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한 중국 여자 유학생의 대인관계에서의 성적 대상화 경험이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차별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백근영,김애란 한국상담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2 No.4

        The current study examined whether perceived discrimination moderated the indirect effect of interpersonal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 on eating behavior through internalization,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among femal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 Results from 228 femal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dicated that interpersonal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indirect positive relationship with negative eating behavior through mediation by internalization,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Additionally, perceived discrimination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 and body surveillance. Finally, perceived discrimination moderated the indirect effect of interpersonal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 on negative eating behavior through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The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for future research and therapy practices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대상화 이론을 바탕으로 재한 중국 여자 유학생의 대인관계에서의 성적 대상화 경험이 내면화, 신체감시, 신체수치심을 매개하여 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성적 대상화 경험과 내면화, 성적 대상화 경험과 신체감시의 관계를 지각된 차별감이 조절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총 228명의 재한 중국 여자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조절된 매개모형은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조절된 매개효과는 일부가 지지되었다. 첫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재한 중국 여자 유학생의 대인관계에서의 성적 대상화 경험이 내면화, 신체감시, 신체수치심을 매개하여 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절효과 검증 결과, 지각된 차별감은 성적 대상화 경험과 신체감시의 관계만을 조절하였다. 셋째,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지각된 차별감이 조절하는 성적 대상화 경험과 신체감시의 관계가 신체감시와 신체수치심을 매개로 섭식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를 제시했고, 후속 연구를 제언했다.

      • KCI등재

        여성 직장인의 성적 대상화 경험과 일몰입의 관계: 내면화와 신체감시의 매개효과 검증

        백근영,서영석 한국여성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에서의 성적 대상화 경험이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내면화와 신체감시를 매개로 직장 여성의 일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근무하는 직장 여성 252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자료 분석 결과, 우선 측정모형이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검증 결과, 성적 대상화 경험에서 신체감시, 내면화에서 일몰입으로 가는 직접 경로를 포함하지 않은 가설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모형에서는 신체감시에 대한 성적 대상화 경험의 영향을 내면화가 완전매개하고, 일몰입에 대한 내면화의 영향을 신체감시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인관계에서의 성적 대상화 경험은 내면화와 신체감시를 매개로 일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 및 상담실제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상담자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일반적인 믿음과 인종/민족적 소수자에 대한 태도의 관계: 책임에 대한 귀인성향의 매개효과

        백근영 한국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1 No.4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of the attribution of blame on the link between belief in a just world for others (BJW-O) and attitudes toward racial/ethnic minorities by analyzing responses from 208 counselors. Results indicated that counselors with higher levels of BJW-O were more likely to attribute blame to racial/ethnic minorities for their difficulties in South Korea. This led to counselors’ negative thoughts about racial/ethnic minorities, which in turn influenced their negative feelings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them. The association between BJW-O and thoughts about racial/ethnic minorities was fully mediated by attribution of blame. The association between attribution of blame and negative feelings toward racial/ethnic minorities was fully mediated by thoughts about them. The association between thoughts about racial/ethnic minorities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racial/ethnic minorities was partially mediated by negative feelings toward them.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counselor education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일반적인 믿음이 책임에 대한 귀인 성향을 매개하여 인종/민족적 소수자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인과적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 및 개별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상담자 208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상담자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일반적인 믿음은 책임귀인을 매개로 인종/민족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담자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일반적인 믿음은 책임귀인, 인종/민족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을 매개하여 인종/민족적 소수자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담자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일반적인 믿음은 책임귀인, 인종/민족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을 매개하여 인종/민족적 소수자에 대한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담자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일반적인 믿음은 책임귀인, 인종/민족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 인종/민족적 소수자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를 매개로 인종/민족적 소수자에 대한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 및 다문화 상담 훈련과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우수등재

        평생교육 단과대학 재학생들의그릿(Grit) 군집 유형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분석

        백근영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impac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lifelong education college students. To achieve this goal, we classified the cluster type of grit based on the subscales of the Korean Grit Scale, namely effort-sustainability, passion-pleasure, and passion-meaning, and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mong the cluster types. We also investigated whether academic achievement varied depending on the cluster type and level of job stress. Cluster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and intervention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on a sample of 238 lifelong education college students by measuring grit, GPA from the previous semester, and job stress levels. Results showed four clusters: “low grit group”, “passion (pleasure) group”, “normal grit group”, and “high grit group”. Furthermo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the cluster type, with the high grit group demonstrating higher academic achievement and lower job stress compared to the low grit group. Additionally, in situations of high job stress, the passion (pleasure) group show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low-level grit group. Moreover, in situations where job stress was moderate or high, the average level grit group demonstrat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low-level grit group.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suggested further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 단과대학 재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형 그릿척도의 하위요인인 노력-지속성, 열정-즐거움, 열정-의미의 수준에 따라 그릿의 군집 유형을 분류하고, 군집 유형 간에 학업성취도 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군집 유형과 직무스트레스의 수준에 따라 학업성취도가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총 238명의 평생교육 단과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릿, 직전학기 GPA,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여 군집분석, 다변량분석,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2단계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낮은 그릿 집단”, “열정(즐거움) 집단,” “보통 그릿 집단,” “높은 그릿 집단”의 4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둘째, 군집의 유형에 따라 학업성취도의 수준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그릿 집단이 낮은 그릿 집단보다 학업성취도가 높고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상황에서는 열정(즐거움) 집단이 낮은 수준 그릿 집단보다 학업성취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가 보통이거나 높은 상황에서는 보통 수준 그릿 집단이 낮은 수준 그릿 집단보다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했다.

      • KCI등재

        평생교육 단과대학 재학생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 회피/분산적 정서조절 양식의 매개효과 및 연령대에 따른 다집단 분석

        백근영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among lifelong Education College students.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avoidance-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by analyzing responses from 189 students in Life Education Colleges. A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approach was also performed sequentially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on effect of avoidance-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pattern on the link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was significant. Second, the significance of individual path coefficient differed by age group. In the younger age group,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for uncertainty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was completely mediated by avoidance-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pattern. In the older age group, it was appeared that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ffected directly avoidance-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ce-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patter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not significant. Implications of the present findings for future research and counseling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 단과대학 재학생들의 학업 관련 어려움 중인 하나인 학업지연행동의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을 매개로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평생교육 단과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그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연령에 따라 변인들 간의 관련성이 달라질 것으로 가정하여 저연령집단(20, 30대)과 고연령집단(40대 이상)을 대상으로 모형의 적합도 및 개별 변수의 영향력을 비교하였다. 총 189명의 평생교육 단과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회피/분산적 정서조절 양식을 매개로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에 따라 개별 경로계수의 유의미성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저연령집단에서는 회피/분산적 정서조절 양식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연령집단에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회피/분산적 정서조절 양식과 학업지연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피/분산적 정서조절 양식과 학업지연 행동의 관계는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했다.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부모역할 걱정과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및 불안민감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백근영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depression in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This study examined setting up a mediation model in which intolerance of uncertainty affecting on depression through worry about parenting role and parenting stress, a moderation model in which anxiety sensitivity,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worries about parenting role, and a moderated mediation model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epression was mediated by worry about parenting role and parenting stress and moderated by the level of anxiety sensitivity. As the results of model analyzing of the data collected from 200 mothers with infant/toddler, first, the results from the mediation model indicated that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significant indirect relations with depression through the mediating roles of worry about parenting role and parenting stress. Second, the results from the moderation model indicated that anxiety sensitivity showed the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worry about parenting role. Lastly, the results from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indicated that mothers’ anxiety sensitivity moderated the indirect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depression via worry about parenting role and parenting stres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herapist practic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의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부모역할 걱정과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부모역할 걱정 간의 관계를 불안민감성이 조절하는 조절모형,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 간의 관계를 부모역할 걱정, 양육스트레스가 매개하는 간접효과를 불안민감성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모형을 설정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총 200명의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모형을 분석한 결과, 첫째, 매개모형 검증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부모역할 걱정과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절효과 검증 결과 불안민감성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부모역할 걱정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결과, 불안민감성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부모역할 걱정 간의 관계가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상담실제 및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남녀대학생의 페미니즘에 대한 인식 차이: 개념도 방법을 중심으로

        백근영 ( Keun Young Baek ),최바올 ( Baole Choi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1 人間理解 Vol.4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대학생의 페미니즘에 대한 생각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성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념도방법을 활용하여 남녀 대학생이 인식하는 페미니즘의 내용을 추출하고, 페미니즘을 인식할 때 활용하는 차원과 군집을 살펴보며, 동의하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남녀 대학생들의 생각의 내용을 도출하기 위해 남자대학생 57명, 여자대학생 56명에게 페미니즘을 떠올리면 드는 생각을 적도록 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남자대학생으로부터 42개의 진술문, 여자대학생으로부터 39개의 진술문이 도출되었다. 이를 남자대학생 9명에게 남자대학생으로부터 추출된 진술문들을 유사한 것들끼리 묶도록 지시하고 여자대학생 10명에게 여자대학생으로부터 추출된 진술문들을 유사한 것들끼리 묶도록 지시하였다. 도출된 자료를 바탕으로 다차원 척도법 및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부정”과 “직관-판단”의 2개의 차원이 도출되었으며, 남자대학생은 “직관적 인식,” “인지적 긍정적 인식,” “부정적 정서와 인지”의 3개의 군집이 나타났으며, 여자대학생은 “부정적 정서와 인지,” “긍정적 직관적 인식,” “능동적 지향적 인식”의 3개의 군집이 나타났다. 남녀 대학생 150명씩 총 300명에게 각 진술문에 동의하는지를 조사하여, 페미니즘에 대한 진술문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이를 기초하여 논의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related to feminism and examined gender differences on those perceptions. Based on the process of concept mapping method, the present study extracted the contents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related to feminism and identified the dimensions and clusters of perceptions related to feminism. As a result, three clusters of “Intuitive Perception,” “Cognitive Positive Perception,” and “Negative Emotions and Cognition” were extracted from male students, whereas three clusters of “Negative Emotions and Cognition,” “Positive Intuitive Perception,” and “Active Oriented Perception” from female students. Lastly, each of 150 male/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examined whether they agreed to each statement. Based on this, suggestions were made for discussion and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수칙 준수의 심리적 어려움 및 극복방안 : 개인의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성격특성에 따른 분석

        백근영(Keun Young Baek),김지현(Ji Hyun Kim),김지수(Ji Su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 및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무엇이며 그 양상이 인구통계학적변인과 성격5요인에 따라 달라지는 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223명의 10대에서 60대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혼합설계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내용분석을 통해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과 극복방안의 양상을 추출한 뒤,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성격 5요인의 수준에 따라 그 양상이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결과 본 연구 결과,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 준수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에서 9개의 범주,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 준수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 극복방안으로는 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성별, 결혼여부, 자녀여부, 가족구성원수, 연령, 친화성, 신경증이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준수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 극복방안의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 사람들은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 준수로 인하여 긴장감, 우울, 속상함, 답답함, 두려움, 불안함 등의 감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인에 대해서 불신, 경계, 분노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생활에 충실하고 방역지침 내에서 할 수 있는 활동을 하는 것이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유용한 방안인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overcoming methods caused by following social distancing measure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and examine whether the pattern varies depending on demographic variables and personality factors.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distributed to 223 Koreans in their 10s to 60s, collected data, and analyzed it through a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nine categories from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caused by complying with the social distancing measure. Results Six categories were derived as ways to overcom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caused by complying with the social distancing measure. Gender, marital status, child status, number of family members, age, agreeableness, and neuroticism have been shown to affect the aspects of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overcoming methods caused by following social distancing measure. Conclusions South Koreans were found to experience emotions such as tension, depression, upset, frustration, fear, and anxiety due to compliance with the social distancing guidelines, and to experience distrust, vigilance, and anger toward others. It was found that they were trying to overcome these psychological difficulties by being faithful to their current life and doing activities that can be done within the quarantine guidelines.

      • KCI등재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1447)의 이상향과 구도의 현대적 차용 - 본인의 작품〈몽유도夢遊圖〉(2012)을 중심으로 -

        백근영 ( Baek Keun-you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7 예술과 미디어 Vol.16 No.1

        본 논문은 현대미술에서 이상향에 대한 개념을 산수화로 시각화하는 것에 대하여 안견의 〈몽유도원도〉와 본인의 작품 〈몽유도〉를 연계 분석하여 과거와 현대사회에서 이상향이 가진 의미와 표현의 다양성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상향은 본래 인간의 소망을 표현한 낙원을 뜻하고 있으며 시각적 표현은 시대 변천 속 미술의 역사에서도 여러 가지 형태와 의미로 재현되고 있다. 특히 산수화에서는 더욱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다르게 개념화되고 표현되어진다. 예부터 동양에서의 산수의 의미는 정신적 의미에서 인간과 자연의 일탈적 공간의 상징적소재로 동양적 세계관을 표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산수의 표현과 의미에 있어서 〈몽유도원도〉는 동양적 낙원의 형태를 가장 한국적으로 재현한 최초의 작품으로 이상향의 개념을 꿈이라는 세계로 재해석하여 표현하고 형태의 파격적 구도와 독창적 표현 또한 뛰어난 작품이다. 작품은 추상적 개념을 가장 구체적 형상으로 재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자는 가상세계의 표현을 안견의 작품에서 착안하여 이를 〈몽유도〉에 적용하여 제작하였는데, 이상향의 의미를 가시화하는 과정에 있어서 전통적 회화의 표현 및 이미지의 차용을 함께 결합하여 가상세계 낙원의 다양성을 표현하였다. 한 화면 속 여러 가지 이미지들의 혼합적 표현은 시대의 변화에 따른 이상향의 다양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표현의 차별성을 두었다. 이상향의 개념은 시대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개념화 되고 있다. 이러한 본 연구자의 결과물은 현대 산수화에서 추상적 주제를 재료와 표현적 방법으로 어떻게 풀어갈 것인가에 대한 고민의 결과로 나타난다. 추상적 개념에서 단순화된 조형적 언어로 풀어내는 과정에서 〈몽유도〉작품은 `전통성`과 `실험성`이 한편으로는 이상향 개념의 현대적 가시화에 가깝게 다가가는 것을 지향하고 있으며, 존재하지 않는 이상향의 형상화를 목표로 한다. 결과적으로 연구자의 작품은 실재세계와 가상세계에서 비춰진 현실사회의 단편적 모습 속 진정한 이상향의 의미에 대해 표현하고 있다. 가상적 세계의 이미지들의 조합은 작가에 의해서 재해석되어 창조된 또 다른 현실 속 도원도의 모습인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결과적으로 한국 현대미술에서 산수화에 대한 폭이 넓혀질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을 것이다. In connection with visualization of a concept of utopia in modern art,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diversity of meaning and expression of utopia in the past and contemporary society by analyzing < Mongyudo > of this painter by linking it with < Mongyu Dowondo > of Ahn-Gyeon. Utopia originally means a paradise expressing human desire and visualized expression is represented in various forms and meanings even in the history of art under transition of times. Particularly in landscape painting, it is differently conceptualized and expressed depending on transition of times. From the past, meaning of landscape in the Orient is a symbolic material of deviant human and natural space in a spiritual terms and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xpressing Oriental world view. < Mongyu Dowondo > under this expression and meaning of landscape was the first work representing a form of paradise in the most Korean style and its exceptional composition and creative expression were excellent as it expressed a concept of utopia as a world of dream by reinterpreting it. This work represents an abstract concept as the most concrete form. Under this background, this painter produced < Mongyudo > by applying expression of virtual world based on the work of Ahn-Gyeon and in a process of visualizing a meaning of utopia, diversity of virtual world was expressed by combining traditional painting expression with image borrowing. Mixed expression of various images in a painting not only expressed diversity of utopia but also focused on differentiation of expression. A concept of utopia has been conceptualized to other aspect depending on the current of times. Outcome of this painter is represented by an eventual concern as to how to unfold abstract topic based on material and expressional method in the modern landscape painting. In a process of unfolding abstract concept as simplified formative language, the work of < Mongyudo > pursues a trend that `traditionality` and `experimentality` approach modern visualization of utopia concept and its goal is to embody utopia that is not present. Resultantly, the work of the painter expresses meaning of real utopia in a fragmented image of real society reflected in an actual and virtual world. Combination of images of virtual world is an image of Dowondo in another reality being reinterpreted and created by the painter. Significance of this attempt is that width of landscape painting could be eventually widened in the Korean modern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