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자본의 보유 및 학업적 보상 양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백병부 한국교육사회학회 2012 교육사회학연구 Vol.22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possession of and rewarding mechanism for cultural capital using interviews with secondary teachers in Seoul. Major findings are like these. First, while perceiving the differences in overseas trip and stay between Kangnam and Non-Kangnam or among classes, teachers don't know the differences in high-brow cultural activities and readings. Furthermore, teachers feels the differences in high-brow cultural activities and readings are resulted not from socio-economic background but from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chools can help to reduce the gap. Second, students’ high-brow cultural activities can be rewarded by some teachers and their friends. Especially, these teachers have a lot of high-brow cultural experiences. But most of these rewards are given through indirectly method and most teachers don’t give any reward. Third, most teachers give rewards to good personality rather than high-brow cultural activities and readings which have been used to main measures of cultural capital. Forth, this study shows the reasons of the lack of rewards for high-brow cultural activities in Korea. These a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eachers and school field, objective and minimalist approaches of teachers in teaching and evaluation. From theses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renewal of definition and measures of cultural capital in Korea. 이 연구는 서울의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해 학생들의 문화자본 보유 양상과 학업적 보상 여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어떠한지를 알아 본 것이다.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해외여행이나 체류 경험에서는 계층 혹은 지역 간에 차이가 확연하지만, 고급문화활동이나 독서 정도에서는 그 차이가 확연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나아가 교사들은 고급문화활동이나 독서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격차는 계층보다는 개인적 기질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더 많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그 격차도 학교에서의 체험활동이나 독서 지도 등을 통해서 극복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고급문화활동 경험은 상대적으로 고급문화활동을 많이 경험한 교사들과 동료 학생들에게서 일부 인정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이에 따른 보상은 더 많은 관심이나 능력계발의 기회 제공 등과 같은 간접적인 형태의 것이 대부분이었고, 대부분의 교사들에게는 특별한 보상을 받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전통적으로 문화자본의 척도로 사용되어온 고급문화활동이나 독서 향유 정도보다는 학생들의 인성을 근거로 직간접적인 보상을 제공하고 있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고급문화활동에 대한 학업적 보상이 서구 사회에 비해 인색한 이유와 관련하여 학교 장 및 교사의 특성, 사회적 신뢰의 결핍으로 인한 객관주의적 접근, 집단주의적 교수문화로 인한 최소주의적 접근 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적용될 수 있는 문화자본에 대한 정의와 그 척도가 새롭게 구성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

        교사의 아비투스에 따른 교육과정 실행 방식의 차이: 중학교 국어과 교사에 대한 사례 연구

        백병부 한국교육사회학회 2008 교육사회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교사들의 아비투스에 따라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 방식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중학교 국어과 교사를 대상으로 한 사례 연구를 통해 살펴 본 것이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같은 학교에 재직 중인 국어과 교사들 사이에서도 문화자본 보유의 양적, 질적 편차가 있었으며, 이러한 편차는 출신 계급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문화자본의 보유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아비투스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 방식도 다르게 나타났다. 높은 수준의 문화자본을 가진 교사들은 ‘여유로움과 문화적 역량의 강화 추구’로 개념화할 수 있는 교육과정 실행을 하고 있었으며, 중간 수준의 문화자본을 가진 교사는 ‘허세와 불만 속의 순응’으로 개념화할 수 있는 교육과정 실행 전략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낮은 수준의 문화자본을 가진 교사는 ‘의식 속의 거부와 현실적 수용’으로 유형화할 수 있는 교육과정 실행전략을 구사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들 교사들이 문화실조론적 사고를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scrutin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habitus and curriculum implementation through a case study of middle school korean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ultural capital of teachers differ from one another. This difference is related to the class status of each teacher directly or indirectly.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of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according to their habitus. Teachers with high states of cultural capital do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seeking generality and empowerment for cultural literacy.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teachers with middle states of cultural capital is conceptualized by a pretension and compliance in discontent; while, teachers with low states of cultural capital have a curriculum implementation strategy conceptualized by an resistance in consciousness and approval in action. Lastly, this study confirms that teachers have cultural deficiency thought. This thought can lead to reproduction by cultural capital.

      • KCI등재

        교육혁신정책의 형성 및 집행 과정 분석: 경기도교육청의 사례를 중심으로

        백병부 한국교육정치학회 2019 敎育政治學硏究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mbeddedness and sustainability of educational innovation. To do th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licy process of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GOE) by the criteria of democracy and learning and reflection. The characteristics of GOE policy process are identified through the interview with the personnels involved in the main policies of GOE. First, GOE was able to secure partial democracy by forming policies in a way that policy-led groups institutionalized the movement. However, in the process, some policies were carried out in such a way that the conviction of the policy leading group overwhelmed the consent or support of the field. Next, GOE's main policies were implemented without sufficient learning and reflection opportunities. Some policies have provided opportunities for learning and reflection depending on external circumstances such as ideological confrontations. However, policies without these confrontations were not only fragmented into projects but also didn’t have opportunities for learning and reflection. In this process, the school was recognized as the object of the project, and the objects of main policices come to be trivializ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the process of policy formation and enforcement focusing on the values of democracy, learning and reflection. 이 연구는 교육혁신을 목표로 한 정책의 착근성과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선행연구와 이론을 검토하여 민주성 및 학습과 성찰이라는 준거를 설정하여 경기도교육청 혁신교육 정책의 형성과 집행 과정을 성찰적으로 검토하였다. 경기도교육청 혁신교육 정책의 입안과 집행 과정에 관여했던 인사들과의 면담을 통해서 확인한 정책 과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경기도교육청은 정책선도집단이 운동을 제도화하는 방식으로 정책을 형성함으로써 일정 정도의 민주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일부 정책은 현장의 동의나 지지를 정책선도집단의 신념과 가치가 압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기도 했다. 다음으로 경기도교육청의 주요 정책은 충분한 학습과 성찰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은 채로 집행되고 있었다. 일부 정책은 이데올로기 대결과 같은 외부 상황에 따라 학습과 성찰의 기회가 주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이런 과정을 거치지 않은 정책은 학습과 성찰의 기회 없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 위한 사업 단위로 분절되어 집행되고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에서 단위학교는 사업의 대상으로 인식되었으며, 정책 전반이 소졸화하는 문제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민주성 및 학습과 성찰의 가치를 중심으로 정책의 형성과 집행 과정을 재구조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학생이 지각한 교사 성취압력이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 사회경제적 배경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백병부 한국교육개발원 2013 한국교육 Vol.40 No.2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이 지각한 성취압력이 학업성취의 제고 및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교육격차 해소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ES는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독립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SES는 이전 학업성취 수준을 비롯한 여타의 변수들이 통제된 상태에서도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초기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 있었다. 한편 SES는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학업성취 증가율에 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는데, 그 영향력의 정도가 SES에 따른 초기 학업성취도에서의 격차를 만회할 수 있는 정도는 아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배경은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 격차를 야기하는 주요 원인 중의 하나임을 입증해 주는 것이다. 둘째, 학생이 지각한 성취압력은 학업성취 수준을 제고하는 데 일정 정도의 도움을 주고 있었지만, SES에 따른 교육격차를 감소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성취압력에 대한 인식은 SES를 비롯한 여타의 변수들이 통제된 상태에서 영어, 수학 과목의 초기 학업성취 수준을 향상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SES와 성취압력과의 상호작용항을 추가로 투입해 본 결과 성취압력에 대한 인식은 국어, 영어, 수학 모두에서 최하의 SES를 가진 학생에 비해 중상 이상의 SES를 가진 학생의 학업성취 초기값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취압력을 내면화시키는 것만으로는 가정배경에 따른 학업성취 격차를 감소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This study uses SELS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to analyze the longitudinal effects of students' perceived academic pres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educational gap of high school students. The major findings are: First, socio-economic status (SES) has independent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SES increases the initial academic achievement when other variables are controlled. However, SES has negative effects on the achievement slopes of Korean, Math and English, and the effects are such that it is not possible to make up for the achievement gaps in early academic achievement from SES. Second, while academic pr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academic achievement, there are limitations to how much the educational gap created by SES may be decreased. Specifically, academic press is helpful in raising early academic achievement when other variable are controlled. However, the interaction between SES and academic press increase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higher- and middle-SES students more than that of lower-SES students. These results show that perceived academic press has certain limitations in terms of decreasing the educational gap.

      • KCI등재

        수준별 하반 편성과 특별보충수업이 중학교 학습부진학생들의 교과목 효능감에 끼치는 영향

        백병부 안암교육학회 2011 한국교육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자료를 활용하여 특별보충수업과 수준별 하반 편성이 중학교 학습부진학생들의 교과목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특별보충수업 경험이 영어와 수학 과목 모두에서 부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 과목에서 그 영향력의 정도가 훨씬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수준별 하반 편성은 그 자체만으로는 학습부진학생들의 교과목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반면에 학습부진학생을 수준별 중상반에 편성하는 것은 교과목 효능감을 향상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어 과목의 경우에는 참여지향수업 경험 정도가 특별보충수업 및 수준별 하반 편성과 상호작용하여 학습부진학생들의 교과목 효능감을 향상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학생들은 이미 다른 나라 학생들에 비해 상당히 낮은 학업자아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학습부진학생들은 일반 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낮은 학업자아개념을 가지고 있다는 데 주목하면서 학습부진학생들에 대한 교사들의 교수 전략을 재점검해야 하고, 학습부진학생을 의도적으로 수준별 중상반에 배치하는 것과 같은 배려와 함께 이러한 조치에 의해 제고된 학습부진학생들의 교과목 효능감이 실질적인 인지적 성취의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략들에 대해 고민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ses the effects of law ability grouping and special supplemental instruction for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un erachievers. The major findings are like these. First, special supplemental instruction for underachievers has a negative effect on self-efficacy. In particular, this effect is more apparent in math. Second, low ability grouping for underachievers has not negative effect on self-efficacy in itself. But allocating underachievers to middle or upper ability class raises self-efficacy of underachievers. Third, the interaction terms between participationoriented instruction and special supplemental instruction or low ability grouping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of underachievers. From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reviewing the teachers' instruction strategy for underachievers and allocating underachievers to middle or upper ability class intentionally are considered. Further, this study urges to seek the substantial strategy for how to raise cognitive achievement through self-efficacy of underachievers.

      • KCI등재

        교육행정기관의 협업 실태 분석:경기도교육청 직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백병부,나현주 한국교육개발원 2019 한국교육 Vol.46 No.1

        정책환경의 변화에 따라 공공기관의 협업이 강조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과 같은 교육행정기관도 마찬가지이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경기도교육청 구성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교육행정기관의 협업 실태를 분석하였다. 경기도교육청 소속 직원을 전문직과 일반직, 직급, 근무지 등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FGI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육청의 협업에 대해서는 FGI 참여자 모두 대체로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평가하였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협업은 사안 대처를 위한 사후적 협조 요청, 참여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지는 못하는 협업, 목표보다는 책임을 먼저 생각하는 협업, 관계의 질이 협업의 질을 결정하는 협업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양상으로 협업이 진행되는 이유로 협업에 대한 두려움과 거부감, 자신의 업무를 중심에 두고 공문으로 일하는 업무 처리 방식, 각개약진과 갈등을 부추기는 조직구조와 문화, 일반직과 전문직 간 소통과 이해 부족, 집단이기주의를 중재하고 조정할 수 있는 리더나 조정자의 역할 부재 등을 들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협업적 조직 문화 형성, 구성원의 협업 역량 강화, 협업 리더십 구축, 조직 재구조화, 자연스럽게 협업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넛지 전략 등을 협업 활성화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Purpose: As the policy environment changes, collaboration among public institutions has been emphasized. The same is tru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s such as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collaboration in the education administrative agency based on the member’s recognition.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he method this study used was FGI based on the staff of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The focus group consisted of 12 group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ir departments and positions. The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semi - structured questionnaires divided by three categories: collaboration necessity, collaboration experience, and collaboration activa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e FGI are as follows. First of all, FGI participa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cooperation between departments. Collaboration that is currently underway has some limits: unilateral cooperation requests to cope with issues, collaboration in which that all the participants cannot succeed, collaboration based on establishing responsibility first, and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is the main factor that determines the quality of the collaboration. The causes of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ear and rejection of possible collaboration, the manner in which work is executed is altered, the emergence of an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ulture that encourages conflicts, a lack of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general and professional staff, and the absence of leadership roles to mediate and adjust for group selfishnes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ome methods which includes the formation of a collaborative culture, strengthening of the collaborative capacity of members, building collaborative leadership roles, restructuring of the organization and nudge strategies that naturally motivate collaboration. Values: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can contribute to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ollaboration within educational administrative agencies. Furthermore, this study can help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to identify the conditions necessary to accept new policy demands through collaboration.

      • KCI등재

        중학교 단계에서의 학습부진 결정 요인 분석

        백병부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underachievement in Korean middle schools with the data obtained from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The fiv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s’ low level of education and poverty independently influence their children’s underachievement. In particular, poverty mediates the influences of ‘household income’ and ‘parentless family’ variables upon underachievement. Second, parental involvement has an influence on their children’s underachievement independently from the family’s SES variable. Parental involvement is also found to have an indirect impact on preventing children’s underachievement by increasing the hours for both self-study and private tutoring, as well as by developing subject-efficacy and the conception of the self as learner. Third, this study found out the ways in which study time influences students’ underachievement. The analysis shows that private tutoring hours prevent underachievement better than self-study time, but also that self-study time has a greater affect than private tutoring hours on subject-efficacy and the conception of the self as learner, both of which have independent influences on underachievement. Fourth, as alluded to earlier, subject-efficacy and the conception of the self as learner have an influence on underachievement. Furthermore, it is found that teacher instruction that stimulates students’ intellectual challenges and invites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activities can increase subject-efficacy and self-concept as learner, which will in turn prevent underachievement. Fifth, on the school level, schools’ average SES and degrees of pressure for learning achievemen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reventing underachievement. A school’s high SES is likely to lower the possibility of underachievement. These findings may present the policy implication that preventing underachievement requires diversifying student population, in particular based upon each school’s socio-economic background.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자료를 다층모형을 통해 분석하여 중학교 단계에서의 학습부진이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야기되는지를 구명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부모학력과 빈곤 여부가 학습부진 여부에 독립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특히 빈곤 여부는 학습부진에 대한 가구소득 및 결손가정 여부의 영향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의 학업적 지원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변수들과 독립적으로 학습부진 여부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지원은 자습 시간과 사교육 시간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교과목 효능감과 학업자아개념 등을 제고하는 데 영향을 끼침으로써 학습부진 여부에 간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습시간이 학습부진 여부에 대해 끼치는 영향력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자습 시간보다는 사교육 시간이 학습부진이 될 개연성을 낮추는 데 더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습부진 여부에 독립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교과목 효능감과 학업자아개념이 자습 시간보다는 사교육 시간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궁극적으로는 자습 시간도 사교육 시간 못지않게 학습부진을 예방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교과목 효능감이나 학업자아개념이 학습부진 여부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학생들에게 지적인 도전감을 자극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수업 활동을 제공하게 되면 해당 교과목에 대한 효능감과 학업자아개념이 높아지며, 이것이 결국은 학습부진의 예방으로 이어지게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학교 수준에서는 평균 SES와 성취압력이 학습부진 여부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이 중에서 평균 SES가 높은 학교에 재학 중일수록 학습부진에 해당할 개연성이 낮게 나타난다는 것은 소득 재분배 정책이나 재학생들의 인적 구성을 다양화하기 위한 노력 등과 같이 학교의 평균 SES를 제고하려는 노력이 병행되어야만 학습부진 예방 대책이 실효를 거둘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

        대졸 임금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 분석

        백병부,황여정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졸 임금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해당 요인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가정배경, 대학 만족도, 취업사교육, 직무매치를 설명변인으로 하여 제도적 일자리 만족도와 정서적 일자리 만족도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매치, 대학만족도는 제도적·정서적 일자리 만족도에 두루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취업사교육은 제도적 일자리 만족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가정배경은 취업사교육이나 대학교육의 질을 매개로 일자리 만족도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발휘함으로써, 노동시장 성과와 삶의 질에서 사회계층 간 격차를 심화시킬 개연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정규직과 비정규직 집단을 분리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 간에 일자리 만족도 결정 기제에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들의 일자리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질을 개선하고, 노동시장의 요구와 부합하는 교육·훈련을 제공함으로써 직무일치 수준을 높이도록 노력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더불어 이같은 노력을 바탕으로, 가정배경이 취업사교육 등을 매개로 일자리 만족도를 결정짓는 기제를 극복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Using a sample from a 1st wave of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this study attempts to ascertain determinants and their causal relationships of job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Emplo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authors builded up the research model that includes explanatory variables such socioeconomic status, satisfaction with their own college education, private tutoring experience for being employed, and job match, and final dependent variable such as job satisfactions with both institutional and emotional conditions. The results show that job match and satisfaction with college educ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institutional as well as emotional job satisfaction. Also, private tutoring for job-earning has an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with institutional conditions. Meanwhile, we found that socioeconomic status is likely to deepen gaps among social classes in labor-market performances and quality of life, because it affects job satisfaction by way of private tutoring and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which is measured by satisfaction with their own college education. In addition, we divided our sample into full-time and part-time wage worker, and analyzed each sample respectively. Through these analyses, we ascertained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causal relationships of determinants of job-satisfaction between full-time and part-time workers. From these results, the authors suggest that to improve wage workers’ job-satisfaction, we should a lots of effort such as reforming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and providing students with various and good programs which is matching with demands of labor-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