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보성에 기반한 한일 간 R&D 국제협력의 진화

        서정해 한일경상학회 2016 韓日經商論集 Vol.70 No.-

        Most of countries in the world have been actively deployed the international R&D cooperations at global level. Considering the fusion and converg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global technological competition, the paradigm of open innovation, and the growing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Korea, the patterns of R&D cooperation between Koran and Japan will evolve as follows; 1) The R&D cooperation will evolve from the government oriented pattern to market oriented one guided by government, and from a bilater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to a multilateral one including the east Asian countries. 2) The R&D cooperation between Koran and Japan will evolve from a technology transfer or exchange of personnels to a R&D consortium, and various cooperations will be occurred in a framework of a joint R&D. 3) The R&D cooperation between Koran and Japan will evolve in a consideration of an industrial competitivenes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linked with their promoting policies of emerging industries. 4) The government policy of science & technology focused on an innovation and industrial technology will facilitate the evolution of a market oriented cooperation, a joint R&D, and the cooperation of considering the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e common principle in the R&D cooperation is the reciprocity. And it is necessary for the each partner to have the complementary capabilities. Moreover, it is also necessary for Korea and Japan to make various and continuous efforts based on an trust in the evolution of R&D cooperation. 세계 각국은 범세계적 차원에서 R&D 국제협력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최근 과학기술의 융복합, 글로벌 기술경쟁의 심화, 개방형 혁신의 등장, 한국의 과학기술 경쟁력 향상 등을 고려할 때 한일 양국의 R&D 국제협력은 다음과 같이 진화할 것이다. 1) R&D 국제협력은 정부주도에서 정부유도에 기반을 둔 민간 시장주도의 협력으로, 그리고 정부유도 협력 틀에서 한일 간 쌍방협력에서 다자간 협력의 형태로 진화한다. 2) 한일 간 R&D 국제협력은 기술도입, 인적 교류 등 개별적 단편적 관계에서 공동연구 형태로 진화하여 다양한 R&D 국제협력이 국제 공동연구의 틀 속에서 이루어진다. 3) 한일 간 R&D 국제협력은 한중일 산업경쟁력을 고려하여 각국의 성장동력정책과 연계한 형태로 진화한다. 4) 산업기술 및 이노베이션 정책과 연계되는 과학기술정책은 한일 간 R&D 국제협력이 민간주도형, 공동연구형, 산업경쟁력을 고려한 국제협력의 형태로 진화함에 있어서 그 촉매제 역할을 한다. 이러한 R&D 국제협력의 진화에서 공통적인 원리는 호혜성이며, 협력 당사자가 보완적 역량을 갖추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또한 한일 간 새로운 R&D 국제협력으로의 진화에는 상호 신뢰에 기초하여 다방면에 결처서 지속적인 협력의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국의 부상과 한미동맹의 변화: 동맹의 방기(Abandonment) - 연루(Entrapment) 모델적 시각에서

        서정경(徐正京)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8 신아세아 Vol.15 No.1

          본고의 목적은 한국정부의 대북 편향성이라는 전제하, 중국의 부상이 한미동맹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과 한미동맹이라는 양자 관계를 제약하는 외부적 체제요인, 즉 동북아시아에 전통적으로 존재하는 계층적 질서 및 21세기 중국의 부상으로 인한 동북아 세력구조의 변화와 행위자 요인, 즉 중국과 한미동맹간 상호작용을 함께 살펴보았다. 부상하는 중국의 대미국, 한국 인식 및 전략이 어떠한지, 그리고 미국과 한국의 동맹전략이 중국에 대한 고려를 중심으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본 후, 실제 한미동맹에 발생하였던 몇 가지 방기와 연루 사례들, 즉 제2차 북핵문제, MD 편입문제 및 한미동맹의 전략적 유연성 문제로 인한 동맹의 안보딜레마 현상을 중국요인과 함께 논의하였다.<BR>  분석결과, 중국은 중국위협론을 잠식시키고 미중관계의 안정을 기하기 위해 북핵문제 해결에 최대한의 협력을 제공하는 한편, 미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보다 나은 위치에 서기 위해 한국에 대한 영향력 확대를 꾀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의도 및 외교행태는 한미 양국의 동맹 인식 및 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주변국 한국의 안보전략을 끌어당기는 원심력으로 작용함으로써 한미간 동맹의 방기-연루 현상을 초래ㆍ심화시키고 있다. 즉 중국의 적극적 개입 및 한중간 공조로 인한 한미간 갈등의 심화는 동맹 응집력에 일정한 영항을 주며, 한미동맹의 변화를 일정부분 추동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국은 중국과의 관계 증진 및 공조를 통해 미ㆍ중간 충돌에 연루될 위험을 낮추려 하였고 전략적 공간의 확대를 기하려 하였으나 이러한 의도는 큰 성과를 얻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article aims at analyzing the shift of ROK-U.S. Alliance affected by China"s rise under the premise of Korea government"s inclination toward pro-N.K. This article tries to explain both external structure factors - traditional hierarchical order in northeast asia, shifts of power distribution caused by China"s rise, and internal unitary factors - interaction between China and ROK-U.S. Alliance. It mainly analyze rising China"s perception and strategy on ROK and U.S. Shifts of ROK-U,S"s alliance strategy and ROK-U.S alliance"s security dilemma cases.<BR>  Through this article we can learned that the rise of China indeed influence and motivate the shift of ROK-U.S Alliance. China provide U.S. with cooperation actively to eliminate the "china threat theory," and tries to draw ROK into it"s sphere of influence with the intention of getting more favorable position within U.S-China"s competition, so it gives rise to and deepens the ROK-U.S. alliance"s security dilemmas-entrapment and abandonment crisis. China"s active intervention to Korea peninsula issues, constructive cooperation with Korea government, and discord between ROK and U.S complicated by China"s intervention undermines the cohesion of ROK-U.S Alliance, and facilitates the shift of alliance. This article also shows us that Korean government"s intention of broadening the diplomatic space using China card doesn"t seem to obtain fruitful outcomes.

      • KCI등재

        산업정책과 기술유형의 관점에서 본 일본의 산업발전 전략

        서정해 韓日經商學會 1997 韓日經商論集 Vol.13 No.-

        Japan have been achieved good economic performane. In addition, she had especially succeed in changing the structure of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wave of micro-electronics. Keeping in mind that historical evidence,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industrial development strategy of Japan focusing on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technology policies.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industrial structure policy of Japan was aiming at the promotion of strategic industries represented by high-tech industries. The philosophy of forming the industrial structure was to aim at a self-sustained full set economy. 2) The industrial technology policy of Japan had been focused on high-tech industries, and MITI had established various institutioal devices. The most typical one is the introduction of research consortia for large scale joint-research projects. However, those policies are indirect and guidance-oriented, and provided 'ax ante coordination mechanism'. 3)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technology accumulation process are information sharing, and the harmony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4) Japanese industrial and/or technological patterns involve both capital investment and linkage & interaction type. The latter type lead to enhaunce the level of Japanese high-tech capabilities.

      • KCI등재

        토시바(東芝)의 반도체 부문 기업혁신 사례

        서정해 한국경영학회 1999 Korea Business Review Vol.7 No.1

        본 사례는 일본에서 중후장대형 기업의 대표격이며 언제나 현실안주형 「2등 기업」으로 일컬어지고 있는 토시바가 1M DRAM을 중심으로 한 반도체 부문의 사업혁신을 통해 경박단소형의 기업으로 탈바꿈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아울러 반도체 분야의 제품개발이나 매출액 규모에서 일본의 경쟁타사에 비해 비교열위에 있었던 토시바가 DRAM 사업을 통해 선발업체를 캐취업 (catch-up) 한 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토시바가 DRAM 사업을 통해 선발업체를 캐취업하고 사업구조의 혁신을 가져온 상기 사례는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다음과 같은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서 토의를 진행한다. 1) 다각화된 대기업에서 사업구조 전환을 통한 기업혁신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가? 2) 사업구조 전환에서 제품 및 그것과 표리관계에 있는 기술은 어떠한 논리에 의해 선택되어지는가? 3) 후발업체는 어떠한 논리를 통해 선발업체를 따라잡을 수 있는개 아울러 사례는 각각의 주제에 대한 토의의 진행에서 논리를 찾아낼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결론적으로 토시바의 반도체 사업의 성장과 사업구조 전환과정을 요약하면, 선택과 집중, 확산과 연결, 미들업다운(middle-up-down) 경영 과정으로 비전과 전략의 연계 및 그에 따른 최고경영자의 의지와 리더십, 적극적 기술선택으로 정리할 수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