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헬리콥터에 장착된 회전 안테나를 이용한 착륙지형의 이미지 생성 기법

        배창식,전현무,김재학,양훈기,Bae, Chang-Sik,Jeon, Hyeon-Mu,Kim, Jae-Hak,Yang, Hoon-Gee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0 No.10

        헬기 사고의 대부분은 시야가 제한된 상황에서 착륙 시 구조물과의 충돌에 의한 사고로 안전한 주행을 위해 레이더와 같은 보조 장비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회전하는 안테나를 장착한 헬기 레이더가 착륙하는 과정에서 고정 클러터에 대한 거리-방위각 이미지를 얻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동일 거리에 위치한 각각의 클러터 패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모델링하고 클러터 특성 및 도플러 특성을 분석한다. 부엽(side lobe) 성분을 억제하고 주 빔(main lobe) 신호성분을 얻기 위한 필터구조를 설계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에 의해 거리-방위각 도메인에서의 가상의 지형 시나리오를 생성한 후 제시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한다. Helicopter-related collision accidents with structures mostly occur at landing, especially in a limited visibility environment, which necessitates some secondary equipment like a radar that can generate stationary clutter imag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that makes an image of stationary ground clutter in two dimensional range and azimuth angle domain. We present a mathematical model for the received signals from each clutter patch in the iso range ring and analyze their clutter and Doppler characteristics, assuming that a helicopter-borne radar has a rotational antenna. We propose a filter structure, which suppresses side lobe signal components while extracting a main lobe signal component, and suggest a solution for a problem stemmed from the filtering process. Finally, by conducting a simulation we show the performance of the suggested imaging algorithm on a two dimensional virtual scenario of the topographic clutter.

      • KCI등재

        항공용 전방 관측 레이다에서의 RBGM 영상 형성

        배창식(Chang-Sik Bae),조재형(Jae-Hyoung Cho),홍윤석(Yunseog Hong),윤보람(Bo-Ram Yoon),김민지(Min-Ji Kim),한승훈(Seung-Hoon Han) 한국전자파학회 2021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32 No.6

        본 논문에서는 항공용 전방 관측 레이다의 real beam ground map(RBGM) 모드를 소개하고, 개발 중인 레이다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제시한다. RBGM 모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 소개와 함께 알고리즘의 설계 및 검증 단계(M&S 분석, 지상시험, 비행시험)에서 고려되는 주요한 특징들을 각 단계에서 획득한 RBGM 영상과 함께 제시한다. 영상 분석을 통해 RBGM 모드의 특징들을 확인하고, 전방 넓은 영역에 대한 대략적인 지형 정보를 제공하는 용도로 RBGM 모드가 적합함을 보인다. In this study, we introduce the real beam ground map (RBGM) mode of airborne forward-looking radars and present the images obtained by the radar under development. In addition to an introduction to the overall contents of the RBGM mode, we present the main features considered in the algorithm design and verification steps (M&S analysis, ground test, and flight test) and the RBGM images obtained in each step. We suggest the features of the RBGM mode through the analysis of RBGM images and demonstrate that the RBGM mode i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rough terrain information for a wide area ahead.

      • KCI등재

        SAR-GMTI에서 지상이동표적의 속도 추정 기법

        배창식(Chang-Sik Bae),전현무(Hyeon-Mu Jeon),양동혁(Dong-Hyeuk Yang),양훈기(Hoon-Gee Yang) 한국전자파학회 2017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8 No.2

        본 논문에서는 2채널 displaced phase center antenna(DPCA) 기반의 SAR-GMTI 시스템에서 지상이동 표적의 속도 정보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시된 알고리즘에서는 이동표적의 across-track 속도는 기존의 along-track interferometry(ATI) 기법을 이용하여 추정이 가능하다고 가정한 후 표적의 along-track 속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기존 이동표적 구조를 변형하여 이동표적 속도를 영으로 만들고, 이를 레이다 속도에 반영하여 레이다 속도가 변화된 새로운 기하학적 구조를 얻는다. 이후 합성 개구면(synthetic aperture) 내의 subaperture 신호에 대한 푸리에 변환을 통해 공간 주파수 중심점 위치를 이용하여 표적의 along-track 속도를 추정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알고리즘의 속도 추정 성능을 검증하고, 또한 추정된 속도가 보상되어 이동표적 영상의 해상도 및 SINR이 개선됨을 보인다. A ground moving target"s velocity estimation algorithm applicable for a SAR-GMTI system using 2 channel displaced phase center antenna(DPCA) is proposed. In this algorithm, we assume target"s across-track velocity can be estimated by along-track interferometry (ATI) and present a method to estimate target"s along-track velocity. To accomplish this method, we first transform a radar-target geometry in which a moving target has zero velocity via altering a radar velocity such that target"s velocity is reflected into it and next manipulate the spectral centers of the subapertures within the synthetic apertur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demonstrated through simulation results showing the performance of the target"s velocity estimation and the enhancement of reconstructed target image quality in terms of resolution and SINR.

      • KCI등재

        이동 플랫폼 레이더에서 고도 클러터와 주엽 클러터 억제 기법

        전현무,배창식,양훈기,Jeon, Hyeonmu,Bae, Chang-sik,Yang, Hoon-gee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2 No.10

        이동하는 플랫폼에 탑재된 레이더는 주엽으로 수신되는 주엽 클러터 신호와 더불어 부엽에서 수신되는 고도 클러터에 의해서 표적 신호가 간섭을 받는다. 고도 클러터는 거리가 주엽 클러터에 비해 비교적 짧기 때문에 강한 신호로 레이더에 유입된다. 이러한 클러터는 레이더의 오보 확률을 높이는 주 원인으로 주엽 클러터와 고도 클러터 신호를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플랫폼 레이더에서 발생하는 주엽 클러터와 고도 클러터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서 2개의 펄스 제거기(pulse canceller) 구조를 사용하는 클러터 억제 방법을 제시한다. 펄스 제거기를 사용함에 따른 수신신호의 상관도를 분석하고 두 영역의 클러터를 억제하기 위해서 상관도가 고려된 staggered 펄스 제거기 구조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두 개의 주파수군에 형성된 고도 클러터와 주엽 클러터 성분들이 제안된 staggered 펄스 제거기를 통해 제거되는 것을 보인다. The radar in the moving platform is interfered by the mainlobe clutter as well as the altitude clutter that is received from sidelobe. The altitude clutter is relatively short range compared to mainlobe clutter and therefore enters the radar with a strong signal. As these clutters are major reason making the probability of false alarm high, it is required to suppress both altitude clutter and mainlobe clutter. In this paper, It is proposed the clutter suppression method consisted of two pulse canceller to suppress the clutters being two frequency area in moving platform. It is analyzed the correlation of output signals according to the use of pulse canceller and provided the structure of staggered pulse canceller considered the correlation. Finally, it shows that altitude clutter and mainlobe clutter are suppressed by proposed staggered pulse canceller using the simulation.

      • KCI등재

        집단보상 및 집단구성 방법에 따른 협동학습이 초등 수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조영남,배창식 한국초등교육학회 2001 초등교육연구 Vol.1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협동학습에 있어서 집단보상과 집단구성 방법이 초등 수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탐구하는데 있다. 협동학습은 집단 구성원들간의 긍정적 상호의존성, 개별 및 집단 책무성, 면대면 상호작용, 대인관계 및 소집단 협력기술, 집단과정 등을 특징으로 한다. 초등학교 2학년 수학과 '수와 연산' 단원의 10차시 현장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집단보상 방법에 있어서 집단경쟁 집단보상 집단이 집단무경쟁 집단보상 집단 보다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집단구성에 있어서 이질집단이 동질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집단보상 방법과 집단구성 방법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협동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집단구성과 보상 방법을 비롯한 다양한 인지적, 정의적 변인과 유인 체제를 고려한 보다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ethods of group reward and group construction in cooperative learning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8 secon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were assigned to one of the four experimental groups. The experimental instruments of used in this study were the prior scores of mathematics achievement test to verify group homogeneity, achievement test to identify the treatment effects.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academic achievement scores on the immediate posttest.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is study was 2×2 factorial design. Based on the scores obtained, ANOVA and other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by SPSS WIN 9.0. The main findings obtained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thods of group reward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Namely, Group competition reward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group non-competition group on the achievement scores.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thods of group construc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Namely, homogeneous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heterogeneous group on the achievement scores. (3)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methods of group reward and group construction on the achievement of mathematics.

      • KCI등재

        다양한 클러터 환경을 고려한 모노펄스 레이다 공대지 거리측정 알고리듬 성능평가

        남정훈,이현수,고일석,송종화,배창식 한국전자파학회 2020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31 No.7

        AESA 레이다는 항공기로부터 boresight 방향으로 거리를 추정하는 공대지 거리측정 성능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운용 시나리오 및 환경에서 공대지 거리측정 성능을 분석하기 위한 Modeling & Simulation(M&S) 접근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M&S 접근법은 지표면으로부터 반향된 시간 영역 모노펄스 신호를 계산한다. 지표면 클러터의 시간과 주파수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여 coherent 및 non-coherent 처리 방법을 모의하며, 지표면 클러터 환경에 따른 영향 분석 및 항공기 회전 기동에 의해 발생하는 왜곡 보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모의된 모노펄스 수신 신호에 다항식 곡선 접합(polynomial curve fitting)을 적용하여 이종 클러터 환경 및 반사도가 큰 물체가 존재하는 여러 시나리오에서 공대지 거리측정을 수치적으로 분석/검증한다.

      • KCI등재

        EGI Velocity Integration Algorithm for SAR Motion Measurement

        이수정,박우정,박용곤종,박찬국,송종화,배창식 사단법인 항법시스템학회 2019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Vol.8 No.4

        This paper suggests a velocity integration algorithm for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motion measurement to reduce discontinuity of range error. When using position data from Embedded GPS/INS (EGI) to form SAR image, the discontinuity of the data degrades SAR image quality. In this paper, to reduce the discontinuity of EGI position data, EGI velocity integration is suggested which obtains navigation solution by integrating velocity data from EGI. Simulation shows that the method improves SAR image quality by reducing the discontinuity of range error. INS is a similar algorithm to EGI velocity integration in the way that it also obtains navigation solution by integrating velocity measured by IMU. Comparing INS and EGI velocity integration according to grades of IMU and GPS, EGI velocity integration is more suitable for the real system. Through this, EGI velocity integration is suggested, which improves SAR image quality more than existing algorithms.

      • KCI등재

        GSC 기반 모노펄스 레이다용 클러터 추정 알고리즘

        김나용(Na-Yong Kim),전현무(Hyeon-Mu Jeon),배창식(Chang-Sik Bae),박규철(Gyu-Churl Park),정용식(Young-Seek Chung),양훈기(Hoon-Gee Yang) 한국전자파학회 2017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8 No.7

        레이다의 레이돔 형상으로 인한 플래쉬 부엽(flash lobe)으로 인해 수신신호에는 표적 성분 외에 클러터(clutter) 성분이 포함된다. 클러터는 재머와 달리 표적성분과 동일한 시간에 입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조향방향과 표적방향의 방향오차를 추정하는 모노펄스(monopulse) 레이다의 성능 열화를 일으킨다. 본 논문에서는 클러터 환경에서 GSC(Generalized Sidelobe Canceller) 기반 모노펄스 레이다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클러터 추정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직교투영(orthogonal projection) 과정을 반복하는 알고리즘에 의해 클러터 추정 성능이 개선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며 시뮬레이션에 의해 클러터 추정 과정이 포함된 GSC 기반 시스템이 기존 모노펄스 시스템보다 방향 추정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인다. Due to the existence of flash lobe caused by the radome structure, a radar return in general contains clutter component added to target echo. Unlike jammer, clutter is apt to simultaneously coexist with target echo, which hinders a monopulse radar from estimating the angle difference between target echo direction and radar steering dire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clutter estimation algorithm applicable to generalized sidelobe canceller(GSC) based monopulse radar. We show that clutter estimation can be achieved via iterative process of the orthogonal projections. Through simulations, the proposed GSC-based system combined with the clutter estimation can outperform the conventional monopulse system in terms of target angle esti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