등을 통합교육지원으로 가장 많이 지원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교육의 어려움에 대해 학부모들은 장애자녀의 진로와 비장애학생과의 관계 형성 측면의 어려움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셋째, 통합교육지원을 위한 일반교사의 역할에 대해 일반학생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 장애학생 특성에 대한 이해, 특수교사와의 협력 등의 역할에 대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초등과정 학부모들은 중등과정보다 수업시간의 학습 지도, 친구관계 형성, 행동문제 지원, 특수교사와 협력하는 역할에 대해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수교사의 역할에 대해 진로교육 및 정보제공, 교직원 및 일반학생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 순으로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초등과정학부모들은 교수학습지원, 행동문제 지원, 장애인식개선교육, 특수교육관련서비스 업무를 하는 특수교사의 역할에 대해 중등과정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일반학급에 전일제로 배치된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교육지원에 대한 고려점 및 제언이 제시되었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support and teacher roles as perceived by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placed full-time in general classroom. It further investigat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of perception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Metho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parent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who are assigned to general class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and the final survey data of 252 people were analyzed. Result: First, the analysis found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ceived the most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 work, parental counseling, and information provision. Second, parents responded most to the difficulty in terms of career paths and relationships with non-disabled students. Third, the role of general teachers was recognized as important to improve awareness of disabilitie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operation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urth,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recognized as high in terms of career guidance and education for improving awareness of disabilities. Parents generally perceived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s more important than in secondary school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considerations and suggestions for inclusive education support were present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were placed full-time in general classrooms.

      • KCI등재

        위성관측운량 보정을 위한 알고리즘의 개발

        손지영 ( Jiyoung Son ),이윤경 ( Yoon-kyoung Lee ),최용상 ( Yong-sang Choi ),옥정 ( Jung Ok ),김혜실 ( Hye-sil Kim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9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5 No.3

        본 연구에서는 위성관측운량을 지상관측운량에 가깝게 보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위성관측운량과 지상관측운량은 같은 구름을 각각 평면과 반구면에 투영한 관점이라는 차이를 가진다. 따라서, 개발된 위성보정 알고리즘은 평면의 위성관측 영역에 투영된 구름에 적절한 높이를 부여하여 지상관측 영역인 반구면에 투영된 구름으로 변환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때 평면구름은 위성 구름탐지를 이용하며, 높이는 운정압력을 이용하여 결정한다. Himawari-8 Level 1B 관측자료로 입력자료를 만들어 기존의 위성관측운량과 개발된 알고리즘을 통해 산출한 위성관측운량을 2016년 7월부터 2017년 6월, 매월 1일부터 7일까지 낮 시간 동안 한국(22개소)과 중국(724개소)의 종관지상관측소의 목측 전운량에 대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알고리즘을 통해 산출한 보정위성관측운량이 기존 위성관측운량에 비해 작은 평균오차(1.01 →0.61)를 가지며, 예측의 성공률(PC) 또한 증가(55% →61%)했다. 특히 ‘흐림(Cloudy)’에 대한 관측률(POD)이 증가하였다(60% →73%). 예측 성공률은 55%에서 61%로 상승하였다. 이때, 겨울 기간(12-2월)에는 구름 과탐지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오차가 다소 증가하나, 전 계절과 마찬가지로 좋은 예측 성공률을 보인다(56% →60%). 개발된 알고리즘으로 산출한 보정위성관측운량이 기존의 위성관측운량보다 지상관측운량에 더 가까워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satellite-viewed cloudiness, a ratio of cloudy pixels to total pixels (C<sub>sat</sub>, <sub>prev</sub>), inevitably differs from the “ground-viewed” cloudiness (C<sub>grd</sub>) due to different viewpoints. Here we develop an algorithm to retrieve the satellite-viewed, but adjusted cloudiness to C<sub>grd</sub> (C<sub>sat</sub>, <sub>adj</sub>). The key process of the algorithm is to convert the cloudiness projected on the plane surface into the cloudiness on the celestial hemisphere from the observer. For this conversion, the supplementary satellite retrievals such as cloud detection and cloud top pressure are used as they provide locations of cloudy pixels and cloud base height information, respectively. The algorithm is tested for Himawari-8 level 1B data. The C<sub>sat</sub>, <sub>adj</sub> and C<sub>sat</sub>, <sub>prev</sub> are retrieved and validated with C<sub>grd</sub> of SYNOP station over Korea (22 stations) and China (724 stations) during only daytime for the first seven days of every month from July 2016 to June 2017. As results, the mean error of C<sub>sat</sub>, <sub>adj</sub> (0.61) is less that than that of C<sub>sat</sub>, <sub>prev</sub> (1.01). The percent of detection for ‘Cloudy’ scenario of C<sub>sat</sub>, <sub>adj</sub> (73%) is higher than that of C<sub>sat</sub>, <sub>prev</sub> (60%) The percent of correction, the accuracy, of C<sub>sat</sub>, <sub>adj</sub> is 61%, while that of C<sub>sat</sub>, <sub>prev</sub> is 55% for all seasons. For the December-January-February period when cloudy pixels are readily overestimated, the proportion of correction of C<sub>sat</sub>, <sub>adj</sub> is 60%, while that of C<sub>sat</sub>, <sub>prev</sub> is 56%.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present algorithm can effectively get the satellite cloudiness near to the ground-viewed cloudiness.

      • KCI등재
      • KCI등재

        특수학교 고교학점제의 선택과목에 대한 중등과정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

        손지영(Son, Jiyoung),조영희(Cho, Younghee)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4 특수교육논총 Vol.40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중등과정 학부모를 대상으로 고교학점제와 선택과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이들의 요구를 반영한 장애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을 구현하는 고교학점제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에 전국의 기본 교육과정 운영 특수학교 중등과정에 재학 중인 총 374명의 학부모가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설문조사의 척도형 문항은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기입형 문항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개방형 응답에 대한 자료 분석은 응답 내용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범주화하는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학교 학부모의 고교학점제에 대한 이해 정도는 높은 수준이 아니었으며, 고교학점제의 장점은 장애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진로지도 제공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다수의 학부모는 사회성 및 대인관계 등의 일상생활기술과 다양한 직업기술 관련 과목들이 특수학교에 필요한 선택과목으로 인식하였으며, 장애 특성을 고려한 선택과목들이 개발되기를 원하였다. 또한 특수학교에서 선택과목 운영을 위해 전문강사 지원과 지역사회 교육기관과의 협력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2025년의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을 대비하여 학교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학부모의 요구를 토대로 특수학교 고교학점제의 방향성을 명료화하였고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교과목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s and elective subjects among par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pecial schools and attempted to derive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implementing a customized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s: A total of 374 par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pecial schools operating a basic curriculum across the country participated in the survey.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survey questions, and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open-ended responses. Results: Firs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mong special school parents was generally low, and they generally recognized the advantag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providing customized career guidance that is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disabilities. Second, parents want subjects related to daily life and various vocational skills as subjects required as electives in special schools, and they want elective subject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to be developed. Additionally, parents need to support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cooperate with community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elective subjects in special schools. Conclusion: In preparation for the full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5, the dire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special schools was clarified based on the demands of parents as members of the school community. Additionally,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continuously improving the subjects of the basic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ere derived.

      • KCI등재

        『코스모폴리스』: 신자유주의적 파워엘리트의 초상

        손지영 ( Jiyoung Son ) 미국소설학회 2021 미국소설 Vol.28 No.3

        Don DeLillo’s Cosmopolis, a postmodern American fiction set in 2000, portrays Eric Packer’s self-destructive one-day journey across midtown Manhattan. Eric Packer, a 28-year-old multi-billionaire asset manager, is a 21st century neoliberal power elite. According to William Davies, advanced neoliberalism produces new types of power elites different from Millsian sense of those, called ‘cyborg intermediaries’: elites which operate largely within the system of codes, data, screens and prices. This paper considers Eric Packer a typical ‘cyborg intermediary’ and concentrates on analyzing how he exemplifies the negative effects of the neoliberal system as a power elite following his Joycean journey. The aim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 I present a critical review of neoliberalism to understand Cosmopolis from the Foucauldian perspective. Next is an exploration of two distinct neoliberal subjects in Cosmopolis; Eric Packer, the power elite and Benno Levin, the social outcast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above to show the contradiction of the neoliberal government. Finally, this research illuminates Eric Packer’s yearning for existential subjectivity as a strategy of resisting the neoliberal power.

      • KCI등재

        오픈코스웨어(OCW)에 대한 장애학생 사용성 평가

        손지영(Jiyoung Son),염명숙(Myungsook Yeom)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6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usability of OpenCouresWare(OCW)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with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s. Twelve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8 visual and 4 hearing impairment) implemented usability testing. Two modules in both edX and KOCW were selected for tes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mplemented usability testing and then each individual case was analyzed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s results, the degree of general usability in both edX and KOCW indicated an average level and the degree of accessibility in edX module was evaluated higher than KOCW. Specifically, the module of edX was rated highly by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the usability level of KOCW module was highly appreciated by blind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