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6-교수학습방법 지리 학습활동을 통한 유아 세계시민교육의 적용에 관한 실행 연구 -국제가상교류활동을 중심으로-

        배지현 ( Jee Hyun Ba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of implementing action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the geographic learning activity for young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two teachers and 56 preschoolers in a Sunshine kindergarten. They associated with 25 foreign preschoolers of the same age(5) who were in a school in China Shenzhen city by e-mail during a 12-week period. They exchanged video clips of greetings and photos with the foreign friends by e-mail, and showed their works through video clips as well. At the same time, the geographic learning activities were appli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we suggest some ways of practice such as ‘geographical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virtual international exchanges’, ‘knowing about world by means of map activities’, ‘taking a literary approach to understanding geography’ and ‘integrating geographical learning with daily activities.’ Secondly, it was found that practices have some implications such as ‘Re-conceptualization of space: Suggestions of virtual international exchanges’, ‘Conceptual formation of social space’ and ‘Possibility to integrate geographical learning activities annually.’ Conclusively, it is advisable that follow-up studies should be designed as long-term longitudinal study to figure out continuous effects and implications of geographical learning practice, and we should focus on geographical learning activities through international exchanges with a wider variety of countries than now.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디자인씽킹 중심의 유아언어교육 교과목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배지현(Jee-Hyun Ba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디자인씽킹 중심의 유아언어교육 교과목을 구성 및 적용함으로써 전공수업의 개선을 도모하고,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실천 역량을 함양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유아언어교육을 수강하는 유아교육과 4학년 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행연구의 결과를 논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씽킹 기반의 유아언어교육 수업 개선을 위한 실행과정’중 ‘계획’ 단계에서는 현장의 문제점인 언어교육에서의 유아 흥미 부족과 언어영역의 고정화 문제를 인식하고 1차 실행을 함께 계획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말하기가 활발하게 표출될 수 있는 놀이와 쓰기가 즐거운 재미있는 편지지를 창안하고, 현장교사 연계로 피드백을 받았다. ‘반성 후 재실행’ 단계에서는 현장실습을 다녀온 예비유아교사들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창의적 쓰기 개발, 디자인씽킹을 반영한 놀이 사후실행안을 작성하였다. 사후실행안으로 모의수업으로 발표하며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진행하였다. 둘째, ‘디자인씽킹 기반의 유아언어교육 수업 개선을 위한 실행의 의미’는 ‘관행 보다 소중한 유아에게 귀 기울이기’와 ‘공감과 협력을 통한 자기성찰과 성장’으로 정리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다양한 전공 교과목의 변화는 필요하며, 유아에게 공감하며 각기 다른 문제를 해결해 본 경험은 예비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 함양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밝힌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major subjects by constructing and applying design thinking centered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for prospective kindergarten teachers, and to cultivate their teaching ability in the classroo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as follows. First, in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subjects centered on design thinking, the plan stage recognizes the problem of interest in language education and the execution of language areas. In the action step, they created a interesting stationery for plays that can be actively expressed for young children who are hard to write. In the re-action after reflection steps, they have developed creative writing based on the diverse experience of the who have been working on a kindergarten field practice, Second, The meaning of the implementation for the major classes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is listening to young children than given practice, and self-reflection and growth through sympathy and cooper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needed to change the various major classes and the experience of problem solving is that it is also helpful for the autonomy and expertise of prospective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

        햇빛유치원 교사들의 수업목표 설정과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배지현(Bae Jee-Hyun),이경화(Lee Kyung-Hw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0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목표 중 ‘수업목표’가 유아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설정되고 수업에 적용되는지 알아보고, 신교육목표분류학을 매개로 수업목표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반성적 실행과 수업개선을 도모하는데 있다. 햇빛유치원의 교사 5명을 대상으로, 6주간 실시한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들의 수업목표 설정방법은 ‘교육이론’, ‘발달수준’, ‘주제’, ‘시기’, ‘동료 교사’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방법이었다. 둘째, 교사들의 수업목표개선을 위한 실행과정은, ‘신교육목표분류학의 소개와 적용가능성’ 논의, ‘개선을 위한 적용의 시작’, ‘다양한 적용방법 개발과 적용’, ‘개선의 지속과 미래를 위한 종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수업목표에 대한 반성적 논의는 장학의 역할과 교사의 반성적 성장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 수업목표의 역할에 대한 재고해볼 여지를 주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ways of instructional goal setting, which belonged to educational objective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methods of attaining selected goals. A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was utilized to shed light on their reflective attainment of instructional goals and the process of their improve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ways of instructional goal setting amo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unshine Kindergarten, they set instructional goals in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theories, the developmental level of preschoolers, the selected theme, time period and fellow teachers. And they reflected on their practices of setting goals without taking evaluation into account. Second, concerning the ways of improving instructional goals amo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y had a discussion about the feasibility of a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fter they were explained about that. In the next stage of acting, the teachers started to apply it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activities, to use questioning, to make a program evaluation and to offer differentiated guidance customized to the level of preschoolers. Thus, they got to set their instructional goals in a more productive manner. In the final stage of sustainable improvement and preparation for the future, they produced new evaluation tools by taking their selected goals into consideration, and carefully thought of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n which they participa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had some implications: First, having a reflective discussion on instructional goals can serve as an opportunity of supervis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is study provided diverse perspectives about the roles of instructional goals. Third, this study found that having a discussion on instructional goal setting and its attainment could serve as an opportunity for teachers to achieve a reflective growth.

      • KCI등재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과 요구

        배지현(Jee-Hyun Ba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

        본 연구는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에 대한 교사들의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경기도 공사립유치원 교사 81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들이 느끼는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의 어려움은 ‘가치교육의 구체적 교수방법과 실행에 대한 정보 부족’, ‘가치교육보다 우선시되는 다른 교육내용’, ‘유아가치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해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을 위해 요구되는 것은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가치교육의 연계’, ‘가치교육을 위한 교사의 의지와 전문성’, ‘가치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이해와 참여’, ‘가치교육에 대한 기관의 교육철학의 확립’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요구하는 가치교육 자료는 실행사례집, 동영상, 부모교육 자료 등, 요구하는 교사연수의 방법은 온라인 영상연수, 직무연수, 전문적 학습공동체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바른 인성에 대한 논의와 유아가치교육을 분리되지 않는 맥락으로 연계하길 바라는 교사의 요구를 파악하였다는 점, 실천을 위한 교사의 의지와 전문성, 학부모와 함께 만들어가는 가치교육에 대한 요구가 표출되었다는 점, 교사가 원하는 자료와 연수 유형을 밝혀 유아가치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indergarten teachers’ the difficulties and needs on early childhood value 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by grasping of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on 815 teachers of kindergartens in Gyeonggi-do. As a result, first, the difficulties in applying value education to teachers are lack of information on specific teaching methods. Second, what is required is connect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value education, teachers will and parents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The implications are that the discussion on the right character emphasized in the Nuri curriculum and the needs of teachers who wish to link early childhood value education into an unseparated context were identified.

      • KCI등재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교사의 수업목표 인식과 설정에 따른 유아문학수업 개선 사례

        배지현 ( Jee Hyun Bae ),이경화 ( Kyung Hwa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신교육목표분류학을 기초해 교사들의 수업목표 인식과 설정에 따른 유아문학수업에 관한 실행과정을 통해 수업 개선을 도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3명을 대상으로, 16주간 실시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수업목표 인식과 설정에 따른 유아문학수업 개선에 관한 실행과정은 ‘계획하기: 수업목표 설정에 관한 반성적 점검과 개선방안 찾기’, ‘행동하기: 적용상의 어려움과 극복과정’, ‘관찰하기: 지속적 반성과 실행을 통한 수업 개선’, ‘반성하기: 지속적 미래를 위한 반성과 종합’을 거쳤다. 교사들은 목표 수준의 향상과 수업에의 반영, 달라진 발문들을 통해 종합적인 ‘유아문학수업개선을 위한 교사발문전략’ 다섯 가지를 정리하였다. 둘째, 수업목표 인식과 설정에 따른 유아문학수업 개선 사례의 특징은 ‘자기장학과 동료장학의 통합적 수업 개선’과 ‘신교육목표분류학의 유아문학교육적 활용’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은 협력적 실행연구의 장학역할과 수업목표인식과 설정을 통한 다양한 문학수업에의 적용이 가능함을 보여준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kindergarten teachers offered literature lessons in consideration of their awareness and setting of instructional objectives according to the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n an effort to step up the improvement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selected kindergarten teachers. This study was implemented for 16 weeks,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tried to improve their literature classes in four stages based on their awareness and setting of instructional objectives. The first stage was planning, which was to check the selected instructional objectives from a reflective perspective and seek reform measures. The second was acting out, which was to address difficulties that they faced. The third was observing, which was to improve literature lessons through continuing reflection and acting out, and the fourth was reflecting, which was to keep reflecting and piece together what``s reflected in pursuit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teachers formulated five teacher questioning strategies to improve their literature classes after they tried to raise the level of objectives, to reflect the selected objectives in their classes and to ask questions in a different way. Second, regarding the meanings of the efforts to improve early childhood literature classes based on awareness and setting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ne goal was to improve classes in an integrated manner and through self-supervision and peer supervision, and the other was to utilize the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자연친화 영역 중심의 프로젝트 스펙트럼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배지현(Bae, Jee-Hyun),이경화(Lee, Kyung-Hw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3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친화 영역 중심의 프로젝트 스펙트럼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자발적 실행과정을 알아봄으로써, 수업개선을 도모하는데 있다. 유아교사 9명을 대상으로, 10주간 실시한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자연친화 영역 중심의 프로젝트 스펙트럼의 실행 과정은 프로젝트 스펙트럼과의 첫 대면, 1차 적용: 적용의 어려움과 반성적 인식, 2차 적용: 다양한 적용 시도, 3차 적용: 적용의 심화, 4차 적용: 프로젝트 스펙트럼을 통한 강점 발달, 지속과 미래를 위한 종합 토의 및 평가로 나타났다. 둘째, 자연친화 중심의 프로젝트 스펙트럼 실행의 의미를 살펴보면, ‘프로그램 차원의 의미’로는 가정과 연계된 자연친화 영역 평가, 유아 강점 발달 도구, 비계설정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교사 차원의 의미’로는 동료장학과 자기장학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은 프로젝트 스펙트럼의 자발적 실행은 프로그램적 성장과, 장학의 역할, 교사의 반성적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aturalist intelligence based on project spectrum of Multiple Intelligences. This program is both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it"s meant to investigate the way of applying and performing it among teachers in an attempt to improve their instruction. The participants were nin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is study was implemented during a 10-week period of tim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project spectrum that focused on naturalist intelligence domain was perform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encounter, the first application(difficulties in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and reflective examination), the second application(diverse attempts), the third application(enrichment), the fourth application(the development of strength through the project spectrum), and overall discussion/evaluation in pursuit of sustainability and a better future). Second, the meaning of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 was analyzed. As for its meaning as a program, it"s found that the nature- friendly project spectrum could serve as a tool to evaluate the naturefriendly domain linked to families, as a tool to develop the strength of preschoolers and as a tool of scaffolding. Regarding its meaning for the teachers, that was viewed as a means of colleague supervision and self-supervi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spontaneous performance of the project spectrum makes it possible to step up the growth of the program itself as a program, to ensure successful supervision and to facilitate the reflective thinking and growth of teachers.

      • KCI등재

        하늘유치원의 혁신유치원 연간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배지현(Bae, Jee-Hy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6

        본 연구는 혁신유치원으로 선정된 사립유치원의 교육과정 운영과정과 그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 혁신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A시 하늘대학교 부속유치원을 대상으로 3년 10개월 동안 참여관찰과 면담, 자료수집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혁신유치원 교육과정 운영은 ‘계획: 합의 되지 못한 가치, 모호함, 그러나 꼭 가야하는 길’, ‘실행: 혁신유치원의 합의된 가치실현’, ‘반성 후 재실행: 지속가능한 삶의 가치, 그리고 나눔’의 단계를 거쳤다. 둘째, 혁신유치원의 교육과정 운영의 의미는 ‘유아교육의 본질찾기’, ‘교사의 전문성 신뢰하기’, ‘가치지향적 문화 공유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유아교육의 혁신에 대한 의미를 재고하였다는 점, 혁신유치원의 필요성과 의미를 현장의 실제에서 도출하였다는 점, 혁신유치원 구성원의 관점을 장기간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후속연구를 제언하면, 교사별 학급교육과정 운영에서의 혁신사례를 도출하는 노력과 혁신유치원 운영에 참여한 학부모들의 변화과정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향후 혁신유치원 대상 원장공모제와 교사공모제 도입 등 근본적인 조직문화개선에 관한 대안모색도 요구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he innov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examining the operating process and meaning of yearly curriculum of a private kindergarten, selected as an innovation kindergarten. For this, the participative observation, interview, and data collection were conducted on Haneul University Kindergarten located in A city, Gyeonggi-do for 3 years and 10 month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curriculum operation of innovation kindergarten went through the stages such as ‘Plan: Values that have not been agreed, ambiguity, but the path that should be taken’, ‘Practice: Realization of values of innovation kindergarten’, and ‘Re-practice after reflection: Sustainable values of life, and sharing’. Second, the meaning of innovation kindergarten curriculum operation included finding the esse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rusting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sharing the value-oriented cultu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ould be reconsidering the meanings of innovation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rawing the necessity and meaning of innovation kindergarten, and also examining the viewpoint of members of innovation kindergarten.

      • KCI등재

        우리나라 유치원 방과후과정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이미선(Yi, Mi-Seon),배지현(Bae, Jee-Hy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5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치원 방과후과정 관련 연구의 동향을 고찰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유치원 방과후과정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1991년도부터 현재까지의 학술지 논문을 Excel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도별 동향은 2005년부터 2010년까지 논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2005년과 2015년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방과후과정 교사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고, 유아, 부모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교사의 방과후과정 운영 경험과 관련된 연구가 많았다. 넷째, 연구방법별 동향은 양적연구가 높게 나타났고, 질문지, 검사지 활용한 관찰법이 많이 활용됨에 따라 차이검증 분석방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유아교육기관의 엄연한 교육시간임에도 불구하고 종일반, 시간연장제 등 혼재된 용어로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던 유치원 방과후과정에 대한 연구적 접근에 초점을 두어 추후 연구를 위한 기초를 제공하였다는 점, 연구의 동향에 나타난 방과후과정 유아들의 부정적인 발달양상을 밝힘으로써, 양적으로 늘어나는 방과후과정의 질적인 향상과 종합적 돌봄의 필요성을 논하였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continually increasing researches on kindergarten after-school by examining research trend on kindergarten after-school in South Korea from 1991 to 2018 by Excel.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nual tendency showed that the number of thesis consistently increased from 2005 to 2010 and most of them were published between 2005 and 2015. Second, in the tendency for study targets, researches on after-school teachers were the greatest, followed by infants and parents. Third, in the tendency for study contents, researches on teachers’ experiences in operating after schools were the greatest. Fourth, in the tendency for study methods, the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high and the difference verification method was used a lot as the observation method, such as questionnaires and test papers were largely us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provides a basis for further studies focusing on the research approaches towards kindergarten after-school of which value was unacknowledged due to usage of mixed terms, such as full-day class and expanded time program, despite its officially approved status and tim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revealing the negative aspect of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in after-school shown in the tendency of the study.

      • KCI등재

        영유아수학교육 연구동향 분석

        이사임(Yi, Sa Im),배지현(Bae, Jee Hyu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학술지를 중심으로 2007년부터 2014년까지의 영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연구동향을 탐색하여 수학교육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학술지 논문 160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도별 동향은 2012년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전반적으로 지속적인 연구발표가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영유아, 교사, 문헌, 부모대상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내용별 동향을 살펴보면, 연구주제에서는 수학교육의 지식 기술 태도의 발달이, 교육목적에서는 영유아의 경우 수학능력을 연구한 경우가 많았고, 교사의 경우는 지식 기술 태도 모두를 고르게 연구하였다. 교수학습방법에서는 다른 교과 간 통합연구가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유형별 동향은 양적연구가 많았으며, 검사법을 활용한 차이검증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영아기와 유아기 수학교육의 동향을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 연구대상과 연구방법의 편중된 점을 제시함으로써 균형적 영유아수학교육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academic journal articles o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between 2007 and 2014 in an effort to provide related information. 160 academic journal articles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 as for a research trend by year, the largest number of the articles were published in 2012. In general, there was a consistent publication of studies in this field. Second, concerning a research trend in subjects, infants and preschoolers were the most dominant subjects, followed by teachers, literature and parents. Third, as to a research trend in content, the most common research theme was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 most common purpose was to examine the mathematical skills of infants and preschoolers. In regard to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tegration of mathematics with other subjects was most widely investigated. Fourth, in relation to a research trend in the type of research, quantitative research, especially verification of difference by test methods, was most prevailing.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found particular subjects and specific methods were excessively selected in these studies by investigating the research trends in infant and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in an integrated way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 for research into balanced infant and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 KCI등재

        자기성찰과정에서 나타난 햇빛어린이집 교사의 정체성 탐색

        이미경(Mi-kyung Lee),배지현(Jee-hyun Ba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햇빛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의 정체성을 탐색하고, 정체성이 교사역할의 실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정체성에 대한 이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햇빛어린이집 교사 7명을 참여자로 Pinar의 자서전적 방법, 심층면담, 참여관찰, 저널 등의 방법을 통하여 정체성과 교사역할 실제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교사가 인식하는 ``자아정체성``은 너 자신을 알라-나 자신에 전념하기, 존재의 발생-내가 알고 있던 나와 내가 알지 못하던 나, 내 안으로부터의 공명-자기성찰의 목소리, 위버멘쉬의 여정-진정한 교사되기로, ``사회적 정체성``은 수치심과 혼돈의 미로, 관계 속에서 나 찾기, 열린 가능성으로 살아서 움직이기로 나타났다. 교사의 정체성이 교사역할의 실제에 미치는 영향은 ``나처럼 해봐`` 대 ``나와 함께 해보자``와 ``차이와 반복`` 창조하기- ``배우고 실천하면 기쁘지 아니한가``로 탐색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보육교사가 스스로 자신의 자아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을 인식함은 자기 주체적 교육실천을 도모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을 밝힌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research teacher identities of nursery teachers. We explored the identities of 7 teachers and the way they reflect on the teacher``s identity and role through a series of methods including Pinar``s autobiography method,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 observation, and journal writing. Th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8 September 2015 and 25 March 2016.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e classified the self-identity that the teachers of Sunshine Nursery recognize into 4 categories: ``Know Yourself``- committing to myself; Occurrence of Existence - myself that I have known and I have not; Echoes of Inner Self -voice of self-reflection; and ``Ubermensch``s Journey`` - becoming a true teacher. We classified social identity into 3 categories: Maze of Shame and Chaos; Finding Myself within Relationship; and Moving Alive with Open Possibility. We classified teacher identity and the teacher``s role into 2 categories: ``Follow Me`` vs ``Let``s Do It Together``; Creating ``Difference and Repetition`` - Isn``t it pleasant to learn and practice. By recognizing their identity, teachers could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