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념의 타자로서 상상된 김남천 소설 속 여성과 그 너머의 실재로서의 여성

        손정수(Jeong-soo Son) 구보학회 2023 구보학보 Vol.- No.34

        이 논문은 이념의 타자로서 설정된 김남천의 소설 속 여성 인물을 전제로 하여 그 한계를 넘어 실재로서의 여성의 방향으로 더 뻗어 있는 두 가지 사례로 나혜석과 허정숙의 삶과 글을 살펴본 것이다. 그 과정에서 남성 작가에 의해 형상화된 여성 인물의 한계를 드러내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는 남성적 상상의 범위를 벗어나 존재하는 여성적 삶과 글의 구체적 상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비교를 통해 「바다로 간다」와 「경영」, 「맥」 연작에서 김남천 소설 속 여성 인물(최영자-최무경)이 외적 현실과의 대립을 간접화하면서 내적 윤리를 가다듬는 데 충실한 수동적인 태도를 보였다면, 나혜석과 허정숙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그와 같은 수동성의 한계를 넘어 보다 능동적인 태도로 여성적 삶의 내러티브를 써나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혜석은 현실과 정면으로 부딪치며 자신의 욕망에 충실한 글쓰기를 수행했으며, 허정숙은 남성 파트너를 교대해가며 현실의 법을 벗어나는 이념적 행동을 지속하였다. 두 여성이 그려나간 이와 같은 삶의 상태는 그 서로 다른 방향에도 불구하고 남성 작가의 소설 속에서 상상된 여성의 상태를 초과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하나의 맥락을 공유하고 있다고 하겠다. 한편 이 논문은 시야를 그녀들의 삶 전체로 확장하여 이 문제에 대응하는 방식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나혜석은 이혼 이후 화가와 여성 지도자로서의 명성을 잃고 사회적으로 고립된 상황에서 불우하게 삶을 마감했으나 자신의 욕망에 충실하면서 현실에 맞서는 여성적 내러티브의 넓은 외연을 펼쳐 보였다면, 주도적으로 남성과의 관계와 이념적 방향을 추구했던 허정숙의 경우 해방 이후 북한 정권의 요직을 맡으며 비교적 평탄한 삶을 살았으나 결과적으로는 이전의 이념과는 모순되는 상태에 이르렀다고 보았다. 죽음이라는 목적지가 전제된 삶의 내러티브라는 측면에서 바라보면 나혜석과 허정숙이 도달한 삶의 결말은 그 본질에서 표면의 양상과는 아이러니를 이루고 있다고 판단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lives and writings of Na Hye-seok and Heo Jeong-suk as two cases that go beyond the limitations of female characters in Kim Nam-cheon’s novels who are set up as ideological others and extend further toward women as the Real. In the process, on the one hand, it will reveal the limitations of female characters portrayed by male writers, while on the other hand, it will attempt to examine the specific state of female life and writing that exists outside the scope of male imagination. Through that comparison, the female characters (Choi Young-ja and Choi Moo-kyung) in Kim Nam-cheon’s novels show a passive attitude that is faithful to refining internal ethics while indirecting the conflict with external reality. If so, it could be confirmed that Na Hye-seok and Heo Jeong-suk went beyond the limits of such passivity in different ways and wrote narratives of feminine life with a more active attitude. Na Hye-seok confronted her reality head-on and wrote faithfully to her own desires, while Heo Jeong-sook alternated between her male partners and continued her ideological actions that deviated from the laws of her reality. Despite their different directions, the state of life depicted by the two women shares a common context in that it exceeds the state of women imagined in novels by male authors. Meanwhile, this paper expanded its perspective to their entire lives and looked at trends in how they responded to this problem. After her divorce, Na Hye-seok lost her reputation as a painter and female leader and ended her life in a socially isolated situation but she unfolded the broad outlines of a feminine narrative that confronts reality while remaining faithful to her desires. In the case of Heo Jeong-suk who took the lead in relationships with men and pursued an ideological direction, she lived a relatively smooth life while holding key positions in the North Korean regime after liberation, but ultimately ended up in a state that contradicted her previous ideology.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a life narrative premised on the destination of death, the ending of life reached by Na Hye-seok and Heo Jeong-sook was judged to be ironic in its essence from the surface aspect.

      • KCI등재

        우리나라 관광숙박업의 성장과 지역별 경쟁력에 관한 연구

        손정수 ( Son Jeong-soo ),최원석 ( Choi Won-seok ) 한국호텔리조트학회(구 한국호텔리조트카지노산학학회) 2021 호텔리조트연구 Vol.20 No.2

        This paper aims to analyse regional growth patterns and regional competitiveness for tourist accommodation which are a core of the tourism industry. For the analysis of the tourist accommodation, this paper was divided into 7 regions including the metropolitan, and analyzed dynamic shift-share analysis and regional growth rate differential analysis using regional data from 2013 to 2019. According to the analysed results, the tourist accommodation was analyzed in the Metropolitan and Gangwon province as a fading industry and a stagnant industry, respectively. In particular, DK region a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ere analyzed as growth industries, and other regions were measured as competitive industries. Considering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tourist accommodation, the metropolitan and Gangwon province need a policy that can grow together with the competitiveness of other regions rather than excluding them from intensive control list, even if their industrial competitiveness is low. Korea's tourism industry is playing a pivotal role in the local economy.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he government to present growth directions through continuous surveys and research on employment and sales of tourist accommodation.

      • KCI등재

        김남천 「등불」의 서사구조와 자기 지시적 상호텍스트성의 관계

        손정수(Son, Jeong-soo) 우리말글학회 2018 우리말 글 Vol.77 No.-

        본 연구는 김남천의 소설 「등불」의 서사 구조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보충하면서 그와 연관하여 상호텍스트성의 문제를 새롭게 제기한다. 우선 「등불」은 작가-서술자-인물 등의 서사 층위가 편지 형식을 통해 구분되어 있으면서도 어느 지점에서는 다른 층위와 연결되는 독특한 서사 구조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편지의 수신자 혹은 그 내용에 등장하는 인물 가운데 일부는 텍스트와 관련된 현실 속 인물들이지만, 또 다른 인물군들은 그 시기 김남천의 다른 소설들에 등장하는 인물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도 하다. 서로 다른 텍스트에 등장하는 유사한 인물들을 매개로 「등불」과 그 무렵의 김남천의 다른 소설들은 독특한 자기 지시적 상호텍스트성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런 방식으로 「등불」의 자기 지시적 상호텍스트성은 서사 구조와 결합되고 있는데, 이 관계는 어떤 의도를 실현하기 위한 방향에서 구축되는 성질의 것이라기보다 텍스트의 구조를 이완시키는 방향에서 이루어진 잠정적 상태라는 점에서 특수성을 갖는다. 이 해체적 맥락에서 이루어진 「등불」의 서사 구조는 부정적 현실에 대응하는 의식의 한 가지 새로운 유형을 설명하는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aper aims at arguing the narrative plot of 「Deungbul」in new point of view and suggesting a new problem of intertextuality. As a result, the narrative plot of the text can be explained as tentative state in the way of deconstruction and the intertextuality which is working among author’s own texts can be understood in the similar way. The moment of deconstruction in the plot and the narrating consciousness may be help of approaching to the new type of response against negative surrounding.

      • KCI등재

        1940년대 전반의 ‘소설’ 개념 - ‘소설’ 개념의 역사 (3)

        손정수(Son, Jeong-soo) 한국현대소설학회 2021 현대소설연구 Vol.- No.82

        This thesis aims at contemplating the continuous change in the history of concept ‘sosŏl’ in the first half of 1940s. In its early situation, being relatively possible to pursue differences in subject’s prospects, the discussion on the novel and the relation with other cultural media was very active. But in its late state, pursuing each different prospect was strictly prohibited because of the political pressure, so the concept of ‘sosŏl’ has been gradually dissolved to its almost extinction.

      • KCI등재
      • KCI등재

        텍스트의 경계

        손정수(Jeong Soo Son) 한국현대소설학회 2002 현대소설연구 Vol.- No.16

        The proper nouns which appear in modern korean novels in 1930 are not so much a mode of narrating the private experience as a device to represent a consciousness about aporia of modern navel. Because of this proper noun, the boundary of fact and fiction becomes ambiguou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inside of the text and the outside of the text faces a new aspect. The text with proper noun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irst type is characterized by existence of author`s name, and thereby the boundary of fact and fiction becomes vague. Second type is characterized by the production of intertextuality, and this feature makes the boundary neutralized. And third type is characterized by the simultaneous production of two text, and this make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text cross each other. This kind of aesthetics tries to criticize the ideological trait of the realistic novels which simply identify the text with the real world. This type of experimentation which provokes the ultimate existence of the consciousness about writing goes before the genre or the text and can get a new significance in that it sets a question with novel itself by novel.

      • KCI등재

        한국 소설의 수용 의식에 나타나고 있는 비심미적 독서 경향과 그 문학 교육적 의미 -수업 과정에서 젠더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손정수 ( Son Jeong-soo ) 반교어문학회 2018 泮橋語文硏究 Vol.0 No.49

        2010년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한국 소설의 수용 현장에서는 여러 의미 있는 변화의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페미니즘에 대한 관심은 그 변화의 첨예한 일부라고 할 수 있는데, 그 기저에는 새로운 문학적 의식과 태도, 윤리 등 보다 근본적인 동인이 작용하고 있을 것이라 짐작된다. 이 글에서는 대학 전공 수업에 나타난 학생들의 반응을 통해 소설 수용을 둘러싼 변화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학생들의 반응에서는 작품 내적인 특징뿐만 아니라 자신의 현실적 문제와 연관되는 부분에 대해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전에 비해 그 비중이나 태도의 적극성에서 괄목할 만했다. 시대 상황에 따른 인식의 차이 및 젠더 감수성과 연관된 문제가 강독 대상 작품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었고, 개별 소설에서는 그 비심미적 독서의 계기가 표절 등의 외적 맥락이나 소설 형식의 이해와 관련한 내적인 차원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학생들의 반응에 나타난 비심미적 계기는, 특히 독서 과정 초반에는 심미적 독서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보였는데, 수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서로 소통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이 글에서는 젠더 문제를 중심으로 그 구체적인 과정을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학생들의 반응에 나타난 비심미적 독서의 계기는 기존의 심미적 독서로 분석되지 않는 새로운 문학적 태도와 감수성을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며, 심미적 독서와 상호교통하면서 소설에 대한 해석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recent changes in students’ response to Korean fictional narratives. In that process, issues concerning differences in cultural sense, gender, and other efferent readings are figured out as meaningful phenomenon. They seem to stand against aesthetic reading, but I think that they also interact with established aesthetic sense and eventually support to expand the range of narrative interpretation. I suggest that those non-aesthetic moments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ly in literary education and a new way of literary education related to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shoud be tried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오디세우스 마스터플롯의 여성적 전도 과정 - 「무진기행」의 대항서사들을 중심으로

        손정수(Son, Jeong-soo) 한국현대소설학회 2020 현대소설연구 Vol.- No.78

        This thesis defines the odysseus masterplot combining Peter Books’s plot model with Freud’s discussion on the masculine sexual desire. It is thought that the masterplots have been maldistributed in modern korean narratives and the difference in them can explain the contemporary characteristic of that period. On that premise, I compared the odysseus masterplot in “Mujingiheng”(A Journey to Mujin(霧津)) with its counter narratives, such as Gong Ji-young’s Dogany(melting pot), Kim, Keum-hee’s “Ojik Han Saramui Chaji(only one person’s possession)”, Kang Wha-gil’s Dareun Saram(the next person), Lee Ju-ran’s “Neon Swipge Malhaetjiman (though you said simply)” and got to confirm that the change of gendered consciousness was projected in the transition of the masterplot.

      • KCI등재

        윤치호 일기와 근대 초기 고백체 소설 -윤치호 초기 일기의 장르적 성격 (2)-

        손정수(Son, Jeong-soo)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5 No.-

        미국 유학 시절 영문으로 기술된 윤치호의 일기와 이광수, 김동인, 염상섭 등 일본 유학생 세대의 고백체 소설 사이에는 일기와 소설이라는 장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경험과 의식을 바탕으로 한 내용과 표현이 여러 지점에서 발견된다. 이 논문은 그 지점들이 근대 초기의 일기와 자전적 소설이 서술적 정체성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경험적 의식의 토대 위에서 성립된 것이라는 사실을 새삼 확인시켜준다고 보았다. 그와 같은 확인 작업은 고백체 소설의 기원을 제도의 영향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관점에 대한 반성을 요청하는 한편, 근대적 자기 서사의 기원을 전통과 이입의 이분법적 대립 구도 너머에서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There are some points of correspondence between Yun, Chi-ho’s early diaries and the confessional narratives of the 1920s, though they are different in genre. Those points, I think, confirm that the factual and fictional narrative share common purpose of narrative identity on the base of empirical consciousness. I believe that such comparison between different genre makes way for exploring the new possibility beyond dichotomy of tradition and importation in explaining the process of formation of modern Korean writing conscious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