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후변화에 따른 금강 유역의 어류 종분포 변화 예측

        배은혜,정진호,Bae, Eunhye,Jung, Jinho 응용생태공학회 2015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2 No.3

        기후변화에 의한 수생태계의 영향은 수생생물의 생리작용의 변화에서부터 종분포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금강유역의 어류 종분포를 예측하기 위하여 비출현 정보를 요구하지 않고도 좋은 예측력을 가지고 있는 MaxEnt 모형을 활용하였다. 금강유역 134개 지점의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어류 출현 자료 (고유종 17종 포함 총 47종)와 9개의 환경인자 (월별 최저기온, 최고기온, 평균기온, 강수량, 최저수온, 최고수온, 평균수온, 고도, 경사)를 사용하여,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2050년과 2100년의 어류 종분포를 예측하였다. MaxEnt 모형은 평균 0.798의 적절한 모형적합도를 보여 주었으며, 종분포 예측에 기여도가 높은 환경인자는 고도, 강수량, 최저수온 순이었다. 기후변화가 진행됨에 따라 얼룩동사리와 줄납자루와 같은 고유종의 출현확률은 감소한 반면, 배스와 블루길과 같은 외래종의 출현확률은 증가하였다. 특히 2100년에는 5종 (줄몰개, 미꾸라지, 강준치, 줄납자루, 칼납자루)의 어류가 금강유역에서 더 이상 서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리고 기후변화에 따라 종풍부도가 높은 지역이 금강유역 내에서 북상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이 금강유역 수생태계의 교란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aquatic ecosystems range from changes in physiological processes of aquatic organisms to species distribution. In this study, MaxEnt that has high prediction power without nonoccurrence data was used to simulate fish distribution changes in the Geum river watershed according to climate change. The fish distribution in 2050 and 2100 was predicted with RCP 8.5 climate change scenario using fish occurrence data (a total of 47 species, including 17 endemic species) from 2007 to 2009 at 134 survey points and 9 environmental variables (monthly lowest, highest and average air temperature, monthly precipitation, monthly lowest, highest and average water temperature, altitude and slope). The fitness of MaxEnt modeling was successful with the area under the relative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C) of 0.798,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showed a high level of prediction were as follows: altitude, monthly average precipitation and monthly lowest water temperature. As climate change proceeds until 2100,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for Odontobutis interrupta and Acheilognathus yamatsuatea (endemic species) decreases whereas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for Microphysogobio yaluensis and Lepomis macrochirus (exotic species) increases. In particular, five fish species (Gnathopogon strigatus, Misgurnus mizolepis, Erythroculter erythropterus, A. yamatsuatea and A. koreensis) were expected to become extinct in the Geum river watershed in 2100. In addition, the species rich area was expected to move to the northern part of the Geum river watersh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ater temperature increase caused by climate change may disturb the aquatic ecosystem of Geum river watershed significantly.

      • KCI등재

        마우스레트로바이러스에 의한 합포체 형성 기작 분석

        배은혜,박성한,정용태,Bae, Eun-Hye,Park, Sung-Han,Jung, Yong-Tae 한국미생물학회 2006 미생물학회지 Vol.42 No.3

        To study the mechanism of syncytium formation, novel syncytia-inducing ecotropic murine retrovirus was used. Our previous result showed that amino acid substitutions at the RBD (receptor binding domain) of envelope glycoprotein contribute to syncytium formation.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if this fusion phenomenon could occur with retroviral vectors pseudotyped with the novel syncytia-inducing ecotropic murine leukemia virus Env. We have found that these vectors were not able to mediate virus-to-cell fusion in M. dunni murine cell lin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yncytia-inducing ecotropic murine leukemia virus is capable of generating syncytia during its replication. There was also no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ecotropic murine leukemia virus receptor (mCAT-1) and the fusogenic effect. 레트로바이러스의 합포체(syncytia)형성 기작 연구를 위해 합포체 형성을 유도하는 새로운 ecotropic 마우스레트로바이러스(Friend murine leukemia virus)변이주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마우스레트로바이러스의 외막에 존재하는 당단백질 중 수용체와 결합하는 부위의 아미노산을 변화시키면 합포체를 형성할 수 있음이 이미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합포체 유도 마우스레트로바이러스 외막 당단백질을 가진 pseudotype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로 부터도 이러한 융합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마우스 세포주인 M. dunni에 pseudotype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결과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매개에 의한 바이러스-세포간 융합 현상은 일어나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합퐁체 형성이 바이러스 복제가 가능한 합포체 유도 마우스레트로바이러스에만 일어남을 나타낸다. 또한 ecotropic 마우스레트로바이러스 수용체의 농도와 막 융합과의 상관관계도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 어류 분포에 미치는 기후변화 영향 평가를 위한 서식적합성 모형 적용

        심태용,배은혜,정진호,Shim, Taeyong,Bae, Eunhye,Jung, Jinho 응용생태공학회 2016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3 No.2

        Temperature increase and precipitation changes caused by change alter aquatic environments including water quantity and quality that eventually affects the habitat of aquatic organisms. Such changes in habitat lead to changes in habitat suitability of the organisms, which eventually determines species distribution. Therefore, conventional habitat suitability models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habitat suitability changes of freshwater fish cause by change. Habitat suitability models can be divided into habitat-hydraulic (PHABSIM, CCHE2D, CASiMiR, RHABSIM, RHYHABSIM, and River2D) and habitat-physiologic (CLIMEX) models. Habitat-hydraulic models use hydraulic variables (velocity, depth, substrate) to assess habitat suitability, but lack the ability to evaluate the effect of water quality, including temperature. On the contrary, CLIMEX evaluates the physiological response against climatic variables, but lacks the ability to interpret the effects of physical habitat (hydraulic variables). A new concept of ecological habitat suitability modeling (EHSM) is proposed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by combining the habitat-hydraulic model (PHABSIM) and the habitat-physiologic model (CLIMEX), which is able to evaluate the effect of more environmental variables than each conventional model. This model is expected to predict fish habitat suitability according to climate change more accurately. 기후변화에 의한 온도 상승 및 강수량 변화는 수량 및 수질을 포함한 수환경의 변화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수생생물의 서식지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서식지 변화는 생물종의 서식적합도 변화로 이어지고, 서식적합도에 의해 종분포가 결정된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의한 담수 어류의 서식적합성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기존의 서식적합성 모형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서식적합성 모형은 PHABSIM, CCHE2D, CASiMiR, RHABSIM, RHYHABSIM, River2D과 같은 서식지-수리 모형과 CLIMEX와 같은 서식지-생리 모형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서식지-수리 모형들은 수리학적 인자 (유속, 수심, 기질)를 이용하여 서식적합도를 예측하기 때문에, 수온을 포함한 수질의 영향을 평가할 수 없다. 반면, CLIMEX는 기후 인자에 대한 생물의 생리학적 반응을 평가하기 때문에, 물리적 서식지 (수리학적 인자)의 영향을 평가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식지-수리 모형인 PHABSIM과 서식지-생리 모형인 CLIMEX의 구동 원리를 융합하여 기존의 모형들보다 다양한 환경 인자에 대한 영향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모형인 생태학적 서식적합성 모형 (EHSM)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이 모형은 기후변화에 의한 어류의 서식적합도 변화를 더욱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RT-PCR법을 이용한 백합 바이러스 LSV, LMoV, CMV의 검출

        임지현,배은혜,이용진,박성한,이규준,김새로미,정용태,Lim, Ji-Hyun,Bae, Eun-Hye,Lee, Yong-Jin,Park, Sung-Han,Lee, Kyu-Jun,Kim, Sae-Ro-Mi,Jung, Yong-Tae 한국미생물학회 2009 미생물학회지 Vol.45 No.3

        2008~2009년에 강원, 충남, 제주 지역의 백합 재배 농가에서 바이러스 감염 증상을 보이는 백합의 잎과 구근을 채취하였으며 RT-PCR 방법으로 Lily mottle virus (LMoV), Lily symptomless virus (LSV), Cucumber mosaic virus (CMV) 등 3 종류의 바이러스를 검출 하였다. LSV 12주, LMoV 20주, CMV 1주가 검출 되었으며 LSV에 감염된 12개의 식물체 중 7개에서는 LMoV도 검출되어 복합 감염된 것을 확인하였다. LMoV와 LSV에 의한 복합 감염은 엽맥투명화, 잎말림, 반점, 모자이크, 황화 줄무늬 등 단독 감염보다 심각한 병징을 나타내었으며 좋지 않은 환경에서 저장된 구근에서도 복합 감염이 관찰되었다. 채집된 식물체는 LMoV 감염이 가장 많았으며 Lily virus X(LVX)에 의한 감염은 검출되지 않았다. 7개 분리주의(LMoV 4주, LSV 2주, CMV 1주) 외피 단백질 유전자를 증폭한 후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국내에서 발표된 백합 바이러스 염기서열(LSV:AJ516059, CMV: AJ296154)과 비교 하였으며 LMoV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기존에 보고된 염기서열(AJ564636)과 비교하였다. 분리주는 기존에 보고된 바이러스와 95~99%의 뉴클레오티드 염기서열 유사성을 보였으며, 이들 분리주의 분자 생물학적 특성을 밝히고 신속하고 정확한 바이러스 진단을 위해서는 전체 염기 서열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Leaf samples and bulbs showing characteristic symptoms of virus infection were collected from Gang-won, Chung-nam, and Jeju Province of Korea in 2008-2009. Three viruses, Lily symptomless virus (LSV), Lily mottle virus (LMoV), and Cucumber mosaic virus (CMV) were detected by RT-PCR. Virus-infected plant samples were identified; 12 plants with LSV, 20 plants with LMoV, and 1 plant with CMV. Of the twelve LSV infected samples, seven samples were found to be mix-infected with LMoV and LSV. Symptoms of LMoV and LSV mixed infection were fairly severe, like as vein clearing, leaf curling, leaf mottling, leaf mosaic, and yellow streaking. Mixed infection with LMoV and LSV was also found in lily bulbs which have been stored under un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LMoV predominated in our tests, whereas spread of Lilyvirus X (LVX) was not found. The nucleotide sequences of coat protein (CP) region of seven isolates (4 LMoV, 2 LSV, and 1 CMV) were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regions of LMoV (AJ564636), LSV (AJ516059) and CMV(AJ296154). The nucleotide sequence homologies between reference viruses and seven isolates were 95-99%. Complete sequencing of seven isolates is necessary to obtain more information on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these viruses as well as to increase sensitivity and rapidity of viral detection.

      • 고속철도의 소음예측과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김갑수(Kim, Gap-Su),배은혜(Bae, Eun-Hye) 대한교통학회 2004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46 No.-

        산업혁명과 이에 따른 공업화, 도시화는 많은 사회구조의 변화를 가져 왔으며, 이에따른 인구의 집중은 교통량의 증대 등 도시생활양식의 변화는 여러 가지 공해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국민들의 생활에 관한 가치관도 다양해져서 질적인 풍요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것을 포함한 생활의 질향상을 추구하는 경향이 높아져가고 있으며, 도시공해문제는 이에대한 가장 큰 장해요소의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 KCI등재

        합포체 분석을 위해 R 펩타이드가 결여된 형광 표지 Moloney 마우스레트로바이러스 Molecular Clone 제조

        이용진,박진우,이규준,배은혜,박성한,임지현,김새로미,정용태,Lee, Yong-Jin,Park, Jin-Woo,Lee, Kyu-Jun,Bae, Eun-Hye,Park, Sung-Han,Lim, Ji-Hyun,Kim, Sae-Ro-Mi,Jung, Yong-Tae 한국미생물학회 2009 미생물학회지 Vol.45 No.3

        Retroviruses enter host cells by membrane fusion between the viral Env proteins on the virus membrane and a virus receptor on the cellular membrane. The envelope protein of the ecotropic Moloney murine leukemia virus is synthesized as a gp85 precursor and is proteolytically cleaved into an extracellular surface unit (SU) and the transmembrane protein (TM). The cytoplasmic tail (16 amino acid; R peptide) of the TM protein is further cleaved by the viral protease during virion maturation. Unlike the wild type Env protrin bearing the R peptide, R peptide-truncated Envelope induces syncytia in susceptible cell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R peptidetruncated Env in syncytium formation, R peptide-truncated Env expressing full-length molecular clone containing EGFP in PRR (proline rich region) of Env was constructed. This molecular clone induced syncytia in transfected NIH3T3 cells, fluorescence was detected in the cytoplasm and at the plasma membrane, while the nuclei did not stain and appeared black by fluorescence microscopy. Interestingly, virions with truncated envelope produced from transfected NIH3T3 cells induced syncytia in NIH3T3 cells, but fluorescence was not detected in the same infected cells. It is believed that cell-free viruses direct the fusion of neighboring cells without infection. Our data suggests that use of EGFP-tagged envelope for monitoring syncytium is a sensitive and convenient method. We also found that virion incorporated the R peptide-truncated Env is able to induce the formation of syncytia by fusion from without. 레트로바이러스는 바이러스 외막과 숙주세포막의 융합에 의해 세포내로 들어간다. Moloney 마우스레트로바이러스(murine leukemia virus)의 외막 단백질은 표면단백질(SU)과 막단백질(TM)을 포함하는 85 kDa의 전구체로 합성되는데 바이러스의 성숙과정에 막단백질의 카르복시 말단 16개의 아미노산(R-peptide)이 바이러스의 프로티아제에 의해 절단된다. R 펩타이드가 절단된 막단백질은 Moloney 마우스레트로바이러스에 대한 수용체를 가진 NIH3T3 세포주에서 합포체(syncytium)를 형성한다. R 펩타이드가 절단된 막단백질의 합포체 형성 기작 연구를 위해 R 펩타이드가 절단되어 있으며 표면단백질의 PRR (proline rich region) 부위가 EGFP로 삽입되어진 Moloney full length molecular clone을 만들었다. 이 clone은 NIH3T3 세포에서 합포체를 형성하였으며 형광이 세포질과 세포막에서 관찰되었으나 핵은 염색이 되지 않고 검게 보여 신속 정확하게 합포체 관찰이 가능하였다. 흥미롭게도 절단된 막단백질을 가진 비리온이 NIH3T3 세포에서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때는 합포체를 형성하였으나 형광현미경에서는 형광이 관찰되지 않아서 비리온이 세포감염 없이 바이러스-세포 융합 방식으로 합포체를 형성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형광의 발현 여부로 합포체 형성을 신속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R 펩타이드가 절단된 비리온이 세포 감염 없이 세포와 세포 사이의 융합을 매개할 수 있음을 밝혔다.

      • KCI등재

        미생물 오염 개선을 위한 화장품 용기 사례 분석

        송지성(Song, Ji Sung),배은혜(Bae, Eun Ha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본 논문은 화장품의 미생물 오염 개선을 위한 방안을 기술과 디자인 융합 사례를 통해 가능성을 밝히고자 한다. 화장품의 미생물 오염 원인인 2차 오염 중 ‘손’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와 기술을 결합한 화장품 용기 사례 바탕으로 디자인 제안 한다. 연구 범위는 화장품의 미생물 오염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 화장품 용기에 대한 이해와 미생물 오염원인, 화장품의 미생물 오염 기초 실험 분석 통하여 심각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화장품 사용 후 ‘손’접촉을 최소화한 화장품 용기 사례를 분석하여 디자인 제안 시 반영하도록 한다. 연구 방법은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기 위해 화장품 용기에 적용한 기술 사례를 비교 분석한다.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ㆍ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 및 분석하였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용 일상 필수품인 ‘화장품’의 미생물 오염개선을 위한 방안을 기술과 디자인을 융합한 연구기반으로 모색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둘째, 화장품 사용 후 미생물 오염 발생에 대한 기초 실험 자료를 통해 심각성을 밝히고자 한다. 실험 대상인 화장품 중 미생물 오염도 측정 시 저장온도, 사용빈도, 보존제 유무 등으로 ‘립스틱’이 미생물 오염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립스틱’ 대상으로 디자인 제안 시 향후 연구에 반영할 것이다. 셋째, 화장품의 미생물 오염 개선을 위해 화장품 패키지의 역할과 트렌드에 대해 알아본다. 사례는 화장품 용기에 적용한 ‘진동’, ‘전동’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을 통해 향후 연구로 디자인 제안시 세 가지를 구분하였다. 첫째 2차 오염, 둘째 용기 형태, 셋째 화장 도구 이다. 세 가지를 통하여 미생물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용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생활에서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소비자들이 ‘살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화장품도 생활에 필요한 필수품으로써 공기, 접촉, 분비물에 의해 세균감염이 쉽게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이론과 사례를 통해 향후 연구에 디자인 제안 시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has purpose to explain to reveal the possibility of plans to improve microbial contamination of cosmetics through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design. It suggests design from the case studies about convergence technology and design of cosmetics because cosmetic container has some problem with the microbial contamination from ‘Hand touching’.Therefore, This problem need to figure out the idea of minimize the touching when consumer wears make up. The content and range of this study find out the problem from basic analysis and factor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cosmetics and container in use. For this reason, It suggest the minimize of cosmetic container design after make up and use with hand. The method of study is comparative analysis techniques applied in the case study of cosmetic containers in oder to suggest after make up. Also it need to analysis data from professional journals, information from internet, D/B, network discovery papers and books such as publications. According the result of the studies are : First, analysis a basis of study about convergence design and technology of cosmetic containers when it has some problem with microbial contamination. Second, after cosmetic use, experiments with a basic material for microbial contamination. For the test of microbial contamination from cosmetic after make up, microbial contaminations have higher problem from temperature, frequency of use, antiseptic treatment. Third, It find out the role and trend of cosmetic package for improving from microbial contamination. The case studies are ‘vibration’, ‘transmission’. These has technology with cosmetic container when consumer uses easy to remove and make up. This study suggest and analysis from three proposals for future research. First is the second contamination, second is design of shape from container, third is tool of make up. These are necessary to develop containers capable of minimizing microbial contamination through them. Therefore, this stud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onsumers due to the contamination in their lives ‘sterilization’. Cosmetics essentials necessary for life as air and contact discharge by the bacterial infection is easily accessible. It needs to research ways to improve upon the design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through the problems.

      • KCI등재

        웨딩박람회의 공동브랜드 필요성에 관한 연구

        송지성(Ji Sung Song),배은혜(Eun Hae Ba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4

        웨딩문화가 전문화되고 다양화됨에 따라 웨딩박람회의 기능과 역할도 더욱 증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전시회, 엑스포 등 이벤트성 행사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알뜰하게 준비하는 예비 신부 신랑을 위해서 개최된 웨딩박람회의 개선을 위해 공동브랜드를 제안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웨딩박람회에 참가하는 기업들의 홍보 컨셉은 자사의 제품을 독자적으로 소비자들에게 홍보하는 형태였기 때문에, 타사와의 지나친 경쟁을 야기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박람회와 기업전시관을 통한 홍보는 기업의 매출,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매우 효과적인 것은 사실이므로 앞으로도 웨딩박람회에서도 이와 같은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므로 연구의 목적은 웨딩박람회의 공동 체계를 구축함과 효과적인 웨딩 브랜드 이미지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웨딩박람회 SWOT 분석과 공동브랜드 개선방향 분석 비교를 통해 향후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연구 방법은 박람회와 공동브랜드에 대한 이론을 이해하고, 새로운 공동브랜드가 웨딩업체의 판매와 브랜드 홍보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리고 중소기업의 경우는 홍보를 위한 비용부담이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비용절감과 홍보를 위한 기술적 핸디캡을 극복하기 위해, 상호 보완적인 차원에서 웨딩박람회 참가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해결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써 동일업종의 기업들이 박람회 공동 전시관을 마련하여 하나의 공동브랜드로 협력한다면, 일차적으로 기업독자적인 브랜드보다는 공동브랜드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며, 다음으로는 소비자들의 수요와 제품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구매의욕을 촉진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웨딩박람회 공동브랜드의 필요성과 문제점을 재분석하고 새로운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specialized and diverse culture Wedding fair features and even more to increase the role and associated with the exhibition which fair is growing importantly such as events, Expo, and Exhibition.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for offering the bride and groom to prepare sparingly with Wedding Fair and held jointly for the betterment of the brand. So far, most companies promoted the products to consumers for their own Wedding fair`s concept to participate because it was the form of publicity and party with quite a few cases. It did not cause too much competition. However, it is true that business market and their image are effectively improving lasting and in future, like above, it is expected that a trend will be going on. Since marketing strategies in the wedding fair such as poor conditions, it is necessary to analyze its problems and to seek the improbable ways. Range of this project is: SWOT analysis about Wedding fair and comparison it with the direction of improving co-brand in the future for help to recognize reared. The Method of project and background theory to understand for co-brand and concept of Wedding Fair. Also, I `d like to analysis the new concept of co-brand sales and brand promotion of the Wedding party effectively could affect the review about. The problems are the cost for the promoting and technical handicaps to overcome, and complementary dimension to participate in the Wedding Fair to explore the new concept necessary. Therefore, as a method that is able to resolve this problem, if the similar kinds of industries will combine with thier brand and a joint exhibition hall, they can have competitively at the first, and the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tivation that is able to make promotion of customer`s interest and effectively communicate product information as well as the customer`s demand. Thus, in this paper, on the base of reanalysis on the necessity of co-brand in the wedding fair, it tried to propose a new advanced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