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중학교 학생들의 사회위선성 및 그 척도 개발과 학업 성취에 관한 연구

        최진승,석철민 東亞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1996 學生硏究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research on the differences of social desirability to grades and sex, and correlations between social desirability and school achievement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The subjects were 840 boys and 784 girls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he tools of this research were social desirability scale and school achievements of Korean and mathematics for them.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research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The social desirability of grade 5 in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is the highest and the social desirability of grade 3 in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is the lowest. The social desirability tendency of boys and girls is decreasing according to the grades are increasing. Therefor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results of testing about psychological tests should be reconsidered more than those of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2. The social desirability of girls is higher than social desirability of boys. The girl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have a tendency of good looking to other people. Therefore, there are a lot of problems for girls' social desirability to psychological testing than those for boys' social desirability to psychological testing. 3. There aren't differences of academic achievemets between upper group of social desirability and lower groups of social desirability. There aren't correlations between social desirability tendency and school achievement. Therefore, social desirability of boys and girls is independent personality trait from academic achievement. 4. The social desirabilty scale developed by researches has reliability and validity according to statistical analysis. The social desirability scale is useable scale in psychological tests. Therefore, we have to consider about social desirability from responses of items m psychological tests.

      • 선호 아티스트에 따른 음향기기 추천 방법

        김정현,석철민,김민주,이상훈,김수연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21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와 Hi-Fi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다양한 음향 기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의 제품 선택에 대한 폭은 넓어졌지만 다양한 제조사들이 출시하는 상품으로 인해 자신의 음악적 취향과 청취스타일에 맞는 제품을 찾기가 과거에 비해 더욱 어려워졌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아티스트를 파악하여 최적의 음향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아티스트들의 음악 스타일 정보와 음향기기들의 주파수 대역 측정치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수집된 아티스트 목록 중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아티스트를 파악한다. 파악된 사용자 선호 아티스트를 각 음향기기와 매칭하여 추천의 근거가 되는 지표를 제시하고 결과값을 산정함으로써 최적의 음향기기를 추천한다.

      • KCI등재

        음원 내 보컬 주파수 대역 분석에 기반한 음향기기 추천시스템

        김정현,석철민,김민주,김수연 한국산업정보학회 2022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7 No.6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와 Hi-Fi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다양한 음향기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의 제품 선택에 대한 폭은 넓어졌지만 자신의 음악적 취향과 일치하는 제품을 찾기는 더욱 어려워졌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원으로부터 보컬 성분을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음향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원본 음원을 Python의 Spleeter Library를 통해 분리하여 보컬 음원을 추출하고 제조사의 음향기기의 주파수 대역 데이터를 수집한 결과를 각각 격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추출한 보컬 음원의 주파수 대역과 음향기기의 주파수 대역 측정치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한 지표로서 Matching Gap Index(MGI)를 제안하였다. 산출된 MGI 값을 토대로 사용자 선호와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음향기기를 추천한다. 추천 결과는 음향 전문업체에서 제공하는 장르별 Equalizer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 초·중학교 학생들의 사회위선성 및 그 척도 개발과 학업 성취에 관한 연구

        최진승,석철민 東亞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1996 學生硏究 Vol.24 No.-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누구나 다른 사람의 존재를 의식한다. 특히 발달 단계에 있는 초등학생들이나 중학생 들은 부모님에게 잘 보이고 싶고 또한 동성의 친구,이성의 친구, 선생님, 이웃 어른 등 다른 사람들에게 좋게 보이고 싶은 정도가 다른 연령층에 비하여 더 높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향성은 개인의 행동을 통제하고,잘보이기 위해서 하기 싫은 일도 하게 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동기적 기능은 할 수 있으나 각종 심리검사 도구에는 거짓 또는 위선적 반응을 하게하여 오차의 근원이 되기도한다. 심리학자들은 이런 행동의 경향성을 사회위선성 (social desirabílíty) 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사회위선성 이 성장해가고 교육을 받고 있는 아동들에게 나쁜 영향을 미치는 특성인지 혹은 성장 발달 과정에서 누구나 경험하게 되는 특성으로 지적 능력이나 사고가 발달하면 감소하는 것인지, 그리고 우리 나라의 문화권에서 사회위선성은 어떠 한지에 관한 연구들이 적은 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research on the differences of social desirability to grades and sex, and correlations between social desirability and school achievement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The subjects were 840 boys and 784 girls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he tools of this research were social desirability scale and school achievements of Korean and mathematics for them.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research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The social desirability of grade 5 in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is the highest and the social desirability of grade 3 in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is the lowest. The social desirability tendency of boys and girls is decreasing according to the grades are increasing. Therefor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results of testing about psychological tests should be reconsidered more than those of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2. The social desirability of girls is higher than social desirability of boys. The girl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have a tendency of good looking to other people. Therefore, there are a lot of problems for girls ’ social desirability to psychological testing than those for boys' social desirability to psychological testing. 3. There aren't differences of academic achievemets between upper group of social desirability and lower groups of social desirability. There aren't correlations between social desirability tendency and school achievement. Therefore, social desirability of. boys and girls is independent personality trait from academic achievement. 4. The social desirabilty scale developed by researches has reliability and validity according to statistical analysis. The social desirability scale is useable scale in psychological tests. Therefore, we have to consider about social desirability from responses of items in psychological tests.

      • 자연물에 대한 학령전 아동의 생물과 무생물 변별능력과 이유 분석

        김지영,최진승,석철민 한국교육학회 부산지회 1999 釜山敎育學硏究 Vol.12 No.1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reschooler's ability to distinguish animates from nonanimates and their justification of life judgement for natural kinds with reference to age, sex, natural category such as animal, plant, atmospheric ones, planet.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6 Kindergartens of 3, 4 and 5 years olds. The task used in this study were 12 natural kinds. The justifications were taped, transcribed, and coded according to age, sex and the categories of natural kin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One-way ANOVA(age) T-test(sex), Repected Measure ANOVA and percentage and Chi-suare test The following results were revealed from this study. 1. The ability to discriminate the animate-inanimates is increased with age. And male children's performance of discrimination for natural kinds is higher than female at nonbiological category 2. The preschoolers' ability to discriminate the animate -nonanimate thing is higher in biological category than in non biological category. The result suggested that natural category were important variables to developmental level of life concept and that even 3-and 4 years-olds develop life concept on animal and plant. However, the life jugement on atmospheric ones' develop highly during the age of 4 years and on planet develop highly between the age of 4 and 5 years old. 3. The younger children's life judgements of animal and plant a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s and thematic bias of things. Wherease the older children`s justifications are based on biological properties(growth, breath, eating, reproduction). Therefore, the young children hold some biological beliefs, but are less well developed than those of older children. 4. The younger children justify the inanimates' functional properties but oder children judge inanimates' change and motion in life jugement for atmospheric ones' and plan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