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파언론의 수사와 자유주의의 아포리아: <뉴스공장>의 통합과 분할의 담론정치

        성민규 한국수사학회 2021 수사학 Vol.- No.42

        This paper explores some of the ways in which the partisan media exercise the integrative and divisive politics of liberalism. This contentious rhetorical formation of the partisan media is critically examined in the aporia of liberalism. While the partisan media impose on the audience the liberal ethos of self-sufficiency as a series of stratagems, such as tolerance and self-restrain, against self-righteous claims from the partisan media, the audience swirl into interpretive struggles with the partisan messages against their presumable political opponents in the public sphere. The rhetorical politics of liberalism disciplines the political subject into the relentless repetition of renewing its self-sufficiency for an unpromising liberal politics. I show how the liberal politics of self-sufficiency is reiterated through News Factory, one of the nation’s most popular radio talk shows. My analysis of the radio show uncovers the manufacturing of political conspiracy, the privatization of public affairs, and the irony of self-sufficiency. 이 글은 사회 구성원들 간 의견의 차이와 대립에 근거하여 집단 간 통합과 분할을 수행하는 정파언론의 문제를 자유주의 정치의 한계라는 측면에서 탐색한다. 차이와 대립을 반목과 적대의 정치로 환원하는 정파언론은 적대에 응수하고 반목을 참아내기 위해 수용자에게 관용, 절제, 자율성 등 자기충만의 내적 탁월성을 강조하는 자유주의 에토스를 거듭하여 강제한다. 필자는 이러한 정파언론에 의한 구성적 담론과정을 자유주의의 아포리아라고 부른다. 자유주의의 아포리아에서 저널리즘의 책무를 잃은 정파언론은 수용자를 끝도 없는 해석투쟁으로 몰아넣는다. 이 과정에서 수용자는 공적 담론의 주체로서 지위를 잃고 집단 동일성에 따라 적대와 반목을 거듭하며 이를 감내하기 위해 자기완벽과 자기초월의 내적 탁월성의 거듭된 훈련과 성취에 놓인다. 이 영겁의 과정은 끊임없이 반복되는 자기 훈련과 성취의 수사적 담론구성을 가리킨다. 본 연구는 영겁의 담론정치를 구현하는 정파언론의 사례로서 <뉴스공장>을 다룬다. 이 라디오 정치토크쇼가 표출하는 정파언론의 수사를 공작정치, 담론의 사유화, 자기충만의 수사라는 측면에서 논한다.

      • KCI등재

        RECASTING THE ‘INTER-KOREA’ IN NATIONAL RECONCILIATION

        성민규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2 Acta Koreana Vol.15 No.1

        This essay aims to provide a critical view of South Korean intellectuals and unification policy makers who stress the undisputed role of nationalism, across the diverse ideo-logical spectrums, in constructing ‘inter-Korea’ reconciliation in South Korean society. They contend that meanings of counter-hegemonic practice against anti-North Korean ideology are already determined within the politics of national identification. However, this mode of thinking remains a predicament of the South Korean public’s critical engagement with the way in which a moral claim to national identification is conflated with inter-Korea economic collaboration along the lines of neo-liberalism. But I also want to illuminate the connection that neo-liberalism and new conservatism in South Korea make in the attempt to help anti-North Koreanism survive democratic challenges. My critical evaluation of the connection suggests a discursive condition of what I call ‘inter-Korea sociability’, in which the South Korean public can appropriate social and historical claims about the inter-Korea relationship that range from the atrocious and violent events in the war to the so-called North Korean human rights crisis. I argue that two Koreas’ reconciliation can come through resisting the romanticization of Koreans’ own normative commitment to idealized national authenticity and liberal human rights.

      • KCI등재

        Questioning the South Korean Smart Border: A Critique of Surveillance Racism, Biometric Identity, and Anti-Immigration

        성민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 Korea Journal Vol.63 No.1

        This paper examines the border as an assemblage of surveillance technologies that exert a contentious claim to algorithmic accuracy based on raceembedded biometric data processing. I offer the term surveillance racism—a regime of normalization in which the technical reification of race for the biometric database configures anti-migration and anti-refugee discourses for the well-being of a population or nation. I put forward the border as a biopolitical enclosure in which biometric monitoring through security and risk calculations of threat to the state generates, propagates, and maintains discourses of racism. A discussion of South Korea’s Integrated Border Management System uncovers the workings of a biopolitical enclosure that is committed to constructing a claim about the survival of the Korean nation pitted against the peculiar racial category of unhealthy immigrants from nonWestern, developing countries.

      • KCI등재

        언론 불신 만들기: 공적 담론의 병리화와 여론조사의 숫자 정치

        성민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2 언론과 사회 Vol.30 No.1

        이 글은 언론 불신을 사회 구성원의 집합적 의지의 표출과 수행이라는 공적 담론으로서 접근한다. 공적 담론은 사회에서 개인과 집단이 언어 사용을 통해 참여하는 객관적 현재이자 그 객관적 현재를 정당화하기 위해 사회가 수용하는 표상 체계로 구성된 물질적 삶의 표출이다. 이런 관점에서 언론 불신을 공적 담론으로서 이해한다는 것은 언론이 수행하는 언어 사용이 언론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인식하고 정당화하는 표상 체계와 어떻게 연관되는지, 그리고 그 표상 체계의 작동은 공론장의 구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의 문제이다. 공론장에서 언론은자신의 신뢰 형성 기제인 뉴스가치, 전문직주의와 같은 표상 체계로써 언론 신뢰의 고유성을 복원하려 한다. 하지만 이는 언론 불신과 언론 신뢰를 단선적인대립 선상에 놓는 언론 신뢰에 대한 본질주의를 야기하며, 공론장 내 여러 갈등과 충돌의 담화를 단순화하고 병리화한다. 게다가 언론 불신의 책임을 수용자의문제로 환원하는 언론 불신의 병리화는 민주주의 상징 질서의 작동방식에 대한이해를 막고 민주주의를 소수 특권자의 정치로 지속해낸다. 확률적 엄밀성을 입증할 수도 없는 여론조사의 언어에 포획된 언론의 정치 분석은 그러한 반민주주의 정치의 반영이자 결과이다. 언론이 언론 신뢰 고유성의 표상 체계를 위한 특정한 언어 사용을 지배적으로 채택하거나 그 언어 사용에 포획되는 것은 독립적인 사회 비평으로서 언론의 지위를 스스로 파행시킨다

      • KCI등재
      • KCI등재

        Not Yet Post-Cold War Era: A Genealogical Search for the Cold War Discursive Infrastructure in Counter-Jongbuk Surveillance Politics

        성민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Korea Journal Vol.58 No.4

        This study explains how apparatuses of the state-society network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iscursive infrastructure of Cold War politics in South Korea. It argues that the nationwide Candlelight Protests in winter 2016–2017 were not only popular struggles to restore representative democracy, but also calls for critical reflection on the sustained, complex entwinement of voices manufactured from, and negotiated with, the discursive infrastructure of Cold War politics. Sustaining the Cold War discursive infrastructure does not mean the mere revival or re-production of the Cold War mentality, but rather intensifying the hegemonic discourse through a particularly reminiscent set of apparatuses (e.g., pseudo-civic organizations, policy) deployed in the present. From this perspective, I propose that understanding South Korean right-wing groups as a patriotic Korean collective protecting Park Geun-hye from the threat of jongbuk helps us critically engage with the discursive conditions that operate the Cold War mentality of post-Cold War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