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여성의 우울 감소를 위한 내적가족체계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변외진,김춘경 한국상담학회 2007 상담학연구 Vol.8 No.4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nal family systems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on decreasing the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The program of internal family systems therapy was developed to be based on the model of internal family system introduced by Richard Schwartz in the middle of 1980s. And also the purpose of this program is to help the middle aged women to understand their own internal family system and to decrease their depression by making internal system parts to be harmonized and balanced. 31 middle-aged women ranged in age from 40 to 60. Two groups were identified as equivalents for the study in the pre-test. The pre-test, the post-test and the follow-up test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The participants who were absent more than three times in the program were excluded from the post-test and follow-up test. Eventually, the data in 31 persons(15 for the internal family systems therapy, 16 for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simple main effect, post-hoc t-test,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internal family systems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significant effects on decreasing the depression. There was a large decrease of the depression in the intervention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t post treatment and follow-up after 1 month which indicated the continuity of intervention effect. However,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changes according to the time. Key words : middle-aged women, depression, internal family systems, internal family systems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우울 감소를 위한 내적가족체계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해 보는데 목적을 둔다. 내적가족체계치료 프로그램은 1980년대 Richard Schwartz에 의해 소개된 내적가족체계 모델에 기초하여 개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목적은 중년여성들이 자신의 내적가족체계를 이해하도록 하고, 내적체계부분들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그들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통제집단 실험설계를 활용하였으며, 참여자는 40-60세의 중년여성 31명(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6명)이었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방법으로는 집단(실험, 통제) × 검사 실시시기(사전, 사후, 추후) 반복측정 분산분석, 단순주효과 분석, 단순대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내적가족체계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의 우울 감소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가족체계치료 집단에서의 우울수준은 프로그램 종료 후에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한 달 뒤의 추후검사에서도 우울 감소에 대한 효과의 지속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제집단에서는 사전, 사후, 추후 검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 중년여성, 우울, 내적가족체계, 내적가족체계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 KCI등재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에 관련된 심리사회적 요인 분석

        변외진,김춘경 한국여성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2 No.3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 위기감, 자아분화, 사회적 지지, 내적가족체계(Internal Family Systems; IFS) 등 심리사회적 요인의 영향력을 분석하여,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에 고려해야만 하는 주요요인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0-60세 여성 755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중다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에 대한 주요예측변인으로는 IFS, 사회적 지지, 자아분화, 우울, 위기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년여성의 우울, 위기감, 자아분화, 사회적 지지, IFS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직접,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우울, 자아분화, 사회적 지지, IFS가 자아정체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사회적 지지와 IFS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IFS는 상호작용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위기감은 자아정체감에 유의한 직접적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에서 중년여성의 사회적 지지를 증가시키고 그들의 내적가족체계를 변화시킴으로써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은 증진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의 집행기능곤란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미디어기기 중독의 차이 분석: 교사관계와 그릿, 부모 Type A 행동유형의 영향력 검증

        홍기은,변외진,허무녕,장효은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4 초등상담연구 Vol.23 No.1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y latent profi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to identify differences in media device addiction by the profile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teacher, GRIT and parents’ type A behavior as the predictors.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1289 children and their parents who participated in 13th wave of Panel Study of Korea Childre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LP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MLR).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LPA, three latent profiles were found, called ‘low level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group’, ‘mid level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group’ and ‘high level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group’.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dia device addiction by these latent profiles. ‘High level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group’ showed the highest media device addiction and ‘low level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group’ showed the lowest. Third,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teacher, GRIT, parents’ type A behavior were significant as the predictors. Our findings provide the new approach to help children to get lower media device addiction and to reduce their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업무기력 잠재집단에 따른 진로적응력의 차이: 예측요인의 영향력 검증

        박지현,유지영,변외진,허무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업무기력에 따른 잠재집단을 분류하여 잠재집단에 따른 진로적응력의 차이를 파악하고 잠재집단의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서 그릿과 친구관계, 교사관계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으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의 중학교 1학년 중 4차년도 조사를 사용하였으며, 해당 조사에 참여한 고등학생 2265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23.0과 Mplus 8.8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차이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학업무기력에 대한 잠재집단은 총 3개로 분류되었으며, 각각 ‘학업무기력저수준 집단’과 ‘학업무기력 중수준 집단’, ‘학업무기력 고수준 집단’으로 명명되었다. 둘째,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은 학업무기력잠재집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무기력이 낮은 집단에 속할수록 진로적응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학업무기력에 대한 잠재집단의 분류에 그릿과 친구관계, 교사관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릿과 교사관계는 ‘학업무기력 중수준 집단’에, 그릿과 친구관계는 ‘학업무기력 고수준 집단’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학업무기력저수준 집단’에 속할 확률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업무기력을 사람중심적 접근의 하나인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잠재집단을 분류하여 잠재집단에따른 진로적응력의 차이를 살펴봄을 통해 학업무기력과 진로적응력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학업무기력의 수준별로 다른 개입을제공해주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향상 및 학업무기력 해소를 위한개입에 대한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atent profiles of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helplessness and differences in career adaptability, and to explore the effects of GRIT, relationship with friend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 ad the predictors. Methods Questionnaire data from the 4th wave of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latent profiles, latent profile analysis(LPA), Chi-square test,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MLR) were used. Results First, as the result of LPA, three latent profiles were found called low level of academic helplessness group, mid level of academic helplessness group, and high level of academic helplessness group. Second, there was siginificant difference in the career adatability depending on the latent profiles. Low level of academic helplessness group showed the highest career adatability and Low level of academic helplessness group showed the lowest career adatability. Third, as the result of MLR, GRIT, relationship with friend,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 had significant effects as the predictors, but their influence differed by the latent profil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areer adaptability is different by latent profiles of academic helplessness. and different interventions are effective by the latent profiles. Our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to alleviate academic helplessness and increase career adaptability in high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