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Lithium disilicate press ingot을 이용한 non-prep laminate veneer의 제작

        서동희,Seo, donghee 대한심미치과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Esthetic Dentistr Vol.29 No.1

        무삭제 라미네이트에서 사용하는 여러가지 방법 중에 press ingot을 이용한 제작 방법에 대해 기술했다. 무삭제 라미네이트는 제작 방법 및 보철물의 피개 범위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결과에 큰 영향을 끼친다. 피개 범위와 제작 방법에 따른 장단점을 미리 숙지하고 선택함으로써 효과적이고 보다 나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 구강내 상황에 따라 선별적으로 잘 적용했을 때 치아를 삭제하지 않고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를 낼 수 있는 선택지 중 하나라 생각한다. In recent years, as a burden on tooth preparationduring the processing the laminate veneer treatments to enhance aesthetics, the interests and demands for non-prep laminate veneers are increasing which do not require teeth preparation. Although there are clear limitationsbecause the restorations are fabricated without tooth preparation, there is a clear advantage of non-invasivehealthy teeth. When manufacturing a non-prep laminate veneer, an effective design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aesthetic requirements and intraoral condition because the margin of restorationsshould be determined on the natural tooth surface that isnot prepared.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presentthe three different designsaccording to the range which teeth are covered, an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m. Non-prep laminate veneer introduced in this article was fabricated using Lithium disilicate press ingot.

      • KCI등재후보

        자아존중감 및 급여수준 평가가 국민기초생활 보장 수급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동희(Seo, Dong Hee),전희정(Jeon, Hee Jeong) 한국공공사회학회 2018 공공사회연구 Vol.8 No.4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자아존중감과 2015년에 개편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맞춤형 급여수준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독립변수로 선정하여 수급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은 비수급자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기초생활보장 급여수준평가는 통합급여일 때보다 맞춤형 급여로 개편된 이후가 더 높았으며, 맞춤형 급여 중에서는 의료급여수준에 대한 평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주거급여수준평가, 생계급여수준평가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생계급여수준과 의료급여수준에 대한 평가가 각각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상대적으로 더 많은 문제와 욕구를 가지고 있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들의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which affects the life-satisfaction of the beneficiarie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with reference to the Korean Welfare Panel Data. Especially, it verified the influence by selecting the following as independent variables; self-esteem and the subjective assessment on the customized benefit level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reformed in 2015.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life-satisfaction level and the self-esteem of the beneficiarie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were found to be lower than non-beneficiaries. In the assessment of the extent of the benefits from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the customized benefit reformed in 2015 was higher than the integrated benefit. Among the customized benefit, the medical benefit was the highest of all. The housing benefit was the second highest. Finally, the livelihood benefit was the lowest. Upon examining the factors which affects life-satisfaction of the beneficiarie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it was proved that the higher self-esteem they have and the more satisfied with living and medical benefits they are, their degree of life-satisfaction becomes higher. On the basis of analysis results, this study is to devise the measures aiming to ameliorate the life-satisfaction level of the beneficiaries, who relatively have more problems and desires.

      • KCI등재

        연극 경험의 치유적 가능성 -The Bread & Puppet Theater의 연극 작업을 중심으로

        서동희 ( Seo Dong H Ee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6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6

        이 글에서는 일반 대중에게 `보는 연극`이 아닌 `하는 연극`을 되돌려줌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대중극` 작업을 50년 넘게 하고 있는 브레드 앤 퍼펫 시어터(the Bread & Puppet Theater, 빵과 인형 극단) 연극작업의 치유적 특징을 다음 여섯 가지 `순수한 놀이`, `가난한 연극`, `겸손한 연출가`, `비재현적 연기술`, `종교적 의식`, `카니발`로 나누어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연극 작업이 단순히 예술적 차원을 넘어 보다 자유롭고 건강한 삶을 위한 수련이자 치유적 삶의 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예술과 치유에 대한 고민, 인간성 회복과 공동체 사회를 위한 연극인과 연극치료사들의 실천적인 노력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브레드 앤 퍼펫 시어터의 연극 작업의 치유적 특징에 대한 고찰은 우리에게 치유적인 연극 작업과 경험, 공연에 대한 어떤 비전과 영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ive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healing artworks of The Bread and Puppet Theater, which, up to now since its establishment in New York in 1963, refuses to be subordinated to the American cultural industry and the academism of academic circles and has been producing and performing `popular` puppet plays in the form of primitive composite arts in autonomous and independent ways through the people`s collaboration system. The healing characteristics of the theater work will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six categories : `Real play`, `Poor theater`, `Humble director`, `Unrepresentative puppetry`, `Religious ritual`, `Carnival`. Through this, it will be emphasized that the theater work can be very important not only for the artistic dimension, but also for self-training and healing life for more free and healthy life. At present, Korea is getting more and more active efforts of Artists and Drama therapists for anxiety about healing, restoration of humanity and community society. At this point, the review of the healing characteristics of the theater work of Bread and Puppet Theater is expected to provide us with some vision and inspiration for healing theater work, experience, and performance.

      • 근대 관객의 ‘아브젝시옹(abjection)’ - 대중은 무엇을 추방시키고 ‘근대관객’이 되었나-

        서동희 ( Seo Dong-hui ) 한양대학교 공연예술연구소 2015 공연예술연구 Vol.1 No.-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에 따르면 인간은 상징계가 요구하는 적절한 주체가 되기 위해 이질적이고 위협적인 것들을 거부, 배제, 추방한다. 그는 추방된 것을 ‘아브젝트’(abject), 추방시키는 심리적 현상을 ‘아브젝시옹’(abjection)이라고 개념화했다. 본 연구에서는 크리스테바의 아브젝트, 아브젝시옹의 개념을 빌려 전통연희에서 근대 연극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관객이 근대 관객이 되기 위해 아브젝시옹한 다석 가지 차원의 아브젝트를 살펴보았다. 근대 연극과 관객의 아브젝트에는 ‘민중 언어’, ‘제의적 요소’. ‘술, 불, 흙, 피의 물질들’, ‘비천한 인간’, ‘무한한 시공간’ 등이 있다. 근대 이후 공연 텍스트 담당 층이 민중에서 엘리트 지식인으로 바뀌면서 연극 언어는 음담패설과 욕설이 난무한 민중의 언어에서 문학적이로 진지한 언어로 바뀌었고 계목주의에 의해 과학적 사고 와 사실주의가 잔파되면서 비과학적이고 비사실적인 공연 오브제들이 배제되었다. 또한 현대식 건물의 프로시니엄 무대에서 공연이 행해지면서 실내 극장을 위협하는 ‘술, 피, 불, 흙’과 같은 물질은 ‘위험물질’로 낙인찍혀 완전히 차단되었다. 이러한 실내 극장의 정착은 공연 관람에서 가난하고 비천한 인간을 소외시켰으며 근대적 시공간의 확립은 시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놀던 전통 연희 문화를 완전히 사라지게 만들었다. 본 논문에서 근대 연극에 의해 추방된 아브젝트를 새삼스럽게 상기한 것은 아브젝트는 ‘영원히 지워지지 않는 흔적’이기 때문이다. 근대 연극의 ‘아브젝트’에 대한 기억이 오늘날 경제적, 정신적 불황을 겪고 있는 연극에 어떤 영감과 반성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According to Julia Kristeva, human-beings tend to expel alien and threatening things to become appropriate subject which the Symbolic demands. She called the expelled things “abject”, and its psychological phenomenon “abjection”. This study is about abjects in Korean modern theater and audience. There are folk language, ritual elements, alcoholic drink , fire, blood, earth, humble people, limitless time and space. Since modern age, performance subject have been substituted intellectuals for the people. As the result, people’s rank obscenity was expelled. Instead theater was used refined language and literary drama text. With the emergence of Enlightenment, superstitious objects have been banished in performing arts. Open stage being replaced for indoor theater, alcoholic drink, blood, fire, soil was branded as dangerous materials and driven out. Also shamans and the poor were forbidden to enter the theater. Establishment of modern time and space restricted the termless time and space of the traditional performances Recalling these abjects of modern audience and theater is meaningful because the abjects are ineffaceable traces and they will give us creative inspiration and self-examination.

      • KCI등재후보

        외국인 고급인력의 국내 거주경험의 어려움에 관한 질적(CQR) 연구

        서동희(Donghee Seo),전복선(Boksun Jun) 다문화건강학회 2021 다문화건강학회지 Vol.11 No.1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practical difficulties high-skilled foreign workers experience in Korea to utilize high-skilled foreign workers better and mitigate the labor shortages in Korea due to low birth rates. Method: Ten foreigners, who worked in Korea after receiving their masters or Ph.D. degrees,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and online surveys using a consensus qualitative analysis method. Results: The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answers according to 13 areas in three categories and 28 corresponding contents. The psychological/ emotional category areas were relationship difficulties, support system, stress relief, and psychological stability. The areas of the social/economic experience category were discrimination, language, economic activity, cultural differences, recommending a Korean workplace to an acquaintance, and desire to move abroad. The areas of the institutional experience category were visa, legal system, and Korea s lack of development. Conclusion: According to this study, systematic support is required for high skilled foreign workers at the national, corporate, and community level, accommodative attitude towards cultural diversity of the state and enterprises, improved workplace and social environment, immigration system for the settlement of high skilled foreigner workers, and the need for housing suppor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