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정 유아교육경험 여부에 따른 영재와 영재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 차이

        성영화(Young Hwa Sung),이신동(Sin Dong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4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영재 및 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일반적인 인식 및 다문화가정 유아 교육 경험 여부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는 카이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유아영재는 일반영재로, 잠재된 능력과 성취가 불일치한 영재로 보았다. 특히, 다문화가정 유아들이 지닌 영재특성은 특정 분야에서의 탁월한 재능을 뽑았고, 부정적 특성으로는 사회적 불안 및 소외감과 언어발달 지연이 있었으며 이는 교사의 다문화가정 유아 교육경험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유아영재를 판별할 때 창의성 및 사고력 검사를 실시해야 하며, 만 3세 이후가 되면 판별할 수 있다고 보았다. 셋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유아영재교육이 필요하며, 이에 대해 다문화가정 유아를 교육해본 교사가 그렇지않은 교사에 비해 높게 인식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유아영재교육의 목적은 잠재력 계발 및 소외영재로 발굴 가능성 증진에 있고, 사회성 및 정서 발달에 대한 교육내용을 바탕으로 놀이를 통해 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다차원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보 았다. 이 중에서 교육 내용 및 교육 방법에 대해서는 교사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넷째, 다문화가정 유아영재교육은 학기 중 평일을 이용하여 개인수준에 따라 횟수를 정해서실시하고, 1~5명으로 구성된 집단으로 영재교육담당 공교육기관에서 영재교사에 의해실시되어야 한다고 교사들은 인식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사의 인식을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유아영재교육을 위한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of teachers' general perceptions about gif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y teachers' education experience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270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hi-square test.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ived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s generally gifted, and mismatched between achievement and potential ability. In particular, teachers perceived outstanding talent in a particular field as a characteristic of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s a negative characteristic, teacher responded social unrest and alienation, delays in language development and it show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Second, teachers responded that creativity and thinking skills tests must be carried out to determine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gifted young children can be classified after three years old. Third, teachers perceived the need of gif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specially, teachers with educational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ighly responded on the need of the gifted education. Also, teachers responded that purpose of education for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to increase potential development and excavation possibility of disadvantaged and gifted young children. Moreover, the contents of gifted education should focus on social and emotion development, and it should be implemented as play-based, and the measurements should be a multidimensional. Among them,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show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rth, teachers responded that gif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need to be conducted during weekdays of the education year depending on the individual level as a group of 1-5 young children and the education needs to be implemented in public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by gifted teacher. And it's perception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eachers, suggestions were provided about the direction for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유아의 다문화 인식과 관련한 변인 연구

        성영화 ( Young Hwa Sung ),최나영 ( Na Young Choi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 between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its related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9 young children who were attending kindergarten in seoul and Gyeonggido, each young children`s parents, and 16 teacher. This study used tools like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sensitivity, parent`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The data were collected after each test did at kindergarten and home. The data was analyzed with Two 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sensitivity were difference by age but not by gender. Second, parent`s multicultural awareness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sensitivity. Third,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were partially correlated with the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sensitivity. As a result, teacher education is important considering the age of the young children to achieve positive multicultural sensitivity.

      • KCI등재

        영아기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는 어머니들의 부모역할적응 실태 및 어려움

        성영화(Sung Young Hwa),이연우(Lee Youn Woo)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는 어머니들의 부모역할적응에 따른 실태와 그 과정에서 경험하는 역할 어려움에 대해 살펴보고, 어머니의 변인 및 영아의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탐색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 부산시, 아산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을 이용 중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들의 부모역할적응 실태를 살펴보면, 70.5%의 어머니들은 영아기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면서 1달 이내에 부모로써 역할을 수행하는데 적응해 갔다고 하였다. 또한 아침에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면서 더 이상 불안감을 느끼지 않게 되었을 때 부모역할에 적응해 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는 어머니들의 응답이 가장 높았다. 부모로써의 역할적응이 자녀의 어린이집 생활에 영향을 미쳤다에 대해 과반수가 넘는 어머니들이 그렇다고 응답하였으며, 영아의 연령에 따라 어머니들의 응답은 차이를 보였다. 또한 부모역할적응이 교사와의 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에 대한 어머니들의 응답은 그렇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러한 응답은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어머니들은 부모역할에 적응해 가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교사와 원장의 지원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취업을 한 어머니일수록 가족구성원의 지지가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부모역할적응이 되지 않아 교사와 갈등을 겪은 적이 없다는 어머니들이 있다는 어머니들보다 많았다. 둘째, 어머니들의 부모역할적응과 관련한 어려움을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에서 요구하는 부모역할과 관련한 모든 문항에서 보통이다 이하의 평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절차와 협력사항 및 자원봉사자로서의 부모참여는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보육활동 참관을 통한 부모참여에서는 어머니의 취업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대소변 훈련 방법과 관련한 부모역할에 대해서는 영아의 연령에 따라 어머니의 응답이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후 부모역할적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and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parents’ role for mothers sending their infants to daycare center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variables of mothers and infants. To fulfill the purpose, the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176 mothers who sent their infants to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Busan, and Asan citie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of the conditions of parent role adjustment indicated that 70.5% of mothers were adjusted to the parent role within a month and they noticed of adjusting to parent role when they did not felt the insecureness. Over half of mothers also responded that relationship between their young children and teachers influenced on parent role adjustment.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by the ages of infants and mothers. Results also found that the most number of mothers perceived the influence of the parent role adjustment on the relationship to the teachers and the responses showed differences by mothers’ ages. Moreover, the most number of mothers responded supports from teachers and directors as an helpful element for parent role adjustment. Mothers with jobs also showed more responses in supports from the family members as an helpful element than mothers without jobs. More mothers also responded that they did not experience the conflicts with teachers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o parent role. Second, results of the difficulties in parent role adjustment indicated that most of mothers perceived the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parent role as the below average level. Among mother’s variables, procedure for infants’ adjustment to daycare center and parent involvement as a volunteer showed differences in mothers’ ages. Parent involvement through activity observation showed differences in the presence of mother’s jobs. Regarding to the parent’s role for toilet training, mothers’ responses showed differences in infants’ ages.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provided in terms of developing the program for parent role adjustment.

      • KCI등재

        예비영유아교사들이 경험한 보육실습 실태 및 만족도

        성영화(Sung, Young-Hwa),최효정(Choi, Hyo-J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예비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주 기간 동안 경험한 보육실습 실태와 만족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및 충청도에 위치한 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명의 예비영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치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결과 첫째 보육실습 형태에서는 국공립 어린이집에서 실습을 하고 학급을 배정받으며 영아반보다 유아반에서 실습한 예비영유아교사들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실습 내용에 대해 예비영유아 교사들은 주차에 교직원 소개 및 인사를 시작으로 주차에는 부분수업과 연계수업을 실시하였고 주차에는 종일 반일 수업을 실시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보육실습 만족도에서는 보육실습 환경에 대해 만족한다는 예비영유아교사들의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보육실습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look into actual state and satisfaction toward childcare practice experienc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ver the period of six weeks. For this aim,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targeting 186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attending either a college or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or Chungcheong Province. Results of collected data were drawn based on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s a result, first, there were higher number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did practice at state-funded daycare center, assigned to be in 1st level class, and participated in practice at young children classes. Second, with regard to childcare practice content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plied that they started from introduction to faculty and greetings, carried out partial classes and related classes from the third week to the fifth week, and held all-day classes in the sixth week. Third, when it came to childcare practice satisfaction, the highest rat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childcare practice environment. This study discussed the items to be considered in future childcare practices based on aforementioned results.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 척도 타당화

        성영화 ( Young Hwa Sung ),이지영 ( Ji Young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0 아동교육 Vol.19 No.4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 척도를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유아교사 201명이었다. 또한 다문화 효능감 척도의 타당화 절차는 예비문항 구성과 내용 타당도 검증, 예비조사, 본 조사로 이루어졌다. 본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카이검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Cronbach a 계수를 살펴봄으로써,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효능감 척도의 타당도 검증 결과이다. 다문화적 효능감 척도의 문항 변별도는 카이 검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14문항은 문항 변별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성타당도 검증 결과 다문화적 효능감은 일반 효능감, 수업 효능감, 분위기 효능감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공인타당도 검증 결과 다문화적 효능감과 다문화 신념 간에는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효능감 척도의 신뢰도 검증 결과이다. 일반 효능감은 .83, 수업 효능감은 .91, 분위기 효능감은 .89로 나타났고, 14문항의 신뢰도 검증 결과 .92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 척도는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을 측정하기에 타당하고 신뢰도운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ion of multicultrual efficacy scale for young children`s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1 young children`s teacher who worked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The procedure of the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validation was consisted of preliminary items, content validation questions,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this investigation. The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earson`s r and Cronbach`s 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is result the validation. The validation about the item of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was investigated by Chi-square test and multicultural efficacy of 14 items showed that there is a question of discrimination. and result of the construct validity, multicultural efficacy of young children`s teacher was consist of the following three factor: multicultural general efficacy, multirulcural teaching efficacy, and multicultural climate efficacy. And multicultur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belief of young children`s teacher were correlated. Second,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is result the reliability. The result of the reliability, Cronbach a of multicultural general efficacy was 83, multirulcural teaching efficacy was .91, multicultural climate efficacy was .89, 14 items were .92. Therefore multicultural efficacy of young children`s teacher were validity and reliability.

      • KCI등재

        영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어린이집 관련 부모역할적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성영화(Sung, Young-Hw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이 영아기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면서 경험하게 되는 부모역할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이와 관련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다문화가정의 영아를 보육해본 경험이 있는 서울시에 근무 중인 17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성한 설문지를 토대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분석과 t-test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영아들의 어린이집 적응 기간 및 패턴과 관련하여 개별 영아마다 다 다르지만, 잘 적응해 간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도 부모역할을 수행하며 적응해 가는데 걸리는 기간이 개별마다 다른데, 이 과정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겪는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을 위한 어린이집 관련 부모역할적응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본 프로그램은 영아들의 어린이집 적응을 촉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교사들은 부모역할적응과 관련한 내용 중에서 부모참여에 관해서 특히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어려움을 느낀다고 인식하였으며, 보육교사와 상호작용, 영아건강검진 및 예방접종 방법 등과 같은 프로그램의 내용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방법에 대해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방문교사에 의해서, 어린이집에서 교육하고, 소집단 집합교육으로 토론을 활용 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프로그램을 평일에, 1시간 이내로, 한 학기에 1~2회 정도 실시하고 어머니와의 면담을 통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영아기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는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이 부모역할을 수행하며 적응해 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erceptions of teacher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the parent role adjustment program for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170 teachers who have been educare infa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ocated in Seoul city. They answered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item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for frequence calculation and t-test. The main results of thi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cognized that period and pattern of infants adjustment in daycare center were different from individual to individual and they adapt well. Also, teachers recognized that period of mothers parent role adjustm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different from individual to individual and the mothers felt communication difficulties during this period. Second, teachers responded that the parent role adjustment program for the mothers was necessary and the purpose of the program was to facilitate the daycare center adaptation of infant. Teachers responded that mothers felt particularly difficulties about parental involvement in the parent role adjustment contents. And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with teachers, infant health screening and vaccination methods as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lso teachers responded that the program should be educate by multicultural families visiting teacher, implemented at the daycare center, and carried out by a small group through discussion.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program should be conducted on weekdays, within one hour in 1 sessions, 1~2 sessions per semester and interview with their mothers to program assess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parent role adjustment program related to daycare center for mother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특별활동 운영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 조사

        성영화(Sung, Young Hwa),이수련(Lee, Soo Ryu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특별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강사의 자격 및 자질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 237명과 만 3∼5세반 유아교사 11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별활동 강사의 자격에 대한 인식에서 어머니와 교사는 특별활동 강사가 유아교육 및 해당특별활동의 전공자여야하고, 자격증을 갖추어야 하며, 연수 및 교육을 이수해야하고, 경력을 갖추는 등의 자격 요건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다만, 어머니는 교사에 비해 특별활동 강사가 유아교육 관련 분야의 경력과 자격증을 소지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았고, 교사는 어머니보다 특별활동 관련 자격증을 소지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특별활동 강사의 자질에 대해서는 어머니와 교사 모두 교직에 대한 태도, 유아에 대한 전문적 지식, 수업 계획 및 조직, 수업 실행, 그리고 강사 평가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이에 더해 특별활동 강사의 자질 중 유아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는 인식은 교사보다 어머니에게서 더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양질의 특별활동 운영을 위한 강사의 자격 및 자질 관리에 목적을 둔 인증제 실시를 제안한다. This study explores whether mothers and teachers differ in their perception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structors" qualification and quality for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management. We analyze survey data for 237 mothers and 111 teachers working 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thers and teachers had high expectations for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structors" qualification. Mothers had high expectations for the related early childhood careers and certificate but lower expectations for the relat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certificate than did teachers. Second, mothers and teachers had high expectations for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structors" quality. Mother had high expectations for the expertise for young children than did teachers. Proceeding from what has been said above, it should be concluded that certification system is necessary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structors.

      • KCI등재

        어린이집 통학차량 운행과 관련한 원장의 운영관리, 협력관계 및 요구도 조사

        성영화(Sung Young Hwa),최효정(Choi Hyo Jung),김근희(Kim Keun Hee) 한국육아지원학회 2015 육아지원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어린이집 통학차량 운행과 관련한 원장들의 운영관리, 협력관계 및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중에서 통학차량을 운행하고 있 는 곳의 원장 106명이었다. 어린이집 원장들은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구성된 설문지에 직접 응답하였으며, 자료는 빈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원장들은 부모들의 요구로 통학차량을 운행하였고, 오전에는 8시부터 운행을 시작하여 10시 이전에 마감하고, 오후에는 주로 4시 이후에 시작하여 6시 30분 이전에 종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차량 운행 시간은 40분 미만이었으며, 부모들이 3만원 미만의 비 용을 지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통학차량 운행과 관련한 원장과 교사, 부모, 그리고 운전 기사의 협력관계에서는 통학차량 운행에 대해 주로 사전에 안내가 되었으며, 통학차량 운행과 관련한 사 항에 대해서는 서로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이집 통학차량 운행에 따라 원장과 발 생하는 갈등의 원인은 교사, 부모, 그리고 운전기사에 따라 달랐고, 대부분은 갈등을 원만히 해결하였다. 셋째, 어린이집 통학차량 운행과 관련한 원장들의 요구도는 재정적 지원부터 교육까지 다차원적으로 나 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통학차량 이용 및 비용 지불을 위한 지침 마련, 준수사 항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 영유아의 안전 측면에서의 우선 순위를 고려한 지원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daycare center directors' operational management,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demand related to the daycare center bus running. Participants were 106 daycare center directors who run the daycare center bus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They answered the questionnaires which consisted of item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calculation. Results show that, firstly, directors ran the daycare center bus because of parents’ demand. The bus operational time was from 8 am to 10 am in the morning and from 4 pm to 6 pm in the afternoon. The average operational time was less than 40 minutes and parents paid less than 30,000 won for the fee of bus. Secondly, teachers, parents, and bus drivers were informed about the bus running by director previously and the director usually accepted teachers’ parents' and drivers’ opinion about bus running. The causes of conflic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akeholders, but they solved the conflicts smoothly. Thirdly, daycare center directors wanted financial support and education for the bus running. The guidance for the bus running and fee, the rules for the bus running and the support for the children's safety were suggested.

      • KCI등재

        어린이집 가정통신문의 내용과 편집 구성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요구

        성영화 ( Young Hwa Sung ),김근희 ( Keun Hee Kim ),김민화 ( Min Hwa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1 No.2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ent`s and teacher`s responses and demands for the family letter in child care center, and aimed to suggest basic frame of home correspondence. The participants were 149 parents and 139 teachers of 9 child care centers in seoul. They drew up a questionnaire which constructed questions about ``contents`` and ``editing formats`` for family letter. Their responses were analysed by frequency analysis, X2 verification, and t-test according to study questions. Results on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contents,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wrote greetings most frequently. However, they felt more difficult to write weekly greetings and parent eduction informations than to write child care center events and supplies. In contrast to teachers writing weekly greetings with more efforts, parents did not read them carefully. Parents were more interested in child care center events and supplies. Also, parents and teachers agreed that the event notification and supplies for children are most important as core contents. Second, in terms of the printing formats, teachers used to write a document by Hangul Word Processor. They edited a document with 10 point letter size of Arial fonts, sort by center, 160% line spacing, and three text colors. Both teachers and parents answered that this edit form is suitable. Most parents responded that the appropriate edit form is good to read than colorful edit, and they satisfied current receiving family letters. These results suggest how child care centers can create and offer family letters to children``s home. It needs to be emphasized practical information.

      • KCI등재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에 관한 연구

        성영화(Sung Young-Hwa),정혜숙(Jung Hye-Sook),고태순(Koh Tae-Soo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8

        본 연구는 우리나라 12개월부터 36개월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해 선행 연구들과 국내ㆍ외에서 사용하고 있는 영아 적응 관련 척도들을 분석하여 영아 적응 척도의 구성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이를 기초로 문항을 제작하고 구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221명의 영아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은 241명의 영아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의 총 연구대상 영아들은 462명이었다. 최종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해 내적 합치도를 산출하였다. 탐색적 연구결과 친사회성, 긍정적 정서, 일과적응, 자아강도의 4개 요인으로 구성된 22문항의 영아적응 척도를 완성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적합도 검증을 한 결과 다양한 부합도 지수가 적절하게 나타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가 타당한 도구임을 검증할 수 있었다. 신뢰도 검증 결과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94였으며 각 요인별로 .80~.92의 신뢰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to measure adjustment for young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 relevant to adjustment for young children were reviewed and hypothetical constructs were extracted. Based on these constructs and content validity taking from opinions of experts in child care field, the items to measure adjustment of young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 were created. The validity of the scale was tested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ubjects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221 and the subjects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241. So, all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2.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22-item scale were developed. This scale was composed of 4 factors including pro-sociality, positive affect, adjustment to day care routines, ego-strength. Also this scale proved to be a verified scale from test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liability was tested through the internal consistency estimate by Cronbach’s alpha. The whole reliability of this scale was .94 and the reliability according to factors indicated .80~.9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