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기포탑에서 작은기포와 큰기포의 크기 구별

        서명재 ( Myung Jae Seo ),진해룡 ( Hae Ryong Jin ),임대호 ( Dae Ho Lim ),임호 ( Ho Lim ),강용 ( Yong Kang ),전기원 ( Ki Won Jun ) 한국화학공학회 2012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0 No.2

        Size verification of small and large bubbles in a bubble column was investigated by employing the dynamic gas disengagement (DGD) method and dual electrical resistivity probe (DRP) method, simultancously. The holdups of large and small bubbles in the bubble column in a given operating condition were obtained by means of the DGD method by measuring the pressure drop variation in the column with a variation of time after stopping the gas input into the column. The size and frequency of bubbles were measured by the DRP method in the same operating condition, from which the bubble holdup of each range of size was obtained. The verification of size in determining the large or small bubbles was decided by comparing the holdups of large or small bubbles measured by the DGD method with that measured by the DRP method. Filtered compressed air and tap water were used as a gas and a continuous liquid medium. The diameter and height of the bubble column were 0.102 m and 1.5 m, respectively. The demarcation size between the large and the small bubbles in the bubble column was 4.0~5.0 mm; the demarcation size was about 5.0 mm when the gas velocity was in the relatively low range, but about 4.0 mm when the gas velocity was in the relatively high range, within this experimental conditions.

      • 도핑 농도에 따른 나노선 ISFET 센서의 잡음 특성

        조현수(Hyeonsu Cho),정우주(Wooju Jeong),최준용(Joonyoung Choi),서명해(Myung-Hae Seo),윤솔(Sol Yoon),이승호(Seung-Ho Lee),임태욱(Taiuk Rim),백창기(Chang-Ki Baek) 대한전자공학회 2016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6

        We compare sensing performances of the inversion mode (IM) and the depletion mode (DM) ion sensitive field effect transistors (ISFETs) in terms of pH sensitivity and signal-to-noise ratio (SNR). The low frequency noise characteristic is measured to calculate SNR. The IM ISFETs show higher sensitivity and SNR, which are highly desirable properties in practical use, than the DM ISFETs.

      • KCI등재

        헤어리베치 종자의 침지처리와 종피 파상 및 황산처리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

        김민태(Min-Tae Kim),이용환(Yong-Hwan Lee),전원태(Weon-Tai Jeon),김숙진(Sook Jin Kim),윤다해(Da-Hae Yun),구자환(Ja-Hwan Ku),송하나(Hana Song),이현복(Hyeon Bok Lee),서명철(Myung Chul Seo),강항원(Hang-Won Kang) 한국토양비료학회 2013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6 No.1

        헤어리베치와 같은 두과 녹비작물은 종피가 딱딱하여 발아율 감소의 원인이 되는 경실률이 환경 및 저장조건에 따라 10∼40%나 된다. 따라서 헤어리베치의 종자 발아율을 증진하기 위하여 침수처리, 종피파상 및 황산처리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헤어리베치 종자를 증류수에 1∼9시간까지 침지 시킨 후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5시간 침지조건에서 초기발아가 가장 좋았으며 발아율에는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무침지에 비하여 9%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 조건에 따른 발아율의 차이는 83.0∼85.7%로 큰 차이는 없었지만 초기 발아 속도는 10℃의 5%에 비하여 20℃ 31.7%, 30℃ 48.3%로 발아율의 증가를 보였다. 종피파상 (칼집처리) 시험 시 무처리 헤어리베치 종자의 발아율은 65%였고 파상처리 종자의 발아율은 97%로 헤어리베치 종피의 파상처리는 종자의 발아율을 상승시키는데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리베치 종자를 10분, 20분 동안 황산처리된 종자의 발아율은 각각 76.7%, 74.7%를 보였으며 30분 동안 처리된 종자는 96.0%의 발아율로 가장 높았다. Seed coat of hairy vetch is very thick and hard, and difficult to absorb water during germination. It requires much time that cotyledon comes out from seed coat. Therefore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crease the germination rate by enhancing water absorption through water-soaking of seed, chemical scarification by sulfuric acid, and mechanical scarification on seed coat. Water-soaking for 5 hours seemed to be highly effective in enhancing germination rate. Although not significant, water-soaking resulted in increase of germination rate by 9%. Effect of soaking temperature was not significant, but early germination rate was increased to be 5.0%, 31.7% and 48.3% at 10℃, 20℃ and 30℃, respectively. Mechanical scarification of seed coat led to a germination rate of 97% whereas intact seed showed that of 65%. Chemical scarification by sulfuric acid for 10min, 20min and 30min resulted in a germination rate of 76.7%, 74.7% and 96.0% respectively. It is clear that scarification increased germination rate.

      • KCI등재후보

        고콜레스테롤혈증 치료에서 심바스타틴 10mg 과 20mg 사용시의 효능 및 안전성 비교 연구

        이재건(Jae Gun Lee),김화민(Hwa Min Kim),이현희(Hyun Hee Lee),최혜진(Hae Jin Choi),박창하(Chang Ha Park),서명덕(Myung Deok Seo),정재천(Jae Cheon Jeong),조한균(Han Kyun Cho),최성식(Sung Sik Choi),이지현(Ji Hyun Lee),김석연(Seok Yeon Ki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3 No.1

        목적 : 지방공사 강남병원 순환기 내과에서 추적 검사 받는 고지혈증 환자 106명을 대상으로, 심바스타틴 상용량인 10 mg과 20 mg 사용시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부작용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 NCEP guideline에 따라 약물 치료가 필요한 환자 중 저비중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가 130 mg/dL 이상이면서 중성 지방 농도는 400 mg/dL 이하인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를 대상으로 심바스타틴 사용량을 10 mg 군과 20 mg 군으로 무작위적으로 나누어 처방한 후 6개월 후의 혈중 지질 농도를 분석하였다. 환자들은 매월 부작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정기적 외래 검진을 받았으며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나거나 합병증이 나타난 경우 치료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1997년 4월부터 2000년 11월까지의 115명 중 탈락되지 않은 106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남녀비는 40:66이었고, 전체 대상군 중 55%에서 고혈압이 있었고, 9%에서 관상동맥 질환이 있었으며, 13%에서 당뇨병이 존재하였다. 심바스타틴 투여 전 평균 지질 농도는 258-201-50-167 (총 콜레스테롤-TG- HDL-LDL)이었다. 저비중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는 20 mg 군에서 34.9 mg/dL, 10 mg 군에서는 20.8 mg/dL 감소하였고, 20 mg 군이 10 mg 군에 비해 저비중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를 의미 있게 더 감소시켰다.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20 mg 군에서 22.7 mg/dL, 10 mg 군에서 21.7 mg/dL 감소하였고, 심바스타틴 복용 용량에 따른 감소 효과의 차이는 없었다. 심바스타틴 용량에 따른 NCEP guideline (ATP III)의 저비중 지단백 콜레스테롤 목표 농도 달성 정도를 조사한 결과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 인자가 0∼1개인 저위험군에서는 20 mg 군이 80%, 10 mg 군이 81%에서 목표 농도가 되었고, 고위험군에서는 20 mg 군 50%, 10 mg 군 35%가 목표 농도에 도달하여 저위험군에 비해 치료 성공률이 낮았다. 중성 지방 농도는 10 mg 군과 20 mg 군 모두에서 의미있게 감소하지 않았으나 200 mg/dL 이상의 고중성지방군에서는 심바스타틴 20 mg 사용 군에서 22.3 mg/dL, 10 mg 군에서 42.7 mg/dL 감소하여 10 mg 사용 군에서 20 mg 사용 군에 비해 의미 있게 중성 지방을 감소시켰다. 고비중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심바스타틴 복용 전 농도가 40 mg/dL 미만인 경우에는 20 mg 복용 군에서 11.5 mg/dL, 10 mg 복용 군에서 8.3 mg/dL가 증가하였다. 6개월간의 심바스타틴 치료를 하는 동안에 부작용 때문에 약물 복용을 중단한 경우는 전신 근육통이 심해 중단한 것 외에는 없었고, 심각한 부작용을 가진 환자는 없었다. 연구 대상 환자들에 대한 약물 용량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10 mg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결론: 심바스타틴은 고콜레스테롤혈증 한국인에서 10 mg과 20 mg 사용시 모두 지질 농도를 개선하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관상동맥성 심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에서는 NCEP guideline을 만족시키는데 효과적이지 못했다. 환자들의 선호도를 고려할 때 고위험군외에는 초기 치료 용량을 10 mg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Elevated serum cholesterol level is a major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Simvastatin is effective for treating hypercholesterolemia.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efficacy and safety of 6-month therapy with simvastatin with relatively low dose, 10 mg and 20 mg/day. Methods: One hundred six patients with hyperlipidemia (triglycerides<400 mg/d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LDL) cholesterol>130 mg/dL) were randomized to receive either simvastatin 10 mg/day (n=43) or 20 mg/day (n=63). Efficacy was determined by measuring changes from baseline in lipid parameters including LDL 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high-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Results: Of the one hundred six patients randomized to treatment, forty patients were men and sixty-six patients were women. Fifty-five percent of patients had hypertension, nine percent coronary artery disease and thirteen percent type 2 diabetes mellitus. Mean baseline lipid concentrations were 258 (total cholesterol), 201 (triglycerides), 50 (HDL) and 167 mg/dL (LDL). Both 10 mg and 20 mg of simvastatin produ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measured serum lipid parameters (p<0.001). Compared with 10 mg of simvastatin, 20 mg of simvastatin produced significantly greater (p<0.001) reductions from baseline LDL cholesterol (34.9 mg/dL vs 20.8 mg/dL). But 10 mg of simvastatin was more effective than 20 mg of simvastatin at reducing triglycerides level (42.7 mg/dL vs 22.3 mg/d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doses at improving total cholesterol and HDL cholesterol level. Percentage of patients at goal LDL as recommended by NCEP guideline (ATP III) were 81% and 80% for patients in low risk but 35% and 50% for patients in coronary heart disease and its risk equivalents, taking 10 mg and 20 mg/day respectively. Both doses were well tolerated. Only 3 patients (4.8%) in the 20 mg group and one patient (2.3%) in the 10 mg group experienced mild adverse events. Most patients contacted by telephone wanted to take 10 mg of simvastatin. Conclusion: In patients with hypercholesterolemia in Korea, both doses (10 mg, 20 mg) of simvastatin were effective in improving serum lipid parameters and well-tolerated. We recommend, considering patients' preference, that 10 mg of simvastatin be intial dosage and in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higher doses than 20 mg should be prescribed to allow most patients to reach their NCEP target levels.(Korean J Med 63:46-53, 200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