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개인 및 부모환경요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학교소속감의 매개효과

        설경옥,정승원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0 No.1

        본 연구는 서울시내 한 초등학교 5학년 아동 250명을 대상으로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변인을 가족 및 환경요인, 개인요인 그리고 아동의 학교 구성원으로서 다른 구성원에 대한 유대감 및 자신의 가치에 대한 지각인 학교소속감 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에 대한 정보제공, 자녀의 학습방법 존중과 같은 부모의 자녀에 대한 학습관여를 가족요인으로 그리고 성격 5요인 중 성실성과 내적동기를 아동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개인요인으로 측정하였다. 환경요인으로는 사교육 시간을 측정하여 사교육시간을 통제하고 부모요인이 개인요인 그리고 아동의 학교소속감의 경로를 통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부모 및 개인요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아동의 학교소속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의 자녀에 대한 지지적인 학습관여는 아동의 성실성과 내적동기 증가로 이어진 것은 물론 아동의 학교에 대한 소속감과도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아동의 학교소속감은 학업성적 향상으로 연결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부모의 학습관여는 자녀의 학업성취에 직접적 상관은 없었고 아동의 학교소속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의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School belonging has been studied as a strong and consistent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research on school belonging with Korean students is scarce. Moreover, there is no study on the link between school belonging and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elementary students.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role of school belonging in academic achievement among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wo hundred fifty 5th grade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measured school belonging as well as individual and family factors that could affect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Specifically, conscientiousness and intrinsic motivation were measured as an individual factor, parental involvement in children’s learning was measured as a family factor. We also measured time that students were involved with private learning institutions as a control factor. The results supported our hypotheses. School belong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School belonging also mediated the link between parental involvement, students’ individual factor of conscientiousness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중학생의 성별, 수줍음, 자기조절의 상호작용이 또래 괴롭힘 피해에 미치는 영향

        설경옥,경예나,지영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8 No.4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발생하는 또래 괴롭힘의 피해 청소년들의 개인내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성별을 포함하여 이들의 성격적 특질인 수줍음 그리고 자기조절의 상호작용이 또래 괴롭힘 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했다. 또래 괴롭힘 피해는 선행연구에 따라 외현적 괴롭힘과 관계적 괴롭힘으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진입하며 또래 괴롭힘이 급증하는 시기인 중학교 1학년 305명을 대상으로 수줍음 수준, 자기조절 수준, 외현적 및 관계적 괴롭힘 피해 경험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성별, 수줍음, 자기조절의 삼원상호작용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현적 괴롭힘 피해에서는 성별과 수줍음 수준, 그리고 자기조절 수준 간의 삼원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남자 청소년은 수줍음 수준이 높고, 자기조절 수준이 낮은 경우 외현적 괴롭힘 피해가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여자 청소년은 이와 반대로 수줍음 수준이 낮고 자기조절 수준이 낮은 경우 외현적 괴롭힘 피해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관계적 괴롭힘 피해에서는 성별과 수줍음 수준, 그리고 자기조절 수준 간의 삼원상호작용이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의 의의와 함의를 논의에 포함했다. The current study aimed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victims of bullying. We examined how relationships between shyness, self-regulation, and gender were associated with peer victimization among 305 adolescents. Peer victimization was divided into two facets: overt and relational victimization. Results revealed that a three-way interaction between shyness, self-regulation, and gender was significant on overt victimization. For boys, high levels of shyness and low levels of self-regul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high levels of victimization. For girls, low levels of shyness and self-regul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high levels of victimization. Results showed the main effects of shyness, self-regulation and gender on relational victimization. No three-way interaction between shyness, self-regulation, and gender on relational peer victimization was observed.

      • KCI등재

        시설보호아동과 입양아동의 타액 속 코티솔 일일주기 리듬과 내재화 문제 관계 비교 연구

        설경옥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5 No.3

        본 연구는 만 4-11세 시설보호아동과 입양아동의 뇌신경계 그리고 사회 정서적 발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코티솔 일일주기 리듬과 내재화 문제를 비교하였다. 입양아동은 입양시기에 따라 생후 12개월 이전에 입양된 조기 입양아동(16명)과 그 이후에 입양된 연장 입양아동(9명)으로 나누었고, 시설보호아동 역시 모두 생후 12개월 이전에 입소한 아동(26명)으로 제한하였다. 그리하여 현재 심리사회적 박탈이 지속될수록, 생애 초기 박탈환경의 노출 기간이 길수록 코티솔 일일주기 조절이상과 내재화 문제 정도가 더 클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시설보호아동은 입양아동과 비교하여 더 높은 수준의 코티솔 일일주기 조절이상을 보였다. 내재화 문제의 경우 연구가설과는 달리 입양아동의 문제수준이 시설보호아동보다 더 높았다. 그러나 내재화 문제에 따른 코티솔 일일주기 조절 리듬을 알아본 결과 시설보호 아동은 내재화 문제 수준이 높을수록 코티솔 일일주기 조절이상 수준이 높았지만, 입양아동의 경우 조기, 연장 입양아동 모두 내재화 문제와 코티솔 일일주기 조절이상 간에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대한 가능한 설명과 후속 연구 방향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psychosocial deprivation and subsequent social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out permanent parental care in relation to internalizing problems and diurnal cortisol regulation rhythm. The author hypothesized that psychosocial deprivation would impair regulation of the HPA axis and internalizing problems would moderate this relationship. To examine this hypothesis 4-to 11-year-old children placed in institutional care(n = 26), adopted early(n = 16), and adopted late(n = 9) were recruited. Children in institutional care exhibited more attenuated diurnal decrease in cortisol, indicative of HPA axis neuro-endocrine dysregulation than did early and late adopted children. Both early and late adopted children showed higher levels of internalizing problems. However, internalizing problems of adopted children was not correlated with diurnal cortisol rhythm. Internalizing problems were related to lower diurnal cortisol secretion in children in institutional.

      • KCI등재

        초기 성인기 여성의 물질주의와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연예인 숭배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규범 내재화의 매개효과

        설경옥,황다솔,홍성혜,주리나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3 No.4

        The present study aimed to understand young adult women’s disordered eating symptoms with materialism and pathological celebrity worship. Specifically, we hypothesized that pathological celebrity worship and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m and disordered eating symptoms among young adult women. A total of 601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hypothesized, we found that materialism predicted pathological celebrity worship and increased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which in turn, led to a higher level of disordered eating symptoms. Our findings suggest that young adult women’s disordered eating behaviors should be understood as a sociocultural phenomenon rather than as an individual woman’s personal issue. 본 연구는 섭식장애 유병률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초기 성인기 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이상섭식 행동과 물질주의 그리고 기존 미디어 소비에 비해 적극적이지만 병리적인 미디어 소비 형태인 연예인 숭배와의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기 성인기 여성의 물질주의 추구와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연예인 숭배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규범의 내재화가 순차적으로 매개할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소재 대학에서 모집한 초기 성인기 여성 60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본 연구의 가설은 지지되었다. 초기 성인기 여성의 물질주의 추구 성향이 높을수록 연예인을 병리적으로 추구하는 경향성이 커지고, 병리적 연예인 숭배 경향성이 클수록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규범을 더 내재화하여 결국 사회문화적으로 인정받는 규범으로서의 외모에 도달하기 위해 자신의 신체를 통제하려는 시도인 이상섭식행동을 더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여성의 이상섭식행동을 사회문화적 변인인 물질주의와 연예인 숭배를 통해 설명하여 이상섭식행동을 여성 개인 내적 문제로 접근하기보다 하나의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접근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어머니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이 양육행동과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설경옥,경예나,박지은 한국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4 No.1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implications of Korean mother’s tendency to base their feelings of worth contingent on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i.e., child-based self-worth),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hypothesis is that Korean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is more of a cultural phenomenon and child-based self-worth itself would not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psychological functioning. Yet, when Korean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was associated with maladaptive parenting behavior (i.e., psychologically controlling parenting) it was detrimental to their children. In other words, the hypothesis is that psychologically controlling parenting would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based self-worth of mothers’ and psychological functioning of children’s. The hypothesis was tested among 315 children from 4~6 grade (M=11.02, SD=.83), and their mothers. Mothers reported child-based self-worth. Mothers and children reported mothers’ psychologically controlling parenting. Children reported on their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their school teachers reported on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The hypothesis was confirm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predicted,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itself was not related to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However,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ly controlling parenting, and psychologically controlling parenting in turn, predicte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본 연구는 자녀의 성취를 중시하고 이로부터 자신의 가치를 확인받는 한국 어머니들의 특성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어머니가 자기가치감을 자녀에게 수반시키는 경향(자녀-수반 자기가치감), 양육행동 그리고 자녀의 심리적 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의존적인 집단주의 문화권에 속하는 우리나라에서, 어머니가 자녀의 성취로부터 자존감을 느끼는 자녀-수반 자기가치감 자체가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부정적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은 이와 관련이 높은 부정적 양육방식인 심리적 통제를 매개로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했다. 즉,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 자녀-수반 자기가치감 → 어머니 심리적 통제 → 자녀의 심리적 적응의 완전매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고, 초등학교 4-6학년 315명과 어머니 315명을 대상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녀-수반 자기가치감은 어머니보고를, 심리적 통제 양육방식은 어머니보고와 자녀보고를 사용하였고, 내재화 문제는 자녀보고, 그리고 외현화 문제는 자녀의 담임교사보고를 통해 측정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연구모형 검증 결과, 예상대로 자녀-수반 자기가치감 자체가 자녀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심리적 통제를 매개로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주었다. 즉, 어머니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의 정도가 높을수록 어머니는 자녀에 대한 심리적 통제 양육방식을 더 빈번히 사용하였고, 어머니가 심리적 통제 양육방식을 더 사용할수록 자녀는 더 높은 수준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종교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메타분석: 국내 학회지 게재논문(1995-2011)을 중심으로

        설경옥,박지은,박선영 한국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1 No.3

        The associ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mental health outcomes was examined with meta-analytic methods across 66 independent studies (N = 25,353) extracted from electronic databases between 1995 and 2011. The mental health outcome measures were categorized as negative mental health of anxiety and depression and positive mental of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were examined with respect to the influence of religiosity. The correl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depressive symptoms was -.176, indicating that greater religiosity is mildly associated with fewer symptoms. The correl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well-being is .263, indicating that greater religiosity is moderate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associ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anxiety was insignificant (r = -.024). The results were not moderated by gender or age, but by the type of measure of religiosity used in the study. Specifically, in the associ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negative mental health (i. e., anxiety and depression) religious behaviors,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spiritual well-being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anxious and depressive symptoms while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nxious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associ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ligiosity regardless of the type of measure of religiosity. 본 논문은 1995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종교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에 대한 총 66개의 연구논문을 메타 분석하였다(N = 25,353). 정신건강은 불안과 우울의 부정적 정신건강과,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긍정적 정신건강으로 분류하여 종교성과의 관계에 대한 독립된 메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종교성과 불안의 평균 효과크기(r)는 -.024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종교성과 우울의 평균 효과크기는 -.176으로 작지만 통계적으로 신뢰할 만한 수준을 보였고, 이는 종교성이 높을수록 낮은 우울 증상을 보임을 의미한다. 종교성과 안녕감의 평균 효과크기는 중간크기인 .263으로 종교성이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이 높아지는 관계를 보였다. 종교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는 종교성의 측정영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종교성과 부정적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종교행동과 내재적 종교정향성, 영적 안녕감은 불안, 우울 증상과 부적인 관계가 있었으나 외재적 종교정향성은 불안, 우울 증상과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종교성과 주관적,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는 종교성 측정유형에 상관없이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 KCI등재

        남녀 개인의 정서 조절과 이성 관계 만족에서 공동 대처 방략의 매개: 자기 효과와 상대방 효과

        설경옥,백상은,원수경,황여주 한국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8 No.2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a mediational role of dyadic coping between individual emotion regula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dating couples. Two hundred ninety-eight heterosexual couples (M age=23.55)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uples rated emotion regulation, three forms of dyadic coping (i.e., Active Engagement, Hostility, and Avoidance),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re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s were tes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onal effects of three forms of dyadic coping between emotion regulation and satisfaction. In the Active Engagement model the link between male and female partner’s emotion regulation and satisfac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Active Engagement. Similar results were found in the Hostility and Avoidance models; however, in the Hostility model we found the partner effect. That is, male partner’s emotion regulation predicted female partner’s Hostility dyadic coping and female partner’s Hostility dyadic coping in turn, predicted male partner’s satisfaction. 본 연구는 이성 관계에서 개인의 정서조절과 관계만족의 관계에서 갈등상황 시 남녀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나타내는 공동대처(dyadic coping)방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이성교제 중인 미혼 남녀 298쌍(총 596명)을 대상으로 개인의 정서조절 능력, 적극적 문제해결시도의 긍정적 공동대처 방략, 부정적 감정 및 행동표출과 회피의 부정적 공동대처 방략, 그리고 관계만족에 관한 설문을 실시했고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을 이용해 가설을 검증했다. 그 결과 첫째 남녀 모두 자신의 적극적 문제해결시도는 자신의 정서조절 능력과 관계만족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상대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남녀 모두 자신의 부정적 감정 및 행동표출은 자신의 정서조절과 관계만족을 부분 매개하는 동시에 3 모형 중 유일하게 상대방 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여성의 부정적 감정 및 행동표출은 남성의 정서조절과 남성의 관계만족을, 남성의 정서조절과 여성의 관계만족을 부분 매개했으며 여성의 정서조절과 남성의 관계만족을 부분 매개했다. 마지막으로, 남녀 모두 자신의 회피는 자신의 정서조절 능력과 관계만족을 부분 매개하였으나 상대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의 의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했다.

      • KCI등재

        직장인 행복추구 물질주의와 직무태도 관계에서 소명과 내적 보상의 매개효과

        설경옥,김지영,김소희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지역과 세계 Vol.43 No.2

        Research on employees’ materialism in relation to their well-being at work is scarce even though materialistic rewards are most salient in the work plac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m, specifically beliefs on acquisition as the pursuit of happiness and work attitudes. We also examined how calling and internal reward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m and work attitudes. We recruited 217 employees from Seoul, Kyoenggi and Daegu. We found that materialism did not directly predict employees’ work attitudes which was measured b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 over intention. Calling and internal reward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m and work attitudes. This study found that employees who believe money is essential for him or her to be happy were more likely to report low on calling and dissatisfied with internal rewards, which in turn led to negative work attitude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employees’ values such as materialism when we understand their well-being inside and outside of work. 물질주의는 경제적 보상이 직접적으로 일어나는 직장에서 직장인의 적응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돈과 물질의 소유가 행복을 가져다줄 것이라 믿는 행복추구 물질주의와 직무태도 그리고 이를 설명하는 변인으로 소명과 내적 보상만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구 지역 직장인 217명을 대상으로 행복추구 물질주의, 소명, 내적 보상만족 그리고 직무태도를 구성하는 3요인으로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이직의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행복추구 물질주의는 직장인의 직무태도를 직접 예측하지는 않았고 낮은 소명과 낮은 내적 보상만족을 통해 직무태도를 부정적으로 예측했다. 또한 행복추구 물질주의는 소명을 매개로 직무태도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돈이 있어야만 행복해 질 수 있다고 믿는 직장인의 경우 일의 의미 찾기가 핵심개념인 소명의식이 낮고 일에서 오는 내재적인 즐거움이 낮아져 직장인의 직무태도는 부정적으로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결과는 일과 삶의 균형이 화두로 떠오른 우리 사회에서 직장인들이 추구하는 가치도 이들의 개인 삶 뿐 아니라 직장에서의 안녕감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임이 밝힌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동반자의 직무환경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집단자존감과 소명의식의 매개효과 연구

        설경옥,임정임 한국상담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5 No.2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onal effects of collective self-esteem and calling the association between work stress and burnout among youth companions (N = 264). Work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youth companions’ burnout. Collective identity partia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work stress and burnout among youth companions. Calling was not directly related to work stress or burnout of youth companions. Thus, we failed to find the mediational effects of calling on the relation between work stress and burnout of youth companions. However, calling was indirectly related to burnout of youth companions by influencing their collective self-esteem. In other words, youth companions who had a high level of calling were more likely to have a high level of collective self-esteem. A higher level of collective self-esteem, in turn, was related to lower level of work stress and burnout.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청소년동반자는 고위험군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들이 처한 환경으로 직접 찾아가 심리상담은 물론 지역사회 자원 연결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청소년동반자는 일반 상담자보다 위험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이러한 직무환경 스트레스는 청소년동반자의 심리적 소진으로 발전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전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청소년동반자 264명을 대상으로 청소년동반자의 지각된 직무환경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집단정체감의 한 형태인 집단자존감과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예상대로 청소년동반자의 지각된 직무환경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 또한 높게 나타났다. 이때 집단자존감은 청소년동반자의 직무환경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명의식의 경우 청소년동반자의 직무환경 스트레스나 심리적 소진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소명의식은 청소년동반자의 집단자존감을 매개로 심리적 소진과 관련이 있었다. 즉, 소명의식이 높은 청소년동반자일수록 청소년동반자 집단에 대한 자존감이 높았으며 청소년동반자 집단에 대한 자존감이 높을수록 직무환경에서 스트레스를 덜 느끼게 되고 그에 따른 심리적 소진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다문화 아동의 차별경험과 자존감의 관계에서 민족정체성과 내재화된 낙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설경옥,황다솔,심진화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1 No.1

        This study examined a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tigma and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thnic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self-esteem among multicultural children in Korea. A total sample of 131 4-6th grade children (59 boys and 69 girls) completed a survey. We found that multicultural children’s perceived discrimination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self-esteem. Internalized stigma mediated this association. This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self-esteem through internalized stigma was moderated by ethnic identity. Specifically, the children who scored low on ethnic identity were more likely to internalize stigma against their race and ethnicity when they experienced more frequent discrimination. That, in turn, led to lower levels of self-esteem. We included the importance of exploring multicultural children’s internalized stigma and ethnic identity in school and psychotherapy when they experienced unfair treatment and discrimination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본 연구는 국내 다문화 아동이 지각한 차별경험과 자존감의 관계와 이를 설명하는 심리적 기제를 밝히기 위해 실시되었다. 서울, 경기도 및 대구 소재 16개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6학년 131명(남 59명, 여 69명)의 다문화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SPSS Macro를 사용하여 차별경험과 자존감의 관계에서 내재화된 낙인과 민족정체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 아동이 보고한 차별경험은 자존감을 유의하게 부적으로 예측하였고, 이는 다문화 아동이 학교, 지역사회, 친구들로부터 차별을 더 많이 경험할수록 아동의 자존감은 낮게 나타난 것을 의미한다. 이때 사회적 편견과 고정관념을 자신에 대한 부정적 도식으로 내재화하는 내재화된 낙인이 차별경험과 자존감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신이 속한 민족에 대해 갖는 긍정적 태도인 민족정체성은 차별경험과 내재화된 낙인의 정적 관계를 조절하였다. 즉, 다문화 아동이 차별경험을 빈번하게 지각하더라도 민족정체성이 높다면 내재화된 낙인을 덜하게 되고 따라서 자존감에 갖는 부적 영향력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아정체성 형성이 시작되는 후기 아동기 다문화 아동을 대상으로 사회적 차별이 이들의 자존감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확인함과 동시에 다문화 아동이 자신들을 향한 사회의 부정적 평가를 스스로 내재화 하는 것이 자존감 하락에 중요한 설명요인이며 자신이 속한 민족에 긍정적 태도를 갖는 민족정체성은 보호요인이 될 수 있음을 밝힌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