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곰취 메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

        배종향(Jong Hyang Bae),유성오(Sung Oh Yu),김영민(Young Min Kim),천상욱(Sang Uk Chon),김병운(Byoung Woon Kim),허북구(Buk Gu Heo)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9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8 No.1

        곰취(Ligularia fischeri) 이용성을 높이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메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 온도 및 시간에 따른 생리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곰취 메탄올 추출물 l,000㎎ㆍL?¹에 함유된 총 페놀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75.8-297.7㎎ㆍL?¹, 45.6-173.6㎎ㆍL?¹이었다. 추출온도와 시간은 총 페놀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의 경우 95℃에서 6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기장 좋았다. 그러나 아질산염 소기능은 75℃에서 12시간 추출한 것에서 97.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곰취 메탄올 추출물 200㎎ㆍL?¹ 및 400㎎ㆍL?¹ 농도는 각각 폐암과 위암 세포 증식을 90% 이상 억제시켰다. 따라서 곰취는 높은 생리활성 기능을 나타내는 채소로 나타났으며, 곰취를 가공품으로 이용하기 위해 메탄올로 추출할 때는 95℃ 6시간 정도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ather the basic data on making good use of a kind of groundsel (Ligularia fischeri). We have made methanol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and have also determined the effects of extracting temperature and time 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Total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 contents in the methanol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at the extracting concentration of 1,000㎎ㆍL?¹ were 75.8-297.7㎎ㆍL?¹ and 45.6-173.6㎎ㆍL?¹. Total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most increased when Ligularia fischeri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t 95℃ for 6 hours, however, nitrit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extremely increased at 75℃ for 12 hours by 97.4%. At 200㎎ㆍL?¹ and 400㎎ㆍL?¹ methanol extracting concentration, the hyperplasia of lung cancer cells (Calu-6) and stomach cancer cells (SNU-601) were effectively inhibited over 90%. Consequently, it was assumed that Ligularia fischeri was a functional vegetable with a higher physiological activities. Making the processed foods, it had better make the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with methanol at 95℃ for 6 hours.

      • KCI등재

        뽕나무 절지의 저장 습도가 새싹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배종향(Jong-Hyang Bae),조자용(Ja-Yong Cho),김병운(Byoung-Woon Kim),장홍기(Hong-Gi Jang),허북구(Buk-Gu Heo)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8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7 No.1

        목본류의 절지를 이용한 싹기름 채소생산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뽕나무 가지를 2006년 4월 13일에 절지하여 4~6℃의 저온저장고에서 습도조건(40~50% 및 80~90%)에 따른 생존율과 1~3개씩의 싹을 붙인 가지를 자른 후 싹기름을 했을 때 저온저장 일수에 따른 새싹의 생장 정도를 조사하였다. 뽕나무 절지의 생존율은 저장일수가 길수록 낮아져 저온저장을 하지 않은 채취 당일에 싹기름을 한 것은 97.4%였고, 122일 저온저장한 후 싹기름을 한 절지는 40~50%의 습도조건에서 34.2%, 80~90%의 습도조건에서 저장한 것은 85.7%였다. 또한 절지의 저장일수가 길수록 새싹의 잎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싹의 길이와 폭도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뽕나무의 절지를 4~6℃의 저장온도와 80~90%의 습도조건에서 저장한 후 1~3개씩의 싹을 붙인 가지를 잘라 싹기름을 하면 새싹 채소의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industrial producing technology of sprout vegetables using the cut twigs of woody plants. We have cut the twigs of wild mulberry tree on 13 April, 2006 to examine the sprouting rate as affected by the storage conditions on relative humidity of 40~50% and 80~90% under 4~6℃ temperature. And we have also investigated the sprouting growth following those storage period of twigs cut with 1~3 buds. The longer storage periods, the less survival rate of wild mulberry twigs cut. The sprouting rate of cut twigs gathered on the day which had not stored at low temperature was 97.4%. And The sprouting rate at the relative humidity of 40~50% after storing at low temperature for 122 days were 34.2%, and that of at 80~90% relative humidity was 85.7%. The longer storage periods, the more the number, length and width of sprouts. Therefore, the twigs of a wild mulberry trees cut with 1~3 buds were able to produce the sprout vegetables under the condition of temperature 4~6℃ and relative humidity 80~90%.

      • KCI등재
      • 동계작형에서 국내 육성 파프리카 적색품종의 생육특성 및 생산성 비교

        배종향(Jong Hyang Bae),구양규(Yang Gyu Ku),김호철(Ho Cheol Kim),김철민(Chulmin Kim),고바울(Baul Ko)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본 연구에서는 국내육성 파프리카의 보급을 목적으로 농가에서 다용하고 있는 ‘SCIROCCO’ 품종을 대조품종으로 하여 국내 육성 적색과 7품종(‘미네르바레드’, ‘헤라레드’, ‘ARO-3R’, ‘메티스’, ‘케이글로리아레드’, ‘앙상블’, ‘코리’)을 대상으로 생육특성 및 생산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20년 10월 19일 암면큐브에 이식된 묘를 코이어배지에 정식하였고, 농가 관행의 방법으로 2021년 6월 13일까지 34주간 재배하였다. 초장은 ‘미네르바레드’, ‘헤라레드’, ‘ARO-3R’, ‘메티스’ 품종은 241-251 cm/plant 범위로 대조품종인 ‘SCIROCCO’ 품종의 256cm/plant보다 유의하게 짧았고, ‘케이글로리아레드’, ‘앙상블’, ‘코리’ 품종은 280-291 cm/plant 범위로 현저히 길었다. 마디수는 ‘미네르바레드’ 및 ‘케이글로리아레드’ 품종에서 각각 44.3, 45.0ea/plant로 대조품종의 43.3ea/plant보다 유의하게 많았고, 나머지 품종에서는 적거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평균절간장은 초장이 길었던 ‘케이글로리아레드’, ‘앙상블’, ‘코리’ 품종에서 6.5 ‒ 6.7cm/node로 대조품종과 나머지 품종들보다 뚜렷하게 길었다. 평균수량은 ‘케이글로리아레드’ 품종에서 18.3ea/plnat로 대조품종의 16.7ea/plant 보다 약 1.6ea/plnat 많았다. 나머지 품종에서는 대조품종보다 적거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평균과중은 ‘앙상블’ 품종에서 237.9g/fruit로 대조품종의 212.2g/fruit보다 약 10% 무거웠다. 따라서 식물체의 생육 및 생산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국내 육성 품종 중 ‘ARO-3R’ 품종 또는 ‘케이글로리아레드’ 품종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결과의 검증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하여 반복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며 과실의 상품성에 대한 항목들을 추가로 조사할 예정이다.

      • LED 광원의 효과적인 색온도 제어에 관한 연구

        배종일(Jong-IL Bae),심창수(Chang-Soo Sim)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7

        This paper presents an LED lighting system with an LED color temperature control. The adequate color-control of LED devices is so important because it makes the control of color temperatur available in the field where traditional lamps had difficulty providing proper control of color temperatu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changes in electricity on the characteristics of LED of the LED system, weighed the pros and cons of LED system with compared to the traditional ones, compared the control system of PID and fussy-based.

      • 나노기공성 물질을 이용한 메탄개질 및 수소분리용 연속반응시스템 설계 및 평가

        배종수(Bae, Jong-Soo),박주원(Park, Joo-Won),김재호(Kim, Jae-Ho),이재구(Lee, Jae-Goo),최영찬(Choi, Young-Chan),한춘(Han, Choo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6

        아직까지 국내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에너지는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다. 지하자원에서 나오는 석탄,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는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 운송이 간편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환경오염의 문제성과 오일가상승, 자원의양 및 저장장소가 한정되어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수소와 같은 대체에너지를 이용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무한히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을 개발하기 위한 대체 방안들이 연구되고 있다. 폐기물 가스화시 발생되는 합성가스(CO, CO₂, CH₄, H₂) 내 일차로 생성된 일산화탄소는 수증기와 반응함으로써 이산화탄소로 전환이 가능하다. 잔류 메탄은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개질함으로써 합성가스내 수소농도를 높일 수 있다. 전환된 잔류가스(CO, CO₂, H₂)내 일산화탄소는 산소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로 산화시킬 수 있으며, 산화된 이산화탄소는 흡착제를 이용하여 제거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가스화시 발생되는 합성가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RPF가스화시 발생되는 합성가스를 직접 포집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합성가스내 소량의 메탄은 니켈촉매를 이용하여 수소로 전화시켰으며, 잔류하는 일산화탄소는 백금촉매, 이산화탄소는 탄산나트륨 흡착제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순수한 수소를 제공하였다.

      • KCI우수등재

        국가의 재외국민보호 의무의 범위와 한계 -헌법 제2조상의 재외국민보호와 국제법상의 외교적,영사적 보호-

        배종인 ( Jong In Bae ) 법조협회 2007 法曹 Vol.56 No.12

        국제법상의 자국민 보호의 수단으로 출발한 ``외교적 보호``와 ``영사적 보호``라는 개념들은 주로 국가들간의 관계(국적국 對 체류국)에서 체류국을 상대로 한 국적국의 권리 또는 재량으로 이해되는데 반하여, ``재외국민의 보호``라는 개념은 국민과 국가의 관계에서 국민에 대한 국가의 의무(역으로 얘기하면 국민의 권리)라는 문맥속에서 논의되고 있다. 우리 헌법 제2조 제2항의 재외국민보호 의무는 1980년대말 재외국민의 참정권 논의 및 통일정책에 대한 지지 확보 등의 배경으로 입법을 통한 해외교민에 대한 지원이라는 취지로 신설되었으나, 그후 헌법소송이나 국가배상소송 등의 과정에서 헌법 제2조의 ``재외국민보호 의무``의 범위와 그 한계가 분명하게 정리되지 못하였고 오히려 이러한 재외국민 보호와 외교적 보호 및 영사적 보호의 개념이 혼돈스럽게 주장되고 있다. 그러나 헌법 제2조에서 말하는 재외국민보호 의무는 원칙적으로 입법을 통한 해외교민의 지원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피해 사건·사고에 있어서 국가의 보호 제공은 - 만약 구체적인 입법이 없다면 - 국민에 대한 국가의 일반적·조리상의 의무라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