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여성의 이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서영숙 ( Seo Young Suk ),김경신 ( Kim Kyeong Shin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8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3 No.3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ies of women’s divorce intention and to analyze the related variables that affect women’s divorce intention. It would help explore the conditions for prevention or intervention of divorce.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structured survey was conducted by 521 married women aged between 20 and 70 living in Jeollanam-do and Gwangju. The data was analysed by SPSS 21.0 program. Results: First, the average score of divorce intention was 2.04, which was lower than the middle. The average score of self-differentiation, marital communication efficiency, reasonable coping, and social support were a bit higher than the median score. Second, the differences in the divorce intention according to the academic background and household incom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marital communication efficiency had the biggest effect on divorce intention and it was followed by avoidance-oriented behavior, reasonable coping, support from the local community, self-differentiation, and household income. Conclusion: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various factors related to divorce intention especially in individual, marital, social aspects. In addition, it is actually required to develop the couple programs about coping strategies, effective couple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methods. It also have to imply the requirements considering psychological, social aspects such as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support.

      • KCI등재

        우리나라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입원환자의 지역별 의료이용의 변이에 관한 연구

        서영숙(Seo, Young-Suk),이경수(Lee K.S.),박종호(Park, Jong-Ho),강성홍(Kang, Sung-H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4

        지역별 의료서비스 이용의 변이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역주민들이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적절하게 이 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05년 환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 라의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을 이용한 입원환자의 지역별 의료이용의 변이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 았다. 지역별 의료이용의 변이에 성, 연령과 같은 지역별 인구구조의 차이에 의한 효과는 직접표준화 방법을 이용하 여 보정하였다. 분석결과 시도별, 시군구별 표준화 퇴원율, 표준화 재원일수는 차이가 있었으며, 표준화 퇴원율, 표준 화 재원일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도시규모, 인구10만명당 병상수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gional medical utilization variation of hospital inpatients and to suggest policy for the allocation of medical service in Korea.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medical service, city size, income level and regional medical utilization variation of hospital inpatients. The patient survey report of 2005 year i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as used for this study. To adjust on the factor age and sex, we used direct standardization method. Findings of the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standardization discharge rate on patient was different in the district. city type, and number of beds. Second, standardization length of stay of patient was different in region, city type, and number of beds.

      • KCI등재

        고교시절 사회봉사활동 관련요인이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영숙 ( Young Suk Seo ),남진열 ( Chin Yeol Nam ),김상미 ( Sang Mi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고교시절 사회봉사활동의 관련요인을 개인적 요인과 경험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J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1년 9월 26일부터 5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분석에 사용된 연구대상은 남학생 156명, 여학생 174명 총 330명이며, 수집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χ2검증, 상관관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에서 고교시절 개인의 배경 요인 중 봉사활동 기관결정자, 참여태도, 사전교육 여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봉사활동 기관을 자신이 결정하였을 때, 고교시절 사회봉사활동 참여태도가 적극적이었을 때 등이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을 지속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에서 고교시절 사회봉사활동 배경요인 중 봉사활동기관 담당자와의 관계, 이타성(+)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봉사활동기관 담당자와의 관계와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지속에서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부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연구에서 사회봉사활동을 자원봉사활동으로 지속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모색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 of social service activity in high school influencing upon continuation of university students`s volunteering activity. The subjects were 330 university students in Jeju an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male students 156, female students 174.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χ2, Pearson`s correl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related factor in high school period and volunteering activity experience in univers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decider of organization for volunteering activity, participation attitude, whether preliminary education exists or not. When an attendant decided organization for volunteering activity by "myself", there was experience of volunteering activity in university. When an attendant actively participated in social service activity in high school, there was experience of volunteering activity in universi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 of social service activity experience in high school influencing upon continuation of volunteering activity in universit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in relationship with person in charge in volunteering activity organization and altruism. 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ionship with person in charge in volunteering activity organization and experience of volunteering activity in university, there was variable giving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s. In the future, various study is required to explore factor that makes social service activity lead to volunteering activity.

      • KCI등재

        문화성향이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제주지역 개인기부자를 중심으로-

        서영숙 ( Seo Young Suk ),진관훈 ( Jin Gwan Hu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6 탐라문화 Vol.0 No.52

        본 논문은 제주도내 기부경험이 있는 정기기부자와 비정기기부자를 대상으로 문화성향이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여 기부지속성 유지 및 기부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타 지역에 비해 개인기부 비율이 월등히 높은 제주지역을 대상으로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에 있어 문화성향을 독립변인으로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제주도내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기부경험자(n=530명)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응답자의 문화성향, 기부지속성의 인식수준과 문화성향이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수직적 개인주의와 수평적 집단주의는 기부 특성에 따른 문화성향의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수평적 개인주의의 경우, 정기적 기부여부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수직적 집단주의의 경우, 월평균 기부액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7만 원 이상 기부자가 7만원 미만 기부자에 비해 기부지속성, 기부횟수, 기부금액, 기부지속의향, 기부추천의향 모두 높게 나타났다. 셋째, 문화성향이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집단주의에 비해 개인주의 성향일수록 기부횟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집단주의에 비해 개인주의 성향일수록 기부금액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주의 성향일수록 기부지속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continuity of individual donations by utilizing the cultural inclination that can represent local society`s unique lifestyle and culture.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fact that individual donations can be influenced by not only individual factors such as donation intention and donation motives, but also by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including cultural inclin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general residents of Jeju, who are at least 18 years of age and who have donated before. I distributed 550 surve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530 data, except for 20 unanswered and incomplete questionnai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cultural inclination factors, vertical individualism and horizontal individualism have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s on donation continuity. This fact does not fit preceding research that the stronger the collectivist tendency, the higher the chance of altruistic expression. And, if donations are altruistic sharing to social value, collectivist tendency highly influences the continuity of donations. It can be said that the result is caused by Jeju`s own unique cultural inclination, but this may be the point that needs further investig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other factor that can explain cultural inclination and donation continuity. This research verified that the higher the vertical individualism and horizontal individualism, the higher the donation continuity. This result suggests that cultural inclination is the influencing factor on donation continuity. Especially, as it is confirmed that cultural inclination is a useful variable in explaining donation continuity, individual cultural inclin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encourage donation continuity.

      • KCI등재

        사회적 자본이 기부지속성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영숙(Seo young suk),진관훈(Jin gwan hu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7

        이 논문은 사회적 자본이 기부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것이다. 사회적 자본과 기부지속성의 인식 수준을 측정하고 사회적 자본이 기부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조사대상을 제주지역 거주 만 18세 이상 기부 경험이 있는 도민으로 한정하여 제주시와 서귀포시 인구분포를 고려한 후 무작위 추출방법으로 제주도민 57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하였고 주요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였다. 조사 결과, 신뢰는 기부횟수, 기부금액, 기부지속 의향, 기부추천 의향, 기부지속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영향력은 사회참여 다음이다. 여성, 전문관리직, 연령이 높을수록 사회규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자본의 인지적 측면인 규범 준수는 호혜성에 기반한 사회규범이어야 하며 호혜성에 기초한 사회규범은 구성원 간 책임의식을 증진하여 사회협력 수준을 높인다. 사회참여가 높을수록 기부지속성(기부횟수, 기부금액, 기부지속 의향, 기부추천 의향)이 높아진다. 연령이 높을수록, 관리직일수록, 종교가 있을수록, 정기적으로 기부할수록 네트워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luence factors on the continuity of individual donations utilizing social capital. In others words, this study i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fact that individual donations can be influenced by not only individual factors such as donation intention and donation intention and donation motives but also intangible assets. And based on Putnam’s social capital index and Esser’s social capital structure chart, this study subdivided measurement indicators of social capital as trust, social norms, social participation and network, which have showed in various preceding research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 more the age, education level and monthly average income are higher, and one has Confucian belief and donates regularly, the higher their continuity of donations. Second, among the factors of social capital, trust and social participation are turned out to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 on the continuity of donations. Namely, it turned out that the more the trust level and social participation level are high, the higher the frequency of donations, amount of donations, intention of donation continuity, intention of donations recommendation and donations continuity. Based on those positi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 practical strategies encouraging donations continuity with social capital. First, as preceding researchers lack social capital’s various organizing factors as influencing factors on donation continuity and most of the researchers only used donor’s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credibility of donating organization as variables, this result can offer a new perspective to related researches. Second, through this research, it verified that the more trust and social participation rate are high, the higher the donations continuity. This results suggests that social capital’s sub-components are the influencing factors on donations continuity.

      • KCI등재

        제주지역 기부자의 기부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서영숙(Young Suk Seo) 제주학회 2013 濟州島硏究 Vol.40 No.-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기부자들의 기부 인식과 태도에 대한 실태 조사, 분석과 개인 기부문화 확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부활성화를 위한 주요 방안들을 제시하면, 우선 대부분의 기부자들은 기부자 혜택과 인정을 중요시 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기부를 당연하게 여길 것이 아니라 이들 의 기부금이 지역사회와 기관 발전에 크게 기여한다는 것을 확실히 인식하며 존중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기부를 받은 기관과 단체는 투명한 기금 운용, 충실한 사업이행,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하여 신뢰 회복과 양질의 관계 구축을 통해 지속적으로 기부자와 소통하여야 한다. 셋째, 기부의 공식화와 제도화를 위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기부 유치와 효율적인 모금을 위한 기부 프로그램을 제도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관계형성에 기반한 운영으로 기부자들의 정보에 기반한 점근 과 함께 기부자들이 욕구를 만족시키고 모금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장기 적 관계형성이 필수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onators perception of and attitude toward donation, their satisfaction with donation and their trust of donatory as well as the differences of such factor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and examine the effects of such factors on their intention for donation, assuming that those who had ever donated to some non-profit organization would be more likely to donate big amount of money to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donators perception of and attitudes toward donation, it was found that they did not perceive that donations regardless of amount of money were not active across the society but perceived that they themselves were more concerned about donations or that trey therrmselves would be nure likely to donate in the futur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satisfaction with donation, it was fot.md that trey were nure or less satisfied with donation, which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rreasures to enhan:e donators satisfaction with their donation. Third, as a consequence of analyzing donators trust of donatory, it was found that they trusted. the donatory more than normally, while such differed significantly depeniing on such dermgraphic variables as age, academic background, religious status, monthly income and annual amount of donation Give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reform measures for activation of donation were put forwards; First, donatory should be more transparent, professional and trustworthy. Second, donations of high amount of money should be induced fomally and systemtically. Third, the donation system should be operated based on human relationship. Fourth, big donators should be recognized socially. Lastly, it is deemed necessary to publicize big donations to the public to enhance the social recognition of big donations and at the same time, justify the big fund raising.

      • KCI등재

        매개모델을 이용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영향요인

        김순구(Kim, Soon-Gu),서영숙(Seo, Young-Su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자기효능감과 임상수행능력 간에 인과관계를 알아보고, 감성지능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는 3개 대학교의 간호대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10월 14일부터 11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18.0 program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매개효과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상자의 감성지능, 자기효능감과 임상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감성지능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효과가 나타났으며, 감성지능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대상자의 감성지능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as well as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clinical competence with the mediation of self-efficacy. The participants were 182 nursing student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from October 14, to November 10, 2014.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ediation pathway with the SPSS 21.0 and AMOS 18.0 progra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correlation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clinical competence. Seco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clinical competence showed direct and indirect associations. Emotional intelligence was found to influence the self-efficacy and clinical competence directly, and self-efficacy influenced the clinical competence directly. Mediation analyses indicat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influences the self-efficacy.

      • KCI등재

        병원간호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미치는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김순구(Kim, Soon-Gu),서영숙(Seo, Young-Su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2

        본 연구는 간호단위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사회적 자본, 조직몰입 간의 인과관계와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병원 간호사 24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보고형 설문지로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와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간호단위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은 사회 적 자본,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자본은 간호단위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관계에 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에 간호사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단위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고려한 인적자원 관리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s nurse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244 nurses working in a general hospital. The data was collected with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nalyzed using the SPSS/WIN 21.0 and Amos 18.0. A posi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ocial capital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a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increas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ing between the head nurs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ocial capital is recommended.

      • KCI등재

        사회적 자본과 문화성향이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진관훈 ( Gwan Hun Jin ),서영숙 ( Young Suk Seo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6 사회복지정책 Vol.43 No.2

        본 논문은 사회적 자본과 문화성향을 독립변인으로 사용하여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회적 자본과 기부지속성의 관계에서 문화성향이 매개효과 역할을 실증 분석한 연구이다. 기부가 지속되려면 지역사회 또는 기부대상에 대한 신뢰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신뢰는 최근 지역사회의 갈등을 해소하고, 참여와 협력을 증진시키는 사회적 자본의 대표 구성요소이다. 또한 기부와 같은 윤리적 의사결정은 개인중심 성향이나 집단중심 성향과 같은 개인의 문화성향과 관계가 있다. 본 연구는 제주도내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기부경험자(n=53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사회적 자본과 문화성향이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월평균 기부액이 높을수록, 신뢰수준과 사회참여 수준이 높을수록, 개인주의 성향일수록 기부지속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자본과 기부지속성의 관계에서 문화성향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기부지속성 확대 및 기부문화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기부대상기관의 높은 기관신뢰도뿐 아니라 개인 신뢰 및 공적 신뢰가 높을수록 기부지속성이 강화될 수 있다. 따라서 기부기관 신뢰도 유지전략과 함께 개인 간의 신뢰도 제고를 포함하여 공공기관의 신뢰를 높이고, 정책결정과정의 투명성을 확대하는 등 신뢰분위기 확산이 기부를 지속할 수 있게 하는 중요요소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사회참여가 높을수록 기부지속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력도 다른 요인들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참여는 봉사단체 및 시민단체 참여뿐 아니라 지역행사 및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간담회나 토론회 참여 등을 포함한 척도로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 및 적극성이 높을수록 기부지속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luencing factors on the continuity of individual donations by utilizing the social capital and the cultural inclination that can represent local society’s unique life style and culture.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fact that individual donations can be influenced by not only individual factors such as donation intention and donation motives but also by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including local society’s trust, norms and participation or cultural inclin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general residents of Jeju who are at least 18 years dg age and who have donated before. I distributed 550 surve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540 data expect for 10 unanswered and incomplete questionnai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analyzing results of social capital and cultural inclination on donations continuity, those two factors boost explanation power of donations continuity 2.5%-4.2% than analyzing only with social capital. Expecially, they increase the explanation power of donations continuity the highest. It confirms that cultural inclination is a useful variable in explaining donations continuity. Based on these positi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 practical strategies encouraging donations with social capital and cultural inclination’s points of view. Through this research, it verified that the more trust and social participation rate, vertical individualism and horizontal individualism ate high, the higher the donations continuity. This results suggests that social capital’s sub-components and cultural inclination are the influencing factors on donations continuity. Expecially, as it is confirmed that cultural inclination is a useful variable in explanation donations continuity, individual cultural inclin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encourage donations continu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