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정책명칭의 구성개념이 정책수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인석·정규진(2014)의 정책명칭 수용모형에 대한 구조적 관계 검증

        서인석 ( Seo¸ Inseok ) 한국행정학회 2021 韓國行政學報 Vol.55 No.3

        본 연구는 정책명칭이 정책수용과 관련 되는가를 분석하고 검증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정책명칭의 구성요소와 정책수용 간의 관계를 이론적 검토를 통해 제시하고 통계검증을 통해 가설관계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관련분야의 전문가 215부의 설문자료를 조사자료로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수행하였다.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정책수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태도는 정(+)의 관계성을 보여주었고, 정책형상은 부(-)의 관계로 확인되었다. 정책형상의 결과는 선행연구의 관점과 상이하여 추가검증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정책형상은 태도에 정(+)의 관계성을 확인해볼 수 있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p<0.001). 정책형상이 직접적으로 정책수용을 높이지는 않지만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인 것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셋째, 인지는 정책형상과 태도에 모두 정(+)의 관계성을 지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지와 태도의 관계는 오랫동안 심리학 분야를 통해 확인되어온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며, 인지와 정책형상의 관계가 (+)의 관계임을 확인해볼 수 있는 결과이다. 넷째, 언어표현은 인지에 정(+)의 관계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정책명칭의 주요한 독립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매개변인을 고려한 간접관계를 분석한 결과 언어표현의 효과가 정책명칭에 다양한 경로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정책결정자는 언어의 힘을 고려한 시민의 관점과 맥락에서 용어를 고려해야 함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and verifies whether policy naming is related to policy acceptance. To this end, we wanted to 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policy name and the acceptance of the policy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and to confirm the hypothesis relationship through statistical verification.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urvey data of 215 experts in the relevant fiel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policy acceptance, attitude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and the policy shape was identified as negative. The results of the policy form were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ceding research, requiring further verification. Second, the policy shap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and to have confirmed the positive relationship to attitude.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policy shape was a factor that did not directly increase policy acceptance but could have an indirect effect. Third, recognit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how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both policy shape and attitude.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and attitude is consistent with studies that have long been identified in the field of psychology, and the result 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and policy form is positive. Fourth, the expression of language was identified as a major independent variable in the name of the policy, a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recognition. Finally, an analysis of indirect relationships taking into account parameters confirmed that the effects of language expression could affect policy naming in various ways, and that policymakers should consider terms from the citizen's perspective along with context, taking into account the power of language.

      • KCI등재

        거래비용관점에서의 정부신뢰와 공직부패와의 관계

        서인석 ( InSeok Seo ),박형준 ( Hyung Jun Park ) 한국정책학회 2012 韓國政策學會報 Vol.21 No.3

        좋은 정부란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정부이다. 정부신뢰는 좋은 정부의 필요조건이며, 정책성공에 중요한 요소로서 즉 정부에 대한 신뢰가 낮다면 정책수행에 필요한 국민의 지지와 순응이라는 자원이 부족하게 되어 성공적인 정책의 집행이 어렵다. 따라서 좋은 정부가 되기 위해서는 높은 정부신뢰가 요구된다. 그렇다면 정부에 대한 신뢰란 무엇이며,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정부신뢰에 대한 요인을 정부와 국민간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거래비용적인 관점에서 사전적, 공급자적인 제도측면과 사후적 수요자측면인 참여적 측면을 변인화 하고, 더불어 신뢰하락, 불신의 요인인 부패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부패와 정부신뢰, 거래비용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정해본 결과 정부신뢰에 가장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사후적 거래비용요인이지만, 공직부패를 낮추는 데는 사전적 정보비용요인이 보다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 이는 정부신뢰와 불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달랐고, 정부신뢰와 불신은 영향이 서로 독립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집행비용을 낮출 수 있는 감시기제로서 시민참여나 모니터링은 정부신뢰에 큰 영향력을 가질 수 있음을 본 연구에서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Good government' is reliable and trustworthy government. Trust upon government is requisite of being a good government. On the other way, distrust in government may make a policy failure. Then, how to define a trust on government, and what are key factors influencing it? We assumes trust in government are result from government-citizen relationship. Therefore various types of transaction cost affect trust on government. We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orruption, government trust, and transaction cost. Within the variables, transaction cost stands for institution(ex-ante, supply-side transaction cost) and participation(ex-post, demand-side transaction cost) while corruption as a parameter is a factor of distrust. Verifi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o government trust is ex-post transaction cost, while ex-ante transaction cost factor is more effective at alleviating public corruption. From the result, it is found that different factors affect government trust and distrust independently, and those two factors are also affected independently. This research suggests citizen participation and monitoring as surveillance mechanism have considerable impact on government trust, as well.

      • KCI등재

        문민정부 이후 역대 대통령 미래비전 리더십 연구: 취임사에 나타난 국가의제 및 언설 (言說: statement)을 중심으로

        서인석 ( InSeok Seo ),이동규 ( Dong-Kyu Lee ) 한국행정연구원 2011 韓國行政硏究 Vol.20 No.1

        본 연구는 내용분석기법을 통해서 취임사에 나타난 대통령들의 리더십 행태에 대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기존의 대통령들의 리더십 차이에 대한 연구가 공통된 분석대상이 없이 개별적이고, 다소 산발적으로 이루어진 경향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검토를 통해서 대통령 리더십의 유형을 두 가지 큰 범주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유형을 상위범주로 하여 유형별 내용을 리더십 행태에서 나타날 수 있는 구체적인 요소로 간주하여 이에 대해 Atlas,Ti 질적연구기법을 도입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김영삼 대통령과 이명박 대통령의 경우는 권위주의적이고, 승부사적 기질이 나타날 것이란 선행연구들의 관점을 지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김대중 대통령의 경우 일부만을 지지하였는데, 권위주의적 리더십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장인형의 속성을 지닐 것이란 관점과 달리 승부사형 기질이 높았다. 또한, 노무현 대통령의 경우 선행연구의 관점과 달리 연구결과는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참여적이고, 승부사적 기질이 높을 것이란 예측과 달리 전반적으로 거래적인 리더십이 가장 높았으며, 장인형의 기질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어 선행연구의 방향과는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권력 다양성 관점에서 세대 간 차이에 관한 연구: 「2017 서울시도시정책지표」의 성공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서인석 ( Inseok Seo ),윤병섭 ( Byung Sub Yoon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21 국가정책연구 Vol.35 No.2

        이 연구는 세대 간 중요하게 생각하는 힘은 다르다라고 생각하여 세대 간 갈등의 근간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시작하였다. 성공이라는 가치는 사회의 상위계층이 점유한 것(thing)이라 생각할 때 이를 권력의 요소라 간주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각 세대가 생각하는 성공과 성공을 위한 주요 가치 즉 권력에는 차이가 있다고 바라보았다. 최근 제안된 이론 모형에 기초해 권력을 개인적 차원, 제도적 차원, 사회적 차원으로 구분하고자 하였다. 권력의 다양성 한 측면을 종속변인으로 간주하고, 독립변인으로써 생애주기적 측면과 한국의 세대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통계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방법은 서열로짓을, 자료는 서울서베이 2017 성공의 중요요인과 관련 설문문항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한국의 세대적 관점에서 밀레니얼세대에 비해 전후세대는 권력이란 야망, 성실성, 좋은 인맥으로 요약될 수 있었다. 586세대는 기존 시각과 다르게 부유한 집안, 부모의 교육수준 등 부정적 지표에서 성공의 요소라고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생애주기 차원에서 20대 이하의 어린 연령에 비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부유한 집안, 성별의 차이, 정치연고, 뇌물공여 등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20대 이하라는 열정 및 도전의식에 대한 관점과 사회의 구조적 문제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이 아닌가 유추하였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theme of what is the basis of conflict between generations, thinking that the forces that are important between generations are different. The value of success was considered an element of power when it was considered that it was occupied by the upper classes of society. From this point of view, each generation saw a difference in the main value of success and success, or power. Based on the recently proposed theoretical model, we wanted to distinguish power from personal, institutional, and social dimensions. The diverse aspects of power are considered subordinate variables, and statistical analysis is attempted by dividing them into life-cycle aspect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generational aspects of Korea. The analysis method was sequenced, and the data used important factors and related questionnaires for the success of Seoul Survey 2017.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compared to the millennials in Korea, the postwar generation could be summed up by the ambition of power, sincerity, and good connections. The 586 generation recognized success as an element of success in negative indicators such as the education level of wealthy families and parents, unlike the previous view. Nex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age group compared to the younger people in their 20s or younger, the higher the number of wealthy families, gender differences, political affiliation, and bribery. It is inferred that this is because it is free from the perspective of passion and sense of challenge and the structural problems of society.

      • KCI우수등재

        해양 과학기술분야 탄소중립 정책에 대한 OECD 국가유형의 지속과 변화

        서인석 ( Inseok Seo ),이유현 ( Youhyun Lee ) 한국정책학회 2021 韓國政策學會報 Vol.30 No.4

        탄소중립 시대의 기후변화 정책은 기존의 주요 감축대상이 아니었던 해양부문에서의 감축을 촉구하고 있다. 해양수송은 주요 온실가스 배출원이면서도 해양 자체가 주요한 자원의 보고이기 때문에 해양의 탄소중립을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적 대응이 절실하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각 국가별 탄소중립 대응수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OECD 국가를 대상으로 탄소중립에 대응할 수 있는 해양과학기술정책 수준을 유형화하는 것을 주요한 연구 목적으로 삼고 있다. 분석결과, 해양환경 기여형은 국가로는 캐나다와 멕시코를 확인해볼 수 있었다. 둘째, 해양환경 통합적 노력형 국가에는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영국이 포함되었다. 셋째, 규제중심 노력형 국가로는 호주, 오스트리아, 덴마크, 뉴질랜드, 에스토니아, 폴란드가 해당하였다. 넷째, R&D 투자 노력형 국가는 노르웨이, 벨기에, 이탈리아, 일본, 한국이 해당하였다. 다섯째, 해양환경 무관심형 국가는 핀란드, 아일랜드가 해당하였다. 여섯째, 해양탄소중립 위기유형에는 스페인, 포르투갈, 스웨덴이 해당하였다. 마지막으로 국가 유형변화 없이 지속된 유형은 호주, 캐나다 등 14개 국가가 해당하였으며, 부정적으로 변화한 국가는 에스토니아, 핀란드 등 4개국이 해당하였다. 기후변화 대응에서 기후위기 대응으로, 또 탄소중립을 달성으로 탄소감축 목표는 나날이 상향조정되고 있으나, 이를 실제 이행하기 위한 개별 공공정책 부문에서의 정교한 정책진단과 설계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유형화 결과가 감축의 주요 관심 대상이 아니었던 해양분야에 대한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고,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준비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길 기대한다. Climate change policies in the era of carbon neutrality are calling for mitigation efforts in the marine sector, which was not a major reduction target. Since marine policy has transnationality, and marine transport is a major source of greenhouse gas, the cooperative response to carbon neutrality of global society is needed more than any other field. To this end, an accurate diagnosis of the current level of carbon neutrality response for each country must be preced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the level of marine science & technology policy that can respond to carbon neutrality. As a result, Canada and Mexico were be identified as countries that contribute to the marine environment. Second, France, Germany, the Netherlands, and the UK were identified as integrated marine environment country Third, Australia, Austria, Denmark, New Zealand, Estonia, and Poland were included as regulatory-oriented countries. Fourth, Norway, Belgium, Italy, Japan, and Korea were the countries that tried to invest in R&D. Fifth, Finland and Ireland were the countries that were indifferent to the marine environment. Sixth, Spain, Portugal, and Sweden were marine carbon neutrality crisis countries. Finally, 14 countries, including Australia and Canada, accounted for the type of country that continued unchanged, while four countries, Estonia and Finland, were negatively changed. The goal of carbon reduction is increasing day by day from responding to climate crisis to achieving carbon neutrality. However, sophisticated policy diagnosis and design in individual public policy sectors are very insufficient to implement it.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arouse policy interest in the marine policy field, and prepare for a transition to a carbon-neutral society.

      • KCI우수등재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 성과에 대한 퍼지셋 결합원인 분석 - 경기도 기초자치단체 주민참여예산위원회 기구특성과 지역특성을 중심으로 -

        서인석 ( Inseok Seo ),이유현 ( Youhyun Lee ),주희진 ( Heejin Ju ) 한국정책학회 2021 韓國政策學會報 Vol.30 No.3

        이 연구는 기초자치단체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사업성과를 분석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경기도 31개 시·군을 연구범위로 한정하고, 제도로써 기구구성수준, 지역특성 등의 원인조건과 주민참여예산 사업성과라는 결과조건과의 관련성을 소수 사례 연구 인과성 분석에 최적화된 퍼지셋분석을 적용하여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주민참여예산제의 제안사업에 대한 반영성과의 충분조건 원인조합은 총 4가지 형태로 확인되었다. 우선, 기구구성의 경우 주민참여예산위원↑(A), 지역위원회를 운영하면서(C), 기타 지원조직↑(D), 동시에 지역적 특성이 재정자립도↑(E), 다문화가구비율↑(G) 지역에서 주민참여예산제 사업성과가 높을 수 있다고 분석되었다. 둘째, 기구구성의 경우 주민참여예산위원↑(A), 분과위원회↑(B), 지역위원회를 운영하면서(C), 기타조직수↑(D), 동시에 지역적 특성이 재정자립도↑(E), 고령인구비율↑(F) 지역에서 주민참여예산제 사업성과가 높을 수 있다고 분석되었다. 셋째, 기구구성의 경우 지역위원회를 운영하고 있고(C), 동시에 지역적 특성이 재정자립도↑(E), 다문화가구비율↑(G) 지역에서 주민참여예산제 사업성과가 높을 수 있다고 분석되었다. 넷째, 기구구성의 경우 주민참여예산위원↑(A), 지역위원회를 운영하고 있고(C), 동시에 지역적 특성이 재정자립도↑(E), 다문화가구비율↑(G), 농촌인구율↑(H) 지역에서 주민참여예산제 사업성과가 높을 수 있다고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in Gyunggi-do. Fuzzy set QCA was conducted for 31 cases in Gyeonggi-do to explore the causal conditions such as organization composition level, local characteristics and sufficient condition such as project performance. As a result, four types were elucidated as sufficient condition combinations for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the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Firstly, high level of performance can be achieved with combinations of following conditions; committee member ↑ (A), operating regional committees (C), other support organizations ↑ (D), financial independence ↑ (E), ratio of multicultural households ↑ (G). Second, high level of performance can also be achieved with combinations of following conditions; committee members ↑ (A), subcommittees ↑ (B), operating regional committees (C), the number of other organizations ↑ (D), financial independence ↑ (E), the elderly population ratio ↑ (F). Third, high level of performance can be attained with combinations of following conditions; operating regional committees (C), financial independence ↑ (E), the ratio of multicultural households ↑ (G). Lastly, high level of performance can be delivered with combinations of following conditions; committee member ↑ (A), operating regional committees (C), financial independence ↑ (E), the ratio of multi-cultural households ↑ (G), rural population ↑ (H).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 고전산문 속의 음식 표상과 그 생활사적 의미

        서인석(Seo, Inseok) 돈암어문학회 2015 돈암어문학 Vol.28 No.-

        이 논문은 한국 고전산문 중 전기소설, 판소리계 소설, 야담을 중점 대상으로 삼아 음식표상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음식은 단순히 먹고 사는 것을 넘어 문학적 표상으로서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고전산문을 대상으로 한 이 방면 연구가 크게 미흡하다는 점을 감안한 시론적 논문이다. 먼저 고전산문, 특히 소설사에서 거론된 여려유형들 속에 음식물들이 어떻게 반영되는가를 살피고, 이들 중 계통과 범주가 명확한 만큼 음식표 상도 집약적으로 드러나는 전기소설, 판소리계 소설, 야담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였다. 전기소설의 음식은 산 사람과 죽은 사람 또는 세속 사람과 천상계 사람의 교유(소통)의 표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 바, 이는 남녀 사이라는 점이 반영되면서 애정결연이라는 데까지 나아가고 있었다. 이처럼 전기소설의 음식은 비일상적인 교유를 이루어 주는 표상으로 집약되어 나오면 서 일상적인 음식표상과는 거리가 있게 되었는데, 이 점은 판소리계 소설과 야담의 음식표상이 일상적인 것과 대비된다. 판소리계 소설의 경우 상당 부분 ‘수사적 표현’ 속에서 미학적 즐거움을 위한 것이지만, 또한 인간의 근원적 욕망인 식욕을 충동하고 간접적으로 만족 시키는 ‘식욕의 판타지’로 기능하 있었다. 그 판타지는 양면적인데 <춘향전> 같은데서는 음식의 풍요로움을 주로 보여 주는 것이었는 데 반해 <흥부전>에서는 음식의 결핍에서 오는 허기를 주로 보여주는 것이었다. 풍요와 허기라는 극단적 음식표상을 수사적 표현을 통해 보여주고 있었다. 야담의 경우는 어쩔 수 없는 가난 속에서 음식에 대한 대단한 결핍감과 그 충족이 서사의 핵심을 이루는 가운데 음식이 권력의 표상으로 나오는 것도 있고 밥이 아닌 죽으로 연명하면서 음식에 대한 대단한 절제를 표출하면서 금욕의 표상으로 나오고 있음을 보았다. 이러한 음식표상에 대한 문학적 연구는 음식에 대한 인간의 내면정서나 욕망을 통해 좀더 심층적인 생활사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본다. This study is considering the food representation in Korean Classical Prose, especially jeongi soseol, pansori novel and yadam. The food in fictional biograpy, which represents the symbol of connection between live man and dead man, in other words, worldly person and the other world person, is far from daily food representation. It contrasts with the daily routine food representation of pansori novel and unofficial historical tale. In case of pansori novel food representation is functioning "appetite fantasy" which incites appetite and satisfies it through "rhetoric expression". That fantasy is double-sided, that is, which shows the abundance of food in Ch"un-hyang-jeon, while in Heung-bu-jeon shows the hunger from the lack of food. The food representation shows sharp contrast of affluence and deficiency. In case of unofficial historical tale, extreme sense of lack caused by irresistable poverty and its sufficiency consists of the core of the prose, and there food is sometimes symbol of power and sometimes symbol of extreme thrift. The literal study about food representation is very important, I thik, in respect of its contribution to the in-depth consideration about Life-history through human internal emotion and desire towards the food.

      • KCI등재

        정부조직의 조직문화와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의 인과구조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포함하여-

        서인석 ( InSeok Seo ),윤우제 ( WooJe Yun ),권기헌 ( Gi heon Kwon ) 한국정책학회 2011 韓國政策學會報 Vol.20 No.3

        정부조직은 외부 환경변화 시기에 유연하게 적응하면서 꾸준한 성과를 낼 수 있는 조직역량인 조직문화를 더욱 더 갖추어야 한다. 또한, 조직구성원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조직문화를 변화시켜야 하는데, 이는 조직문화가 조직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제약요소이기 때문이다. 즉, 조직문화는 조직현상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조직문화와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이때 조직문화가 선행요인으로써 갖는 의미를 이론적으로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몇 가지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조직문화 차원에서는 각 문화요인이 분배공정성 보다는 절차공정성에 정(+)의 효과에서 더 큰영향력을 미쳤으며, 또한 부(-)의 효과에서도 보다 큰 영향력을 주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로, 조직공정성과 조직신뢰의 경우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모두 조직신뢰에 긍정적이었다. 마지막으로, 조직신뢰가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 영향력을 나타낸 반면, 분배공정성의 경우 부(-)의 영향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이론적으로 분배공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관계를 가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후속검증이 필요한 부분이다. Governmental organizations are required to capacities on flexibility & responsibility bringing performances in age of environmental changes. For this reason, Organizations are trying to alter agent having changing ability. Organizational cultures influence members through direct and indirect ways because organizational cultures is limited factors on attitudes and behaviors of members in institutions. This means that organizational cultures is primary independent variable among organization factors. In this contexts, we are both confirming structural causality of organizational cultures, justices, citizenship behaviors and discussing theoretical findings as primary factors about organizational cultures. Analysis result is as following. Firstly, in level of organizational cultures, each cultural factors are effects on procedural justice than distributive justice as positive effect. This means that an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s are important factor to procedural justice. Secondly, in results of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trust, this research findings were results in concord with literature review because both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are effects on positive . Lastly, in contrast to perspective of primary research, distributive justice was negative effect to citizenship behavior, which is requiring to continuing testing in terms of consequence different from organization theory.

      • KCI등재

        사회의 압력이나 제도적 특성은 정책결정기간을 변화시키는가 -발의법률안 통과기간의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서인석 ( InSeok Seo ) 한국정책학회 2014 韓國政策學會報 Vol.23 No.2

        본 연구는 사건에 따라 반응하는 언론이나 사회의 관심 및 압력(사건이후의 언론화), 그리고 국회제도의 속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회피현상 등을 정책결정기간의 변수로 포함시켜 정책결정기간의 변화를 보다 입체적으로 설명해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검토를 통해 시기적 기회, 사회적 공론화, 회피현상을 정책결정기간의 중요인자로 추론한 후 선행연구의 변인과 함께 통계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몇 가지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우선, 레임덕의 경우 선행연구들의 결과처럼 ``입법회피(legislative shirking)``의 발생으로 인해 법안심의라는 직무에 충실하지 않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이슈강도는 선행연구들의 관점과는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선행연구들에서는 대형사건과 같은 촉발기제가 있고, 이를 뒷받침하는 이슈가 지속될 경우 정책결정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해왔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결정기간을 늘리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셋째, 정기회의 경우 모든 모형에서 정(+)의 관계성을 확인 하였으며, 이는 선행연구들의 관점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넷째, 정책유형이나 사회적 구성주의와 같은 정책내용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는 데 있다. This paper tried to explain a multiple factors multi-dimensionally including the media, the social attentions, and the legislative institutions. In theoretical reviews, the various factors including both the variables of advanced research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such as media, social attention, congress lame-duck) established to influence policy decision making time together. We test this model using zero-inflated poisson regression(ZIP). The results show that (1) a legislative shirking of lame-duck period confirmed a negatively(-) effect; that (2) a issue's strength also has negative effects but the angles of previous researches dissimilarly; that (3) a period chance has positive(+) effects supporting to advanced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