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Involvement in Peripheral T-Cell Lymphoma: A Case Report

        변승희,김다미,이인호,송창준,김경환,최송이 대한영상의학회 2021 대한영상의학회지 Vol.82 No.1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T-cell lymphoma (PCNSTL) is an extremely rare type of brain tumor. There are only few reports on the imaging findings of patients with PCNSTL. Herein, we report the imaging findings of a patient with peripheral T-cell lymphoma-not otherwise specified that presented with numerous small nodular and patchy strongly enhancing lesions on MRI.

      • KCI등재

        Diffuse Sclerosing Variant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in a Child: A Case Report

        변승희,유선경,강성수,신경숙,이정은 대한영상의학회 2020 대한영상의학회지 Vol.81 No.5

        The diffuse sclerosing variant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DSPTC) is uncommon. Herein, we report a rare case of DSPTC in a 9-year-old girl who initially presented with a painless diffuse goiter. Thyroid peroxidase antibody testing yielded positive results, and the initial clinical diagnosis was Hashimoto’s thyroiditis. However, thyroid ultrasonography revealed characteristic findings of DSPTC, which was confirmed through the postoperative histopathological diagnosis. Although thyroid cancers are rare in the pediatric population, DSPTC should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goiter in these patients. Moreover, ultrasonography may prevent a diagnostic delay and facilitate the detection of a concomitant malignancy.

      • 고령층 및 저소득층을 위한 마을개선 디자인에 대한 연구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 "장수마을"을 배경으로-

        변승희(주저자) ( Seung Hee Byun ),백지원(주저자) ( Ji Won Baik ),안시현(주저자) ( Si Hyun Ahn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빠른 고령화로 인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고령층 인구와 저소득층 인구가 밀집한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에 위치한 ‘장수 마을’을 환경 디자인적 관점으로 Redesign을 하고, 마을 자체의 브랜드를 구축하는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대상은 2015년 3월 ~ 6월 15주간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공간환경스튜디오VII>수업에서 진행된 수업의 결과물이로서 10개 팀 중 1개팀의 작업물을 정리한 것이다. 본 연구는 방문객과 마을 거주민이 즐거운 공생을 할 수 있는 환경 재건을 목표로 하였다. 저소득층 인구 비율이 많은 마을의 자립을 위해 필요한 시설들을 제안하였으며, 방문객 역시 이용 가능한 공간으로 환경 개선을 제안하였다. 또한 마을 로고와 로고타입, 색을 제작하여 마을자체 브랜드를 제안해주었다. 이는 아이디어와 디자인, 마케팅이 융합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향후 고령층과 저소득층을 위한 마을 환경개선 디자인 매뉴얼 개발에 있어서 그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Longevity Village’ located in Samseon-Dong, Seongbuk-gu, Seoul Metropolitan City, which was created by redesigning an area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low-income families and the elderly population from the environmental design perspective, because a rapidly increasing aging population has emerged as a serious social issue as Korea is entering an era of aging societ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ts own brand ‘Longevity Villag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5 weeks from March to June 2015 as an assignment of the <Space Environment Studio VII> subject for students of Environmental Design Dept.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the study consists of a summary of the assignment of one team selected among 10 teams. This study amis to present a way of refurbish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symbiosis between visitors and village residents. This study proposed facilities necessary to help the village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low-income families to become self-reliant, in addition to environmental renovation methods to make the facilities also accessible to visitors. It also suggested the village’s brand by producing village logos, logo types and colors. These are the results of ideas, designs and marketing. Lastly, this study hope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basic data when developing a design manual for village renovation for the elderly citizens and low-income families.

      • "Absolt Vodka" 플래그쉽 스토어 디자인에 관한 연구 -증류 장치 컨셉 디자인 중심으로-

        변승희 ( Seung Hui Byoen ),신윤화 ( Yun Hwa Shin ),유혜리 ( Hye Lee Yu ),이진민 ( Jin Min Rhie ),이옥재 ( Ok Jae Lee ),정승영 ( Seung Young Ju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4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18 No.-

        본 연구는 주류 브랜드 Absolut Vodka (앱솔루트 보트카)의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에 대한 기본 계획안을 위한 연구이다. 브랜드 스페이스는 브랜드의 가치와 속성에 따라 단계별 공간 마케팅 전략을 세워야 한다. 앱솔루트 보드카의 경우 국내의 브랜드 인지도와 시장의 규모를 고려하였을 경우 감성이나 경험을 기초로 한 브랜드를 홍보할 수 있는 전략적 공간이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에서는 앱솔루트 보드카의 유통경로는 대형마트나 주류 백화점을 통해 유통되어 브랜드 이미지가 저하되고 있다. 이러한 현재 상황을 개선하고 브랜드이미지 재고를 위하여 앱솔루트보드카는 브랜드의 홍보와 체험이 가능한 플래그쉽스토어가 필요하다고 분석하였으며 기획/디자인하였다. 수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디자인 진행과정은 교수의 제안과 학생의 피드백의 단계적 교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작업과정과 결과물을 통해 플래그쉽스토어 디자인 프로세스의 과정과 기본 구조를 이해하도록 한다. This study is for the basic plan of the liquor br and ``Absolut Vodka`` brand flagship store. The design strategies of brand value and properties is indis pensable for brand store design. In the case of Absolut vodka brand, Considering for its awareness and domestic size of the mark et, the element of emotional display and consumer experience is essential point for the stores. Nevertheless, the domestic distribution channels of the Absolut Vodka and liquor stores in the distribution make the brand image become getting worse. This design project is for this situation of Absolut vodka, B rand market. Above all, design team made a decision that Absolut Vodka needs flagship store in korean market as the analysis for development of bran d image. the process made through the design of the class of professor and student`s feedback is consists of the transaction step-by-step. This paper presents the work of the brand design basis on emotion an d the consumer`s experience.

      • KCI등재

        논 제초제 ‘마당발®’ 등록

        이계환,최재명,김경현,차종철,변승희,이인용 한국잔디학회 2023 Weed & Turfgrass Science Vol.12 No.2

        We present 'Madangbal®' (a mixture of benzobicyclone, penoxsulam, and pyraclonil DT) as an effective herbicide for controlling herbicide-resistant weeds in rice paddies within 15 days after transplanting. This herbicide mixture is effective against herbicide-resistant weeds such as Monochoria vaginalis var. plantaginea and Scirpus juncoides , which are resistant to sulfonylurea herbicides. Pyraclonil, as a PPO (protoporphyrinogen IX oxidase) inhibitor, is particularly effective against annual weeds (at pre-emergence ~ early post-emergence) and can suppress the development of subsequent weeds. Furthermore, this herbicide formulation is designed to be labor-saving. 마당발®(벤조비사이클론+페녹슐람+피라클로닐 직접살포정제)은 논에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생력형 제형으로기계이앙벼(어린모) 이앙 후 15일(피 2.5엽기 이내)경에 사용이 가능한 제초제이다. 이 제초제는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등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벤조비사이클론과 피, 광엽잡초, 다년생잡초에 활성이 우수한 페녹슐람, 추가적으로 피라클로닐이 포함되어 후발생되는 잡초까지 발생을 억제시켜 주는제초제이다. 이 제초제는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제형이다.

      • "갤러리 포차(Gallery POCHA)"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표현 -디자인과 마케팅 융합을 중심으로-

        백지원(주저자) ( Ji Won Baek ),변승희(주저자) ( Seung Hee Byun ),안시현(주저자) ( Si Hyun An ),이경희(주저자) ( Kyung Hee Lee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이미연(공동저자) ( Mi Yeon Lee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4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차별화되고 젊은 세대를 겨냥한 이색 갤러리 ``갤러리포차(gallery pocha)``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개발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14년 3윌 ~ 6윌 15주간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브랜드스페이스마케팅〉수업에서 진행된 수업의 결과물이로서 6개 팀 중 1개 팀의 작업 물을 정리한 것이다. 연구 범위는 4개(物, 事, 人, 場) 의 주제 중 事의 ‘문화공간``으로 한정한다. 연구 결과, 갤러리포차는 20대의 감성적이고 외향적인 젊은 남녀를 타겟으로 마케팅과 디자인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갤러리 자체 상품 개발 및 판매, 통합브랜드를 구축을 하였다. 특히, 브랜드 네이밍에서부터 로고, 심볼, 현수막 등의 그래픽 디자인과 쇼핑백, 기념품 등의 프로덕트 디자인까지 디자인과 마케팅을 모두 고려하여 ‘갤러리포차’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있어서 일관성과 객관성을 띄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갤러리포차’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개발함에 있어서 디자인과 마케팅을 융합하여 좀 더 체계화된 G·I, P·I의 통합 브랜드 매뉴얼을 만든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향후 이와 관련된 통합브랜드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icate a series of process to develop ``Gallery Pocha`` brand identity for the unique and differentiated gallery targeting young generation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compilation of the work of a team among sx teams from their course products in the ``Brand Space Marketing`` course in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i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which was provided for 15 weeks between March and June, 2014.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cultural space`` of Work among four themes (Thing, Work, Person, and Place). As a result, ``Gallery Pocha`` was developed as an Integrative brand for the gallery targeting emotionally rich and extrovert young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 and conducting its own product development and sales by incorporating both marketing and design aspects. In particular, ``Gallery Pocha`` brand identity maintained consistency and objectivity by taking into account markeing as well as design ranging from brand naming, to graphic designs such as logos, symbols, and banners, to product designs such as shopping bags and souvenirs. Last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creating the more systematic brand manual that integrates graphic identity and product identity by converging design and marketing in the development of the gallery brand identity. In addi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other relevant integrative brand design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