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 <갯마을>의 상징적 장소와 장소성

        손은하 ( Sohn Eunha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

        `장소(place)`는 환경, 공간, 위치 등의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하기도 하나 이것은 위치 이상의 것으로 통합되어있고 자연적 환경을 문화화한 개념이다. 또한 공간을 장소로 만들고 특정 장소를 다른 장소와 구별되게끔 하는 총체적 특성을 `장소성(placeness)`이라고 하며 이는 장소의 정체성과 장소 애착(place attachment), 장소감(sense of place) 등의 파생된 개념과 공존한다. 이러한 장소와 장소성은 인간이 매개되지 않으면 형성되지 않는 개념이다. 그리고 인간 생태학을 토대로 하는 공동체 이론도 장소를 밑바탕으로 하여 생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개념들을 바탕으로 하여 <갯마을> 텍스트에 나오는 인물들을 접목시켜 보았다. 이들은 바다를 매개로 자연적 공동체를 이루어 나가는 모습들이 장소애착으로 나타난다. 또한 이 공동체의 상징적인 장소, 즉 바다에 대한 의미는 사람마다 차이를 보인다. 주인공 "해순"과 "해순의 시어머니"는 바다가 삶의 원천이며 자신의 몸과 뗄 수 없는 애착의 장소이나 "순임"에게 있어 바다는 죽음에 이르는 "깊은 이미지"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마을 어귀에 있는 성황당은 기도와 정성을 담아 예를 올리는 신화적 장소로 혹은 원망과 통곡의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인간에게 있어서 장소와 장소성은 인간과 환경, 시간, 활동, 공동체 의식, 경관, 상대적 위치 등에 의해서 매겨지는 중층적인 측면을 갖고 있다. 마지막으로 실제 <갯마을>의 공간적 배경이 되었던 일광바다의 답사를 통해 조사한 결과 이 텍스트가 그 장소의 역사적 사실과 현장성을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While the term “place” is interchangeably used to mean environment, space or position, the term is more than a position and embodies the culturaliz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Moreover, the term “placeness” refers to the comprehensive quality which makes a space into a place and distinguishes a given place from another place. This term coexists with the identity of a place as well as the related ideas such as a place attachment and a sense of place. A “place” and the “placeness” are ideas which cannot be formed without human beings serving as media, and they are based on the community theory or place which is built upon human ecology. The intertwined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racters in the < Gat-Maeul > text are portrayed based on the aforesaid theoretical concepts. These characters form a natural community through the ocean as the medium, which depicts their place attachment. For “Hae-Sun,” the protagonist, and “Hae-Sun`s Mother-in-law,” the ocean is the source of life, a place to which they are attached. For “Sun-Im,” on the other hand, the ocean is the “profound image,” a place of death. The shrine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is a mythological place in which people pay their respect with prayer and devotion. It is also used as a place of grudge as well as mourning. In conclusion, for human beings, a place and the placeness are multi-layered concepts which relate to certain elements such as human beings and environment, time, activities, community awareness, scenery and relative position. Finally, after investigating the Il-Gwang ocean, the actual background of Gat-Maeul, it has been proven that this text reflects the historical facts as well as the presence of that ocean.

      • KCI등재

        GK2A 일단위 NDVI의 과소추정 노이즈 실시간 보정

        이수진,윤유정,손은하,김미자,이양원,Lee, Soo-Jin,Youn, Youjeong,Sohn, Eunha,Kim, Mija,Lee, Yangwon 대한원격탐사학회 202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8 No.6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is utilized as an indicator to represent the vegetation condition on the land surface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land cover, crop yield, agricultural drought, soil moisture, and forest disaster. However, satellite optical sensors for visible and infrared rays cannot see through the clouds, so the NDVI of the cloud pixel is not a valid value for the land surface. This study proposed a real-time correction of the underestimation noise for GEO-KOMPSAT-2A (GK2A) daily NDVI and made sure its feasibility through the quantitative comparisons with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NDVI and the qualitative interpretation of time-series changes. The underestimation noise was effectively corrected by the procedures such as the time-series correction considering vegetation phenology, the outlier removal using long-term climatology, and the gap filling using rigorous statistical methods. The correlation with MODIS NDVI was higher, and the difference was lower, showing a 32.7% improvement compared to the original NDVI product. The proposed method has an extensibility for use in other satellite products with some modification.

      • KCI등재

        GK2A AMI를 이용한 한반도 식생건강지수 산출

        이수진 ( Soo-jin Lee ),조재일 ( Jaeil Cho ),류재현 ( Jae-hyun Ryu ),김나리 ( Nari Kim ),김광진 ( Kwangjin Kim ),손은하 ( Eunha Sohn ),박기홍 ( Ki-hong Park ),장재철 ( Jae-cheol Jang ),이양원 ( Yangwon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8 No.2

        지구온난화는 기후변화를 야기하며 전지구적으로 이상기상 현상을 유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폭염, 가뭄과 같은 이상기상 현상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상기상 감시를 위하여 지표면온도(Land Surface Temperature, LST), 온도상태지수(Temperature Condition Index, TCI), 식생활력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식생상태지수(Vegetation Condition Index, VCI), 식생건강지수(Vegetation Health Index, VHI) 등의 위성자료가 활용되고 있다. TCI와 VCI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VHI는 온도, 강수와 같은 기상 요인에 의한 식생 스트레스를 나타내며, 기후변화 상황에서 가뭄 평가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TCI, VCI는 날짜 및 장소에 따른 LST, NDVI의 과거 평년치를 참조해서 산출되기 때문에, 아직 2년여의 자료밖에 없는 천리안위성 2A호(GK2A) AMI (Advanced Meteorological Imager) 자료로부터 TCI, VCI, VHI를 산출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쉽지 않은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안적인 방법으로 VIIRS (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센서의 LST, NDVI를 이용하여 GK2A의 VHI 산출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GK2A와 VIIRS의 LST, NDVI는 상당히 높은 상관성을 보이기 때문에, GK2A에 존재하지 않는 과거 평년치를 VIIRS 자료로 대체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8일 간격으로 GK2A 격자에 해당하는 LST, NDVI의 최소·최대값 조견표를 구축하여 TCI, VCI, VHI를 산출하였고, 최근 우리나라 이상기상 현상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GK2A VHI는 2020년 3월과 6월의 폭염, 4월과 7월의 저온, 8월의 폭우 등으로 인한 식생 스트레스의 변화를 잘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미국 해양대기청(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의 VHI 산출물은 그렇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GK2A VHI는 향후 LST, NDVI의 과거 평년치에 대한 통계적으로 엄밀한 보완을 거친다면 폭염, 가뭄으로 인한 식생 스트레스 감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Global warming causes climate change and increases extreme weather events worldwide, and the occurrence of heatwaves and droughts is also increasing in Korea. For the monitoring of extreme weather, various satellite data such as LST (Land Surface Temperature), TCI (Temperature Condition Index),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VCI (Vegetation Condition Index), and VHI (Vegetation Health Index) have been used. VHI, the combination of TCI and VCI, represents the vegetation stress affected by meteorological factors like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and is frequently used to assess droughts under climate change. TCI and VCI require historical reference values for the LST and NDVI for each date and location. So, it is complicated to produce the VHI from the recent satellite GK2A (Geostationary Korea Multi-Purpose Satellite-2A). This study examined the retrieval of VHI using GK2A AMI (Advanced Meteorological Imager) by referencing the historical data from VIIRS (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NDVI and LST as a proxy data. We foun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GK2A and VIIRS data needed for the retrieval of VHI. We produced the TCI, VCI, and VHI for GK2A during 2020-2021 at intervals of 8 days and carried out the interpretations of recent extreme weather events in Korea. GK2A VHI could express the changes in vegetation stress in 2020 due to various extreme weather events such as heatwaves (in March and June) and low temperatures (in April and July), and heavy rainfall (in August), while 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VHI could not well represent such characteristics. The GK2A VHI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monitor the vegetation stress due to heatwaves and droughts if the historical reference values of LST and NDVI can be adjusted in a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ay in the future work.

      • KCI등재

        천리안위성 1·2A호 지표면 알베도 상호 오차 분석 및 비교검증

        우종호 ( Jongho Woo ),최성원 ( Sungwon Choi ),진동현 ( Donghyun Jin ),성노훈 ( Noh-hun Seong ),정대성 ( Daeseong Jung ),심수영 ( Suyoung Sim ),변유경 ( Yugyeong Byeon ),전우진 ( Uujin Jeon ),손은하 ( Eunha Sohn ),한경수 ( Kyung-so 대한원격탐사학회 2021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7 No.6

        장기간에 걸친 전 지구적인 위성관측 지표면 알베도 자료는 전 지구 기후 및 환경의 변화 감시에 활발히 이용되고 있으며 그 활용도와 중요성이 크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지궤도위성 천리안위성 1호(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 MI(Meteorological Imager) 센서와 천리안위성 2A호(GEO-KOMPSAT-2A, GK-2A) AMI (Advanced Meteorological Imager) 센서의 세대교체를 통해 지속적인 지표면 알베도 산출물의 확보가 가능하다. 그러나 COMS/MI 및 GK-2A/AMI의 지표면 알베도 산출물은 센서 및 알고리즘의 차이로 인해 산출물 간의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COMS/MI와 GK-2A/AMI 지표면 알베도 산출 기간을 확장하고 지속적인 기후변화 감시 연계성 확보를 위해 두 위성 산출물 간의 오차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COMS/MI 및 GK-2A/AMI 지표면 알베도 자료의 중복기간을 대상으로 지상관측자료 AERONET (Aerosol Robotic Network)와 타 위성자료 GLASS (Global Land Surface Satellite)와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오차 분석 결과 AERONET과의 검증에서 COMS/MI의 평균 제곱근 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가 0.043로 GK-2A/AMI의 RMSE인 0.015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GLASS와 비교하였을 때 COMS/MI의 RMSE는 0.029로GK-2A/AMI의 0.038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오차특성을 이해하고 COMS/MI 및 GK-2A/AMI의 지표면 알베도 자료를 사용할 때 장기간 기후변화 감시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Global satellite observation surface albedo data over a long period of time are actively used to monitor changes in the global climate and environment, and their utilization and importance are great. Through the generational shift of geostationary satellites COMS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MI (Meteorological Imager sensor) and GK-2A (GEO-KOMPSAT-2A)/AMI (Advanced Meteorological Imager sensor),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ecure surface albedo outputs. However, the surface albedo outputs of COMS/MI and GK-2A/AMI differ between outputs due to differences in retrieval algorithms. Therefore, in order to expand the retrieval period of the surface albedo of COMS/MI and GK-2A/AMI to secure continuous climate change monitoring linkage, the analysis of the two satellite outputs and errors should be preceded. In this study, error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performing comparative analysis with ground observation data AERONET (Aerosol Robotic Network) and other satellite data GLASS (Global Land Surface Satellite) for the overlapping period of COMS/MI and GK-2A/AMI surface albedo data. As a result of err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RMSE of COMS/MI was 0.043, higher than the RMSE of GK-2A/AMI, 0.015. In addition, compared to other satellite (GLASS) data, the RMSE of COMS/MI was 0.029, slightly lower than that of GK-2A/AMI 0.038. When understanding these error characteristics and using COMS/MI and GK-2A/AMI’s surface albedo data, it will be possible to actively utilize them for long-term climate change monito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