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체계 요인이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 가구소득수준별 집단차이를 중심으로

        선미정 ( Seon Mijeong ),전종설 ( Chun Jongserl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8 학교사회복지 Vol.0 No.41

        본 연구의 목적은 가구소득수준에 따른 청소년의 생태체계요인이 공동체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에게 보다 체계적이고 다양한 서비스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궁극적으로 청소년 공동체의식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 조사(KCYPS)’의 초등학교 1학년 7차 패널(2016년) 중 가구 연간 소득을 작성한 중학교 1학년생(14세~16세) 총 1,918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과 차우검정(Chow-Test)을 실시하였다. 가구소득수준별 생태체계요인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다문화수용성, 자아탄력성, 친구관계는 모든 집단에 공통적으로 강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소득 중ㆍ상위집단에서는 교사관계, 소득중위집단은 지역사회인식, 상위집단에서는 부모-친구관계가 공동체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차우검정을 실시한 결과, 소득수준 집단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하여 다문화수용능력, 자아탄력성, 친구관계 증진을 위한 다양한 사회복지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며, 특히 소득수준에 따른 집단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서비스가 개발 및 제공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cological factors on community spirit among adolescents with a focus on group differences by family income level. Additionally, this study will organize more systematic and diverse services for adolescents and improve their community spirit. The study made use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dataset and included 1st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with reported annual family incomes. A total of 1,918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egression analysis and chow test. The findings revealed that in all the groups, multicultural acceptance, ego-resilience, and friendship had a strong effect on each individual’s community spirit. In middle- and high-income groups, relationship with teache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However, community perception was significant in the middle-income group, while the parent-friend relationship was significant in the high-income group. The chow test results confirm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family income level. In order to cultivate adolescents’ community spirit, multicultural acceptance, ego-resilience, and friendship, various services should be provided. Specialized social welfare services based on income levels need to be developed and provided for adolescents.

      • 초기 아동을 위한 사회적경제교육 프로그램 제안연구

        선미정(Mi-Jeong Seon),정승애(Seungae Jung) 한국복지경영학회 2022 복지경영학연구 Vol.11 No.-

        사회적경제교육의 효과는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가 내면화 및 태도화되어 직접적 실행되어야 효과성이 있으므로 초기 아동기(초등학교 1-2학년)부터 사회적경제교육이 누적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사회적경제교육은 성인 중심, 단기성, 선택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초기 아동 대상 커리큘럼은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본연구는 초기 아동발달 특성을 고려한 사회적경제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기 위하여 필수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이들을 위한 사회적 경제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사회적경제교육 학계 및 현장 전문가 8인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방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을 통해 사회적경제 교육의 필요성, 운영구성, 내용구성, 평가, 기타 5개 영역 11개 범주를 도출하였고, 본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 아동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사회적경제교육 커리큘럼 제안한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활용가능한 콘텐츠 개발과 교육 실행을 통한 사전 사후 평가가 실행되기를 기대한다. 더불어 지속적인 사회적경제교육 프로그램 발전을 위하여 학년별 모듈화와 인력 전문화, 교과과정 내 편재를 통해 초기 아동기부터 사회적경제교육 경험이 반복되기를 희망한다. Since the effect of social economy education is effective only when social and economic values are internalized and directly implemented, the education needs to be accumulated from early childhood (1st and 2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However, social economy education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adult-centered, short-term, and selectively, so the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is very limited. Therefore, the research aims to identify essential components to propose social economy education program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suggest social economy education programs for them. As a result of a focus group interview(FGI) with eight experts, not only academic but also field professionals, and implement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11 components―a necessity, operation composition, content composition, evaluation, and five other areas―were derived, and programs proposed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a social economic education curriculum for early children. And it is expected that content development and program pre-post evaluation based on this will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In addition,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education programs, it is hoped that social economy education experiences will be repeated from early childhood through modularization by grade,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by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취약계층 초기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가 오프라인 폭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또래동조성의 매개효과

        선미정 ( Seon Mi Jeong ),전종설 ( Chun Jongserl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1 청소년복지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취약계층 초기 청소년의 부모 양육 태도가 오프라인 폭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또래 동조성의 매개 효과 및 성별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경기 북부 권역 지역아동센터들에서 유의표집에 통해 취약계층 초기 청소년을 표본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34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긍정적 부모 양육 태도가 자기통제력을 매개하여 오프라인 폭력을 감소시키는 경로가 유의하였고, 또래동조성은 부정적 부모 양육 태도와 증가하는 오프라인 폭력에 대한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결과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취약계층 초기 청소년의 오프라인 폭력에 대한 실천 기술과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how the parental attitude influences the offline violence,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self-control and peer conformity, and to confirm the gender difference among these relationships. The hand-out survey was distributed directly to vulnerable early adolescents in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s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34 adolescen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Main results showed that positive parental attitude lowered offline violence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self-control. Also, peer conformity had an indirect effect on negative parental attitude and the increase of offline violence. In terms of the multi-group analysis depending on the gen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e strategies and intervention plans concerning offline violence of vulnerable early adolescent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사회복지분야 혼합연구 동향 분석

        선미정(Seon, Mi Jeong),정원미(Jung, Won-Mi),장정은(Jang, Jungeun),전종설(Chun, JongSerl) 한국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사회복지학 Vol.70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분야 혼합연구의 동향파악을 위하여 2000년부터 2017년 6월까지 사회복지관련 국내학술지에 등재된 혼합연구 48편을 분석하였다. 분석틀은 출판연도, 연구유형, 연구대상, 혼합목적, 혼합적 가치, 철학적 패러다임, 혼합방법 문헌검토, 설계방식 및 수행절차, 설계전략, 결론에서의 혼합유형을 제시하였고,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영역을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00년부터 지속적으로 혼합연구는 증가 추세를 보이며, 특히 성인, 전문가 및 실무자 중심의 복합대상 연구가 34편(71%)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유형에서는 35편(73%)이 실태와 인식 및 경험 등의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하지만 혼합연구의 목적과 설계방식을 제시한 연구는 절반 이하 수준 이었고, 철학적 패러다임이나 이론적 근거에 기반을 둔 혼합 가치를 제시한 연구는 극히 일부였다. 혼합연구 설계 방식은 양적연구에서 질적연구를 순서적으로 진행한 순차적 설명설계를 주로 활용하였고, 결론의 혼합유형으로는 상호보완적 혼합이 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혼합연구가 두 연구방법의 단순 병렬이 아닌 통합적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인식론적 접근이 고려된 혼합연구의 구체적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s in mixed research in social welfare by analyzing 48 article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the year 2000 to 2017. The analysis framework included published year, research type, research subjects, purpose of the mixed research, value of mixed research, philosophical paradigms, literature reviews of mixed methods, presentation of the design method and procedure, design strategy, and mixed types in the conclusion sectio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area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has been a consistent increase in mixed research in various research subjects, especially in studies targeting adults, professional and practitioners (34 cases, 71%). Regarding the research type, 35 studies (73%) dealt with general practices such as the status quo, perception, and experiences. Studies that presented the purposes and design methods of mixed research formed less than half the total number of cases, and only a few studies presented the value of mixed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a philosophical paradigm or on a theoretical basis. Mixed research mainly uses the sequential explanatory design method, which involves conducting quantitative research first and then the qualitative research. For the conclusions section, most works preferred to use the complementary type of conclusion. This study adopts an epistemic approach to obtain an integrated result rathe than create a simple parallel layout of two separate research methods. This provides a scientific basis for a more systematic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studies.

      • KCI등재

        가족돌봄청(소)년의 욕구와 지원전략 -경기도 청(소)년을 사례로-

        유정원 ( Yoo Jeongwon ),선미정 ( Seon Mijeong ) 한국청소년학회 2024 청소년학연구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ir current status and needs for support and propose feasible measures as basic evidence for local governments to establish policies and support strategies for family care offices. In the study, 1: 1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youth and young people under the age of 34 who are virtually responsible for the family's livelihood due to their loss of labor due to disabilities, diseases, mental disorders, or drug and alcohol abuse,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young carer is the primary caregiver, first, they plays a role of nursing, daily life, and economic care, second, it has a high desire fo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economic support, and third, there is a limit to the experience of using related services. Accordingly, it requested a support strategy to systematize individual customized services and supplement psychology, economic support, and preparation for each life. Based on these results, support strategies that local governments can do were proposed,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감정노동 전략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포용-배제인식 및 사회적지지의 매개를 중심으로

        안소영(An, Soyoung),선미정(Seon, Mijeong)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23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5 No.2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감정노동전략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포용-배제인식과 사회적지지의 매개를 중심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특히, 감정규제이론에 의해 감정노동전략을 심층행위와 표면행위로 구분하여 역할성과 및 역할외 성과의 조직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정보공유과정 및 의사결정과정에서 포용인식과 동료 및 상사의 사회적지지를 매개변수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수도권의 장애인활동지원사 25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설문지로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심층행위와 표면행위의 감정노동전략은 조직성과에 유의미한 직접 영향은 없었다. 그러나,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정보공유과정에서 포용인식과 동료 및 상사의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조직성과가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조직성과에 직접 영향이 없던 감정노동전략의 심층행위 및 표면행위는 포용-배제인식과 사회적지지를 매개로 조직성과에 영향이 나타났다. 감정노동의 심층행위가 높을수록 정보공유과정에서 포용인식과 동료 및 상사의 사회적지지가 올라갔고, 이를 매개로 역할성과와 역할외성과 모두 높아졌다. 반면, 표면행위가 높을수록 정보공유과정에서 배제를 경험하고, 동료 및 상사의 사회적지지를 잃어 조직성과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감정노동이 무조건 조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님을 규명하였고, 감정노동전략 중 표면행위보다 조직 내 포용 및 사회적지지의 조직지원체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심층행위를 독려할 수 있도록 조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inclusion-exclus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strategi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mong PAS assistants working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particular, the emotional labor strategies were categorized into deep acting and surface acting based on the model of emotion regulation. This study analyz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250 PAS assistants in the Seoul, Gyeonggi, and Incheon metropolitan areas. Results showed that the emotional labor strategy of deep acting and surface act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However, a higher perception of inclusion in the information-sharing process and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and supervisor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addition, the deep acting and surface acting of the emotional labor strategies which did not directly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had an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the perceived inclusion-exclusion and social support. In other words, deep actin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erceived inclusion in the information-sharing process and the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and supervisors which in turn significantly increased both in-role and extra-role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a higher level of surface behavior was associated with lower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directly through decreased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and supervisors and exclusion in the information-sharing proc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motional labor may not necessarily have a nega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Organizational efforts should focus on promoting more deep acting that positively affects the organizational support system, rather than surface acting.

      • KCI등재

        소셜 로봇 및 사물인터넷 사용 경험: 장애 청소년과 가족을 중심으로

        주영하 ( Ju Young-ha ),정원미 ( Jung Won-mi ),안소영 ( An So-young ),선미정 ( Seon Mi-jeong )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 청소년과 가족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의 대표적 기술인 소셜 로봇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실제 활용한 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소셜 로봇과 사물인터넷을 실제 활용한 경험이 있는 장애 청소년 8명과 가족 5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 청소년은 “새로운 세상”,“나에게 찾아온 변화”, “아쉬움과 기대”라는 총 3개의 주제, 6개의 하위범주, 11개의 의미 있는 개념들을 도출하였으며, 장애 청소년의 가족은 “장애 청소년에게 찾아온 변화”, “장애인 가족 삶의 질 향상”, “편리하지만 아쉬운 IT 세상”, “앞으로 더 기대됨”이라는 4개의 주제, 9개의 하위범주, 17개의 의미 있는 개념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새로운 변화와 성장의 문턱을 넘는 경험이지만 아직은 장애 특성을 반영하기에는 부족한 기술”이라는 종합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 청소년과 가족의 IT 접근성 강화를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social robots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ies representativ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ight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five family members who had experience using social robots and IoT. Resultingly, we derived three themes, six subcategories, and 11 meaningful concepts by interviewing the children. The three themes were a new world”, “changes that happened to me” and “regret and expectation. By interviewing the family member, four themes, nine subcategories, and 17 meaningful concepts were derived. The four themes were “changes that happened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of the families”, “convenient but not satisfying IT world” and “Looking forward to more.” Based on these interviews, we derived a comprehensive theme that “using the technologies is the experience of crossing the threshold of new change and growth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but the technologies do not ful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is study suggests strengthening the acces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to Information Technology.

      • KCI등재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증진을 위한 통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조상미(Cho, Sang-Mi),전종설(Chun, Jong-Serl),남성희(Nam, Sung-Hee),간기현(Kan, Ki-Hyun),선미정(Seon, Mi-Jeong) 한국가족학회 2012 가족과 문화 Vol.24 No.4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Kendall이 제시한 다섯 가지 다문화교육 목표를 기반으로 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예비연구(pilot study)이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문화 가정의 아동 6명과 일반가정의 아동 6명이 매주 1시간, 6주 동안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다문화 인식, 개방성, 공감능력 점수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 인식 점수와 다문화 개방성 점수는 프로그램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반면에 다문화 공감에 관련하여서는 평균점수는 향상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로 급속도로 전환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선구적으로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이 함께 참여하는 통합프로그램(integrated program)을 개발하고 적용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ntegrated group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from both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This program was designed to promote children’s multicultural acceptance based on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ory and Kendall’s five primary goal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ix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6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once a week for six week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levels of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openness, and multicultural empathy were examined. Outcomes show that scores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openne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refor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program which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and should be applied in diverse settings where provide services for bo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