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국제연합협약(CISG)상의 본질적 계약위반

        석광현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06 법학논총 Vol.23 No.2

        Fundamental Breach of Contract under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 KCI등재

        2016년 중재법에 따른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민사집행법에 따른 보전처분과의 정합성에 대한 문제 제기를 포함하여-

        석광현 국제거래법학회 2017 國際去來法硏究 Vol.26 No.1

        Whether a party may seek interim measures from an arbitral tribunal varies from one country to another. While the Arbitration Acts of Korea before 1999 were silent on interim measures, the Arbitration Act of 1999 expressly provided that an arbitral tribunal may render interim measures pursuant to the request of a party by introducing the UNCITRAL Model Law adopted in 1985 o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Model Law”). In order to improve the regime of interim measures of arbitral tribunals, the UNCITRAL had amended the Model Law in 2006 and introduced Chapter IV A entitled “Interim measures and Preliminary Orders” (“Amended Model Law”). The current Arbitration Act of Korea which took effect on November 30, 2016 (“Arbitration Act of 2016”) has accepted all the provisions from Article 17 to Article 17 J of the Amended Model Law except the provisions on preliminary orders. By accepting the Amended Model Law, the Arbitration Act of 2016 expanded the scope of interim measures, made concrete the types of interim measures, clarified various issues surrounding interim measures, and improved the enforceability of interim measures which had been regarded as a weak point of interim measures under the Arbitration Act of 1999. The reason Korea has introduced such amendment is to include arbitration friendly content in the Arbitration Act in order to make Korea more attractive to the parties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transactions. Such rationale should be fully taken into consideration in interpreting and applying the Arbitration Act of 2016. More concretely, the author deals with the issues in the following order: change of the Arbitration Act of Korea on interim measures (Chapter Ⅱ), the power of an arbitral tribunal to order interim measures and the scope and the types of interim measures (Chapter Ⅲ), conditions for granting interim measures (Chapter Ⅳ), whether ex parte interim measures are permissible (Chapter Ⅴ), modification, suspension or termination of interim measures (Chapter Ⅵ), provision of security (Chapter Ⅶ), costs and damages resulting from interim measures (Chapter Ⅷ), change of circumstances and the disclosure obligation of the applicant (Chapter Ⅸ),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interim measures (Chapter Ⅹ),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rt-ordered interim measures and the interim measures of arbitral tribunals (Chapter Ⅺ) and the closing remarks. 당사자들이 중재판정부에 보전처분에 상응하는 잠정적 구제를 신청할 수 있는가에 대한태도는 입법례에 따라 다르다. 1999년 이전 중재법은 임시적 처분에 관하여 침묵하였으나, 1999년 중재법은 UNCITRAL이 1985년 채택한 “국제상사중재에 관한 모델법”(“모델법”)을수용함으로써 중재판정부가 임시적 처분을 할 수 있음을 명시하였다. 중재판정부의 임시적처분제도를 개선하고자 UNCITRAL은 2006년 모델법을 개정하고 제4장의2(Chapter IV A) 로 ‘임시적 처분과 사전명령’이라는 장을 신설하였다(“개정 모델법”). 2016. 11. 30.부터 시행된 현행 중재법(“2016년 중재법”)은 임시적 처분에 관한 개정 모델법 제17조부터 제17조J까지 조문 중 사전명령에 관한 조문을 제외한 나머지 조문을 수용하였다. 2016년 중재법은 개정 모델법을 수용함으로써 임시적 처분의 대상을 확대하고 종류를구체화하였으며, 임시적 처분을 둘러싼 다양한 논점을 명확하게 하였고, 임시적 처분의 약점이던 집행의 문제를 개선하였다. 이러한 개정을 한 이유는, 국제거래에 참가하는 당사자들에게 한국을 중재지로서 더욱 매력적인 곳으로 만들자면 중재친화적인 내용을 중재법에담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2016년 중재법의 해석과 적용에서도 그런 취지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구체적 논의순서는 아래와 같다. 임시적 처분에 관한 우리 중재법 조문의 변천(Ⅱ.), 중재판정부의 권한과 임시적 처분의 범위와 유형(Ⅲ.), 임시적 처분의 요건(Ⅳ.), 일방적 임시적 처분(ex parte interim measures)의 허용 여부(Ⅴ.), 중재판정부의 임시적처분의 변경, 정지와 취소(Ⅵ.), 임시적 처분에 대한 담보(Ⅶ.), 임시적 처분으로 인한 비용과손해배상(Ⅷ.), 사정의 변경과 신청 당사자의 고지의무(Ⅸ.), 임시적 처분의 승인 및 집행(Ⅹ.), 법원의 보전처분과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의 관계(Ⅺ.)과 맺음말(Ⅻ.).

      • KCI등재

        FIDIC 표준계약조건과 국내 민간건설공사 표준도급계약 일반조건의 비교

        석광현 국제거래법학회 2016 國際去來法硏究 Vol.25 No.1

        This article compares the Conditions of Contract for Construction, i.e., the “Red Book” (“FIDIC Conditions”) prepared by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Consulting Engineers (“FIDIC”) and the General Conditions of the Standard Construction Contracts between Civil Parties (“Domestic Conditions”) prepared by the Ministry of Land and Sea (the predecessor of the curren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hich is widely used in Korea, in order to help the readers understand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both conditions and thereby draw lessons that are helpful for improving the Domestic Conditions in the future. I hope that this article will provide assistance to Korean lawyers in understanding the FIDIC Conditions, and to the personnel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of Korea familiar with the Domestic Conditions in having an easier access to the FIDIC Conditions. More concretely, in Chapter Ⅲ, the article deals with the following issues: the employer’s representative (1.), contractor: the issue of multiple contractors and contractor's representative (2.), subcontractors (3.), inspection and transfer of ownership of materials (4.), the scope and the limits of compensation for damages resulting from a breach of contract (5.), liquidated damages (6.), tests on completion and the employer’s acceptance (7.), remedy of defects (8.), variations and adjustments (9.), termination of contract by the employer (10.), termination of contract by the contractor, (11.), risks (12.), force majeure (13.), the claims: the contractor’s claims and the employer’s claims (14.), dispute settlement process (15.) and various guarantees relating to construction: independent guarantees (16.).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rms of the FIDIC Conditions shows that, even though the Domestic Conditions are normally supplemented by the Civil Act of Korea, the Domestic Conditions still fail to include detailed provisions in anticipation of diverse situations, which could arise during the course of carrying out construction contracts that often lasts for a long time. This is because the parties to the contracts have failed to fully implement “the principle of the freedom of contract”. I believe that the Domestic Conditions need to include more detailed provisions, in order to clarify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parties and to avoid unnecessary disputes between the parties to construction contracts. To achieve this goal, Korean lawye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negotiation processes and to the drafting of construction contracts. I hope that this article will help those who want to better understand the FIDIC Conditions, and to improve the Domestic Conditions. 여기에서는 국제엔지니어링컨설팅연맹(FIDIC)이 작성한 표준계약조건 중 발주자의 설계에 따라 시공자가 건설공사를 수행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Conditions of Contract for Construction 즉, ‘Red Book’ (“FIDIC 조건”)과, 국내 민간건설공사 표준도급계약 일반조건(“국내조건”)을 비교함으로써 양자의 이동(異同)을 살펴보고 우리가 장래 국내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취할 만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 글이, 우리 민법학자들 기타 한국법에 익숙한 법률가들이 FIDIC 조건에 쉽게 접근하는 데 일조하고, 국내조건에 익숙한 건설 관련 인사들이 FIDIC 조건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구체적으로 제3장에서는 발주자의 대리인(1.), 시공자: 공동수급체의 문제와 시공자 대리인(2.), 하도급의 처리(3.), 자재검사-소유권이전(4.), 계약위반에 따른 손해배상의 범위와 제한(5.), 위약금과 손해배상액의 예정(6.), 완공시험과 발주자의 인수(7.), 하자의 보수(또는 하자담보책임)(8.), 공사변경과 계약금액 및 공사기간의 조정(9.), 발주자의 계약해제(10.), 시공자의 계약해제(11.), 위험부담(12.), 불가항력 (13.), 클레임: 시공자의 클레임과 발주자의 클레임(14.), 분쟁해결(15.)과 건설공사와 관련된 각종보증: 독립적 보증(16.)을 다룬다. 논의 결과 예컨대 FIDIC 조건의 발주자위험이나 불가항력조항을 보면, 국내조건은 물론 민법에 의해 보충되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장기간에 걸친 공사계약의 이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비한 정치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당사자들이 ‘계약자유의 원칙’을 충분히 구현하지 못한 결과이다. 국내조건에 더욱 정치한 계약조건을 규정함으로써 당사자들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규정하고 장래 불필요한 분쟁을 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실현하려면, 우리 법률가들은 협상과 계약서의 작성에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 글이 FIDIC조건을 정확히 이해하고, 국내조건을 개선하는 데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해상적하보험계약에서 영국법 준거약관의 국제사법상 문제점 : 준거법의 분할(부분지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중심으로

        석광현 한국해법학회 2023 韓國海法學會誌 Vol.45 No.1

        In Korea, instead of designating English law as the governing law for marine insurance contracts, it is common to use language that limits the application of English law to certain issues. One of these limitations applies only to “all questions of liability arising under this policy,” while the other applies only to “liability for and settlement of any and all claims.”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hile it is easy to acknowledge that English law is not the governing law for the entire insurance contract, there is a debate over whether English law has been designated as the governing law only for certain issues or whether English law has been incorporated into the insurance contract. The Supreme Court is following the former through a series of rulings. The main point of controversy is whether the duty of disclosure/utmost good faith should be governed by English law. In this passage, the author explai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oice of applicable law (partial designation) and incorporation of foreign law by reference (Chapter Ⅱ) and discusses the difficulties arising from adopting partial designation under English law, as in the case of the Supreme Court. This includes issues related to the governing law of the duty of disclosure/utmost good faith, interpretation of insurance contracts, whether or not the insurer can make a deposit with a court for payment, and the governing law of the insurer’s subrogation rights (Chapters Ⅲ to Ⅵ). Furthermore, when a procedural issue is determined, it should follow Korean law based on the “lex fori principle”, while a substantive issue must be solved by the governing law, making the determination of the characterization issue important. In this context, there are issues related to delay damages stipulated by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Expedition of Legal Proceedings, the level of proof in litigation, and the standing of a subrogated insurer as a plaintiff in Korean litigation. The author believes that these issues should be governed by Korean law as procedural matters, but if they are seen as substantive issues, as in the case of the Supreme Court, the designation of the governing law becomes problematic when English law is partially designated (Chapters Ⅶ to Ⅸ). Both the partial designation theory and the incorporation of foreign law theory are logically possible. There are three main reasons the author supports the latter. First, difficulties arising from the partial designation theory can be avoided. Second, it is a policy reason that the overwhelming predominance of English insurance law in marine cargo insurance contracts can be alleviated to some extent. Third, nowithstanding the fact that the parties simply agreed that all questions of liability arising under the insurance contract are to be governed by the laws and customs of England, it is not natural to classify the choice of customs as an incorporation of customs and the choice of law as a partial designation thereby treating them differently. It is very regrettable that the Supreme Court did not analyze the governing law issues while examining the substantive legal issues of the duty of disclosure/utmost good faith in detail in its 2018 ruling. With the amendments in 2001 and 2022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 of Korea and the painstaking efforts made since then, private international law and private international law studies of Korea have now taken root. Therefore, the author urges Korean courts to find the right path without simply repeating past rulings that lacked awareness and research on private international law issues. 종래 우리나라에서는 해상적하보험계약의 준거법을 영국법으로 지정하는 대신 일부 논점에 한정하여 영국법에 따른다는 문언을 사용한다. 하나는 “보험증권상 발생하는 모든 책임문제”에 한정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일체의 전보청구 및 결제”에 한정하는 것이다. 양자 간에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 경우 영국법이 보험계약 전체의 준거법이 아니라는 점은 쉽게 인정할 수 있으나, 보험계약을 분할하여 일부 문제에 대하여만 영국법을 준거법으로 지정한 것인지, 아니면 영국법을 계약의 내용으로 편입한 것인지는 논란이 있다. 대법원은 일련의 판결을 통하여 전자를 따르고 있다. 특히 논란이 있는 것은 고지의무/최대선의의무가 영국법에 따를 사항인가라는 점이다. 여기에서는 저촉법적 지정과 실질법적 지정의 차이점을 설명하고(Ⅱ.) 대법원처럼 영국법의 부분지정으로 봄으로써 발생하는 어려움을 논의한다. 그에는 첫째, 고지의무와 최대선의의무의 준거법, 둘째, 보험계약 해석의 준거법, 셋째, 보험자의 변제공탁의 가부, 넷째, 보험자의 대위의 준거법이 포함된다(아래 Ⅲ.부터 Ⅵ.). 또한 어떤 쟁점이 절차로 성질결정되면 “절차는 법정지법에 따른다”는 ‘법정지법원칙’(lex fori principle)에 따라 한국법에 따르고, 실체로 성질결정되면 준거법을 지정하여야 하므로 성질결정이 중요하다. 이 맥락에서는 첫째, 소송촉진등에 관한 특례법이 정한 지연손해금, 둘째, 소송에서의 증명도와 셋째, 대위한 보험자의 원고적격 문제가 있다. 필자는 위 논점들이 절차의 문제로서 법정지법인 한국법에 따를 사항이라고 보나, 대법원처럼 이를 모두 실체의 문제로 보아 보험계약에 따를 사항이라고 본다면, 영국법을 부분지정한 것으로 보는 경우 그의 준거법 결정이 문제된다(아래 Ⅶ.부터 Ⅸ.). 논리적으로는 부분지정설과 실질법적 지정설이 모두 가능하다. 필자가 후자를 지지하는 주요 이유는 세 가지다. 첫째, 부분지정설로부터 발생하는 어려움들을 피할 수 있다. 둘째, 해상적하보험계약에서 영국 보험법의 압도적 우위를 다소나마 완화할 수 있다는 정책적 이유이다. 셋째, 당사자들은 보험계약을 영국의 법과 관습(또는 실무)에 따른다고 하였는데 그 중 법의 선택은 부분지정이지만 관습(또는 실무)의 선택은 실질법적 지정이라고 구분하여 달리 취급하는 것은 자연스럽지 않다. 대법원이 2018년 판결에서 고지의무/최대선의의무의 실질법적 논점에 관하여 상세히 검토하면서도 준거법에 대하여 명확히 판시하지 않는 것은 매우 아쉽다. 2001년 및 2022년의 개정과 그간 각고의 노력을 통하여 이제 우리 국제사법과 국제사법학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니, 앞으로는 법원이 국제사법에 대한 문제의식과 연구가 태부족하던 과거 판결들을 답습하지 말고 바른 길을 찾아 갈 것을 촉구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