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0년 제정 한국어 인명·지명에 대한 라트비아어 표기법 연구

        서진석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20 동유럽발칸연구 Vol.44 No.3

        The regulation of the transcription of Korean proper nouns into Latvian was developed in 1997 by Dina Gailite, a Latvian linguist, and Natalija Jansone, a Koreanist from Russia who afterwards became a naturalized Latvian. Their regulation was used as a standard for transcribing Korean proper nouns into Latvian until recently, when the new version was announced in 2020 by the author. The older version of regulation by Gailite and Jansone contained many shortcomings in that the transcription system was based on the pronunciation of proper nouns written in English, not in the general Romanization regulation, which ultimately distorted the pronunciation of original words so much that no one comprehended the original orthography of words in the Korean writing system. Moreover, it seems that the regulation of Holodovich and Kontsevich, which was generally used in Russia to transcribe Korean into Cyrillic, was applied to some extent for the old regulation where the ending consonant ㅇ/ng/ was replaced with the consonant n and the /h/ sound was added for transcribing aspirated consonants, which is very typical in Kontsevich’s works. With this background the regulation by Gailite and Jansone was not applied generally in Latvia due to the low public confidence and illogical system. Therefore, until recently, in Latvian mass media Korean proper nouns, like names of persons and places, were transcribed as pronounced Latvian style from how they were written in Romanization or as pronunciations provided in Wikipedia or mass media coverage from overseas. Therefore, we find countless cases where the name of one person is transcribed in non-unified and differentiated versions, or known by the name pronounced incorrectly in Latvian mass media. To solve this problem the Center for Korean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Latvia launched a project in 2019 to develop the new regulation of transcription of Korean proper nouns into Latvian jointly with the National Agency of Latvian Language. This was publicly announced in March 2020.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present the merits of the new regulation of transcription of Korean proper nouns into Latvian developed in order to transcribe the pronunciation of Korean proper nouns as closely as possible into Korean and, at the same time, reflect the original characters of the Latvian and Korean languages. I would also like to discuss the problems yet to be solved in the new regulation related to the linguistic and phonemic dilemma. 본 논문에서 논하고자 하는 2020년 한국어 라트비아어 표기법이 고안되기 이전에도 한국어 고유명사에 대한 라트비아어 표기법은 제정되어 있었다. 라트비아 언어학자 디나 가일리테(Dina Gailite)와 러시아 출신 라트비아 귀화 한국학자 나탈리야 얀소네(Natalija Jansone)가 공동으로 집필하여 1997년 고시된 표기법은 한동안 라트비아에서 한국어를 적기 위한 표준으로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이 방식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먼저 한글이나 일반적인 로마자 표기법이 아닌 영어로 표기된 한국어 발음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 원래 한국어 발음을 심각하게 왜곡하고 자모대조표에서 제기된 알파벳과 한글 자모간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전무하다. 게다가 공통 집필자 중의 한명이 러시아 출신이라는 점에서 당시 러시아에서 널리 쓰이던 홀로도비치-콘체비치 표기법을 다소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받침 ㅇ 표기를 모두 n으로 단순화하고 거센소리에 h 발음을 덧입힌 것들이 그 실례이다. 이렇듯 가일리테-얀소네의 표기법은 공신력과 논리적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널리 쓰이지는 못하였다. 언론에서는 대부분 한국에서 로마자로 표기된 명칭을 별 고민 없이 라트비아 현지 방식으로 발음하거나 위키피디어나 해외 언론에서 제공되는 발음을 그대로 적용하여 표기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하여 같은 사람의 이름이라 하더라도 통일되지 못한 방식으로 사용되거나 올바르지 못한 발음으로 잘못 알려지는 경우도 부지기수다. 이런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인이 소장직책을 역임했던 라트비아 대학교의 한국학 연구소와 라트비아 언어원(Latviešvu valodas Aģentūra)은 2018년부터 공동으로 한국 고유명사 라트비아 표기법을 제정하기 위한 연구 사업을 시작하였고 2020년 3월 고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인도유럽어족의 분파인 라트비아의 굴절어적 특성과 한국어의 아름다움과 음성학적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면서 원음에 가장 가깝게 표기하고자 했던 새로운 표기법 방식에 대한 고찰, 그리고 기존 방식과 현재의 방식을 비교하여 개선점 및 언어학적, 음성학적 난점으로 인하여 여전히 개선책을 찾지 못한 사안들을 제시하며 한국 고유명사 라트비아어 표기법의 효용성을 논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맥락 파악 강화를 활용한 대학원 통번역 연계 수업 연구 :라트비아대학교 대학원 동양학과정 한국학 전공 사례를 중심으로

        서진석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6

        The combined lesson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in the Korean language, held at the Master’s Programme of Orientalistics, University of Latvia, are aimed at practicing the ability to comprehend the variety of contexts that can be encountered in discourses of the Korean language. When interpreting or translating a specific text that concerns an aspect of Korean society or culture, it is almost impossible to understand correctly without the knowledge of the whole context. Therefore, the lessons attempted to enable students to comprehend the basic contexts about culture and society. They are expected to appreciate in advance as well as to cultivate an ability to utilize them practically for work on the basis of personal experience and knowledge accumulated during classes. Doubtlessly, one of the most essential tasks for translators is to introduce Korean literature translated in refined Latvian; however, the students are supplied with opportunities to practice reading and researching a variety of written contexts selected from press, broadcasts, newspapers, and academic theses in order to broaden the range of understanding of contexts in discourses that can be encountered at any moment. After the process of translation in words, the students are requested to practice the translation of randomly chosen oral discourses (interview, news coverage, and lessons) related with those contexts. 라트비아대학교 대학원 동양학 과정은 2017년 처음으로 한국학 관련 전공을 개설하였으며 통역, 번역 수업을 위주로한 커리큘럼으로 운영되고 있다. 통번역 수업의 비중이 높은 것은 동양학 대학원에 개설된 타 전공들의 기존 커리큘럼에따른 것으로 2년 기간 동안 매 학기 통역과 번역 수업을 별도로 이수해야 한다. 라트비아대학교는 여러 가지 특별한사정으로 인해 2018년부터 통역과 번역 수업을 분리하지 않고 연계 수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통·번역 연계 수업이란통역과 번역 업무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언제라도 맞닥뜨릴 수 있는 한국 사회에 내재된 다양한 맥락을 사전에 파악하고연구하는 것이다. 한국에 대한 정보가 극히 드물거나 한정되어있고 통역업무에 대한 수요는 급속하게 늘고 있으나통역 경험과 맥락적 인지도가 축적된 현지 전문가가 아직 배출되지 않은 라트비아의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수 있는 학습방법으로 활용되었다. 먼저 교수가 라트비아의 상황과 환경에 따라 요구되는 한국의 사회적 맥락들을선정하고, 그에 따라 교수가 개입하여 고른 담문을 읽고 번역하는 작업을 먼저 거친다. 그 후 번역한 내용과 관련된담화를 듣고 순차 통역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여기에는 교수의 현지화 역량, 현지어 화용 방식에 대한 이해력등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 수업의 구체적인 교육 방식과 맥락선정의 예, 평가 방식과 장단점 등을 정리, 기술하여 라트비아와 비슷한 상황에 놓인 국가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실용성에 대해서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