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사시나무에서 Auxin/indole-3-acetic acid 1 (Aux/IAA1) 유전자 분리 및 발현 특성 구명

        배은경,최영임,이효신,최지원,Bae, Eun-Kyung,Choi, Young-Im,Lee, Hyoshin,Choi, Ji Won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9 식물생명공학회지 Vol.46 No.3

        옥신은 식물의 생장과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조절자로서 기능한다. 옥신 신호전달 과정은 3개의 주요 옥신 반응 전사인자인 Auxin/indole-3-acetic acid (Aux/IAA), Gretchen Hagen 3 (GH3), 그리고 small auxin up RNA (SAUR) 유전자에 의해 조절된다. 특히, Aux/IAA는 옥신 신호에 반응하여 빠르게 축적되는 수명이 짧은 핵 단백질이다. 이 실험에서 우리는 현사시 나무(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로 부터 PagAux/IAA1 유전자를 분리하고 발현 특성을 분석하였다. PagAux/IAA1 cDNA는 4개의 보존된 도메인과 2개의 nuclear localization sequence (NLS)을 포함한 200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고 있다. Southern blot 분석으로 현사시나무 genome에 PagAux/IAA1 유전자가 single copy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agAux/IAA1 유전자는 잎과 꽃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었다. 그리고 PagAux/IAA1 유전자는 현탁배양세포의 생장 과정에서 초기 지수생장기에 발현되었다. PagAux/IAA1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건조와 염 스트레스 및 식물호르몬인 ABA 처리에 의해 발현이 감소된 반면 저온 스트레스, 형성층의 세포 분열 과정 그리고 식물호르몬인 GA와 JA 처리에서 발현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PagAux/IAA1 유전자가 현사시나무에서 저온 스트레스 반응뿐 아니라 생장 과정에 관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Auxin plays a crucial regulatory role in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processes. Three major classes of auxin-responsive transcription factors controlled by the Auxin/indole-3-acetic acid (Aux/IAA), Gretchen Hagen 3 (GH3), and small auxin up RNA (SAUR) genes regulate auxin signaling. Aux/IAA, in particular, encodes short-lived nuclear proteins that accumulate rapidly in response to auxin signaling. In this study, we isolated a PagAux/IAA1 gene from poplar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and investigated its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e PagAux/IAA1 cDNA codes for putative 200 amino acids polypeptide containing four conserved domains and two nuclear localization signals (NLSs). Utilizing Southern blot analysis, we confirmed that a single copy of the PagAux/IAA1 gene was present in the poplar genome. The expression of this gene is specific to leaves and flowers of the poplar. PagAux/IAA1 expressed in the early exponential growth phase of cell-cultured in suspension. PagAux/IAA1 expression level reduced in drought and salt stress conditions, and the presence of plant hormones such as abscisic acid. However, expression enhanced in cold stress, cambial cell division, and presence of plant hormones such as gibberellic acid and jasmonic acid.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gAux/IAA1 participates in cold stress response as well as developmental processes in the poplar.

      • KCI등재

        기록화 스토리텔링 방법론 연구

        배은경,Bae, Eun-Kyung 한국기록학회 2021 기록학연구 Vol.- No.70

        본고는 기록화 스토리텔링의 개념 및 방법론에 관한 연구이다. '기록 활용'이 기록학계의 화두로 떠오른 후 활용을 위한 다양한 방법론이 모색되고 있다. 스토리텔링도 그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기록 활용을 위한 방법론으로서의 스토리텔링을 '기록화 스토리텔링'으로 규정하고, '기록의 기록으로서의 가치구현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담론의 총체'로 개념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록화 스토리텔링 이론의 정초(定礎)를 목적으로 기록학, 스토리텔링, 기호학, 언어학 등 다양한 이론을 도입하고 있다. 아날로그 시대가 잉태한 디지털 시대의 기록학은 두 시대의 학문적 경향을 총체적으로 계통화할 과제를 가진다. 그중 하나가 디지털 시대의 기록화의 문제이다. 기록화 스토리텔링 역시 디지털 시대가 요구하는 이론이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기록화'를 가변적이고도 실천적인 행위로 규정하고 있고, 기록화에 따른 결과를 '기록화 스토리텔링', 즉 '기록의 가치가 끊임없이 생성되는 기호작용'으로 규정하고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documentation storytelling. After 'use of records' has emerged as a hot topic in the archivologic field, various methodologies are being sought for utilization. Storytelling is one of them. This study defines storytelling as a methodology for the utilization of records as 'documentation storytelling' and conceptualizes it as 'the totality of various discours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value of records as records'. This study introduces various theories such as archiving, storytelling, semiotics, and linguistic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theory of documentation storytelling. Archivology in the digital era ,conceived by the analog era, has the task of systematizing the academic trends of the two eras. One of the tasks is about documentation in the digital age. Documentation storytelling is also a theory required in the digital age. This study defines 'documentation' in the digital age as a variable and practical act, and defines the result of documentation as 'documentation storytelling', that is, 'a semiosis in which the value of records is constantly created'.

      • KCI등재

        1920-30년대 연해주 고려인 교원 양성 정책과 원동조선사범대학에 관한 연구

        배은경(Bae, Eun Kyung)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5 슬라브학보 Vol.30 No.3

        The appearance of the Far-east Korean Education Institute was inevitable. As Soviet nations were established, all schools became public and school age students were able to be educated for free. Especially as education in the native language of minority race’s became a law, russian-korean students were able to be educated in russian-korean language (Koryeo language). Sadly however, teachers who can use russian-korean language and textbooks written in this language were absolutely running short. Far-east Korean Education Institute was established to solve the actualities of russian-koreans’ education. Solutions with various spectrums like excluding middle schools with expert refinements and professional school teachers, publishing and making a study about textbooks, creating and supervising russian-korean educational ideas, creating an avant-gardism in the russian-korean educational group, refinements and political classes for the russian-korean public were prepared. All of these were an assignment for Far-east Korean Education Institute. However practically these roles were not able to be carried out. The Nikolsk-Ussurysk Korean Education College, which was established in 1927 and already had became a bridgehead of producing teachers, was fostering school teachers, but it was not until 1935 when the Far-east Korean Education Institute produced 17 first graduates. If the deportation of Koreans of the Soviet Union to Central Asia in 1937 had not occurred, the Far-east Korean education institute would have been a stronghold of Korean education. In reality, the manpower of students and teachers there had higher quality than the others, and the social and political influence was developing rapidly. With the forced migrants, the school was moved to Kzyl-Orda in the Kazakhstan, the Far-east Korean Education Institute was renamed as “the Kzyl-Orda Education Institute” and changed to common institute of the Soviet Union.

      • KCI등재

        초등교사의 ADHD, 학생정서행동발달선별검사, 교사연수에 대한 인식 연구

        배은경 ( Eun Kyung Ba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ADHD, 학생정서행동발달선별검사, 교사연수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교사연수 경험에 따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유용한 학교정신건강사업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초등학교 5곳의 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참여자 대부분은 ADHD를 병으로 인식하고 ADHD 성향 아동을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고 보았으나, ADHD 성향 아동을 지도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려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참여자 과반수 이상은 학생정서행동발달선별검사가 도움 되지 않았으며, 부모 평정 결과가 교사와 일치하지 않아 어떠한 형태로든 교사가 평정에 참여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정신건강 교사연수 참여 경험은 대부분 실연 없는 강의로 진행되어 지속적인 실연이 포함된 교사연수를 원하는 연구참여자의 욕구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연수 경험이 있는 연구참여자는 연수 경험이 없는 연구참여자에 비해 ADHD를 병으로 인식하는 정도가 높으며 ADHD 성향 아동 지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정서행동발달선별검사와 교사연수 개발 등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ADHD, mental health screening and teachers training, and to analyze the needs of the teacher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with and with out a train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convenience cluster sampling method from the 2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teachers` perceptions were not to be a help about the mental health screening. Most of the teachers had needs of teachers`rating in some form because of the difference from parents`rating results. Second,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teachers` perception was ‘ADHD is a disorder’.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teachers had needs of support for children with the propensity of ADHD but were worried about teaching children with the propensity of ADHD. Third, most of the experiences of teachers training were the lecture type without role-play otherwise of the teachers` needs. Fourth, it was found that perception of the group with a teachers training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without about ‘ADHD is a disorder’ and ‘I will teach competently children with the propensity of ADHD’.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screening and teacher training have been discussed.

      • KCI등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 관련 외상경험 및 소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배은경(Bae, Eun Kyung),김성완(Kim, Sung Wan),김정화(Kim, Jeong Hwa)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7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 관련 외상경험 및 소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에 있으며,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 5개 기초자치구 사회복지전담공무원 182명의 설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등이 분석에 활용되었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우울수준은 평균 7.72점으로 경계역 장애 수준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와 배우자 유무, 직급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직무 관련 외상경험이 많을수록, 소진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높았고,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최종모형의 전체 설명력은 42%로 나타났으며, 직무 관련 외상경험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무 관련 외상경험이 적을 때는 외상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회복탄력성이 완충하는 효과가 있으나, 직무 관련 외상경험이 많을 때에는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회복탄력성이 낮추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우울을 예방하고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 between job-related trauma exposure, burnout and depression to social work public official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82 social work public officia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work public officials’ depression showed a mean score of 7.72 close to ‘mild depression. Second, social work public official’s jobrelated trauma exposure and burnou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while resilience contributed to reduce the level of depression. Third, the effect of job-related trauma exposure and depression was moderated by resilience. Especially, under the low level of job-related trauma exposure, resili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to buffer the impact of trauma exposure on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eventing depression of social work public officials are discussed.

      • KCI등재

        원동고려문단의 마지막 문학선집 『로력자의 조국』의 기록적 가치에 대한 문화사적 고찰

        배은경 ( Bae Eun-kyung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인문학연구 Vol.0 No.40

        본고는 소련 원동고려문단의 마지막 문학선집인 『로력자의 조국』의 기록적 가치와 그 문화사적 의미를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로력자의 조국』은 1937년 소련 극동의 고려인들이 중앙아시아 지역으로 강제이주되기 직전에 출간되었다. 즉, 원동고려문단의 마지막 행적의 기록이었다. 이 문학선집은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KAPF)의 대표적 작가 조명희가 주관하여 출판했다. 그의 문학작품도 실렸고, 평론도 실렸다. 즉 『로력자의 조국』은 조명희의 유작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출간 후 바로 체포되어 사형당했다. 『로력자의 조국』은 원동 고려인 사회의 문화사적 종결을 알리는 인쇄물이다. 『로력자의 조국』이 출판된 1937년 원동 지역에 살고 있던 고려인들은 모두 강제 이주되었고, 중앙아시아라는 생경한 환경에서 원동 고려인 사회의 특성을 점차 변화시켰다. 이는 그들 문학에도 반영되었다. 『로력자의 조국』은 ‘고려말’이라는 민족어로 교육받고 소통하던 시대의 마지막 문학 작품집이다. 1938년 고려인 민족학교는 러시아 학교로 통합되면서, 고려인들의 제1언어는 러시아어가 되었다. 『로력자의 조국』은 ‘소통과 공유’의 구조에서 생산되었던 고려인 문학의 마지막 증거였다. 고려인 문학은 민족 문학으로서의 대중성을 상실하기 시작했고, 독자를 잃어갔다. 『로력자의 조국』은 작가와 독자가 함께 즐기며 공유하는 고려인 문학 시대의 마지막 문학 선집이다. 그래서 그 안에 실린 문학 작품들은 고려인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고스란히 담고 있어 문화사적 기록으로 가치를 가진다. 『로력자의 조국』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그런 이유에서 본고는 『로력자의 조국』에 대한 최초의 연구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dealing with the record-related value and the cultural historical meaning that the last literary anthology of the Soviet Far Eastern Korean Literature Society, ‘Hometown of the Toiler’, implicates. This anthology was published in 1937, just before the Russian-Koreans living in Soviet far east were taken by deportation. In other words, it is the last trail of the Soviet Far Eastern Korean Literature Society. The anthology was published under supervision of the representative author of ‘Korea Artista Proleta Ferderacio(KAPF)’, Cho Myung-hee. His works as well as his critique are put in the anthology. Right after the publication, he was arrested and soon executed. Therefore, ‘Hometown of the Toiler’ became his posthumous work. ‘Hometown of the Toiler’ was the last collection, which the writer and the readers enjoyed and shared with each other, of the Russian-Korean literature era. Because the society of the Russian-Koreans remains intactly inside the works of the anthology, ‘Hometown of the Toiler’ is highly valued in terms of cultural history. No research has been done about the anthology. Although mentions about the existent of ‘Hometown of the Toiler’ is sometimes found, encountering direct quotations about it is almost impossible. For this reason, this manuscript can be said to be the first study about the anthology, ‘Hometown of the Toiler.’

      • KCI등재
      • KCI등재

        젠더 관점과 여성정책 패러다임

        배은경(Bae, Eun-Kyung) 한국여성학회 2016 한국여성학 Vol.32 No.1

        1995년 제정되어 한국 여성정책의 법적 근거로 활용되어 오던 「여성발전기본법」이 「양성평등기본법」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2014년 5월 기존 법률의 전부개정으로 「양성평등기본법」이 탄생하던 즈음부터 2015년 7월 1일 시행에 이르기까지, 이 법개정을 한국 여성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보고자 하는 다양한 담론이 생산되었다. 그러나 젠더나 여성, ‘양성평등’이나 ‘성인지적 관점’ 등의 용어에 대한 이해가 흔들리고 정치 및 정책 현장에서의 용어법과 학계에서의 용어법 사이에 괴리가 생긴 상황에서, 쉽사리 여성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을 운위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이 글은 패러다임 ‘전환’을 말하기 전에 우선 필요한 작업으로서, 한국 여성정책의 패러다임 그 자체에 대한 역사적 검토를 시도한다. 한국 사회에서 여성정책 패러다임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이었으며 어떻게 변해왔는지, 그리고 그 변화의 계기는 무엇이었는지 이해하기 위해, 해방 이후 현재까지의 한국 여성정책의 역사를 젠더를 이해하는 방식과 정책 관점의 변화를 중심으로 정리한다. 여성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젠더 관점(gender perspective)’이라는 용어의 의미가 구성되어온 과정을 연결시키면서, 최근 페미니즘 이론의 핵심 화두로 떠오른 교차성(intersectionality) 분석의 문제의식을 도입하여 오늘/여기 여성정책의 현재적 쟁점과 미래 전망을 제시한다. From 1<SUP>st</SUP> July 2015, the new Framework Act on Gender Equality comes into force. The law is a complete revision of the existing Framework Act on Women’s Development, which had been the basis for gender policy in Korea. In May 2014, as the law was passed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there was much talk in the media of the law, regarding it as a benchmark of a change in the paradigm/direction of gender policy. However, it remains a question whether a new paradigm of gender policy would indeed emerge, and whether policy would be developed toward a desirable way to increase gender equality in substance. This article discusses the paradigm that has undergirded women’s policy in South Korea since the end of colonial rule in order to provide a summary of how the policy paradigms have changed, and how perspectives on gender have shaped the policy. The brief history of women’s policy within South Korea is reviewed, focusing o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ctual policies and the meaning of ‘gender equality’ within the policies, as well as the meaning of ‘women’ or ‘gender’ itself. In addition, this article discerns disagreements over the ‘gender equality’ within the discourses around women’s policy, and reviews how these disputes have shaped policy itself. Through this, this article inspects the current issues and forecast the further agendas in the field of gender policy in South Korea.

      • SCOPUSKCI등재

        분무건조를 이용한 아보카도 오일의 캡슐화

        배은경(Eun Kyung Bae),김건희(Gun-Hee Kim) 한국식품과학회 200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0 No.3

        아보카도 오일의 산업적인 이용성을 증가시키고,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무건조기술을 이용하여 아보카도 오일의 캡슐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캡슐화된 샘플내의 오일과 오일자체만을 4, 25, 60℃ 온도의 암조건에서 8주 동안 저장하여 TBA값을 측정한 결과, 캡슐 속의 오일이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산화에 더 안정하였다. 대조군의 TBA 형성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고 5주째에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캡슐화된 샘플 내에서의 TBA 값은 대조군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캡슐화된 샘플의 TBA 값은 아보카도 오일내의 MDA형성을 저지시켜 산화 작용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분무 건조된 분말의 가운데서는 단백질의 함량이 커질수록 그 안정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클로로필 안정성을 60℃의 저장조건에서 비교한 결과 캡슐화된 시료 내에서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저장된 샘플 내 오일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통계적인 유의성을 관찰할 수는 없었으나, 전체적으로 L값은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며,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TBA 값 및 클로로필 함량, 색도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아보카도 오일의 캡슐화가 산화를 억제하고 관능적인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수단임을 나타낸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s of encapsulation against oil oxidation.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s of samples were compared during storage at 60℃, indicating that the encapsulated avocado oil had lower TBA values than the free avocado oil. Microcapsules consisting of a whey protein isolate (WPI)-only wall system had slightly improved oxidative stability; however, spray-dried particles containing a high proportion of maltodextrin (MD) clearly offered better protection from oxidation than the other forms of encapsulation. The chlorophyll (Chl) content of the encapsulated avocado oi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ree oil sample.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all wall systems protected the change of the chlorophyll content storage. No large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encapsulated powders according to the various wall materials. The color of the encapsulated oil changed from green to yellowish-green, indicating the formation of pheophytin from chlorophyll. The yellowish color of the oil correlated with a reduced total Chl content. In conclusion, encapsulation with spray drying for avocado oil could lead to improved stability during storage with respect to oxidation and the preservation of chlorophyll.

      • KCI등재

        ‘경제 위기’와 한국 여성

        배은경(Bae Eun-Kyung) 한국여성연구소 2009 페미니즘 연구 Vol.9 No.2

        이 글은 2008년 가을 글로벌 ‘경제 위기’ 이후, 위기의 타격이 여성들에게 집중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차별로 가시화되지 못하고 있는 한국 사회의 상황에 대해 이론적 개입을 시도한다. 1997년 IMF 위기 때를 돌이켜보면, 급격한 구조조정의 와중에서 여성들이 일자리를 잃기도 했지만 다른 한편에서 이러한 성차별에 대한 고발이 꾸준히 이어짐으로써 이후 다양한 여성운동이 일어날 수 있는 토양이 되었다. 그러나 2008년 위기 이후 한국 사회는 젠더 관점에서 경제위기에 대처하는 대항 담론을 전혀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1997년 이후 한국 사회는 신자유주의적 개방, 사회적 양극화 심화, 불안정 노동의 확산 등을 겪어왔고, 사람들은 사회적 위기에 개인적 방식으로 적응하는 것에 익숙해졌다. 이러한 방향의 사회변화가 이미 10여년간 일어난 뒤에 2008년 ‘위기’가 도래한 탓에, 위기의 타격이 노동시장에서 가장 취약한 집단에게 집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구조적인 문제로 인식되지 않는다. 2-30대 여성들에게 집중된 실업, 고용불안정의 문제는 그들의 개인적 취약성의 반영으로 해석될 뿐이다. IMF 위기 이후 한국사회에서는 남성 1인 생계부양자 모델이 와해되고, 서서히 2인 소득자 모델로 변화하고 있다. 이것은 많은 여성들로 하여금 근대적 젠더보상체계 밖에서 자신의 생애전망을 추구하게 만들었지만, 보살핌노동을 여성이 전담하기를 기대하는 문화는 바뀌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공적 노동에 참여한 여성들은 이중노동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중노동의 부담을 짊어지고 있다는 바로 그 이유로 노동시장에서 열등한 노동력으로 간주되고 있다. 현재까지는 개별 여성들이 개인적으로 젠더 전략을 다변화하는 방식으로 이런 상황을 봉합하고 있지만. 성별분업의 기본 구조가 변화하지 않는 한 장기적으로 더 많은 사회문제들이 양산될 것이다. 이것이 임신, 출산, 양육 등 당면한 생애주기상의 과제를 “자신의 선택으로” 미루어가면서 신자유주의적 사회변화의 파장을 온몸으로 막아내고 있는 여성들의 삶의 현장성에 시급히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다. This article attempts a theoretical intervention on the gender situation in Korea after ‘economic crisis’ of 2008. Among the Korean laborers, women have been hardest hit by the global economic crisis. However, this situation is not interpreted into a social phenomenon based on gender discrimination. When the economic crisis of 1997 called ‘IMF crisis’ is examined, accusations of gender discrimination continue to surface, which helped to trigger diverse women’s movements even when many women lost their jobs due to the drastic restructuring. However, in the context of 2008 ‘economic crisis’, Korean Society has failed to produce counter-discourse from gender perspective. Since 1997, Korean people have seen the open-door policy and diverse social reforms enforced in the name of neo-liberalism, social polarization worsening, and unstable employment increasing. And people became used to handling this kind of societal level crisis on the individual level. Because the ‘crisis’ of 2008 started after the society had been changed in this way for 10 years, the fact that the crisis most extremely affected the lowest income earners and the underprivileged in the labor market is not even considered a structured problem. Joblessness and unstable employment affect mostly women in their 20s to 30s, but these are merely considered the natural outcome resulting from their personal vulnerabilities. After the IMF crisis, ‘man as the only breadwinner’ model crumbled down in Korea and is now transforming slowly into ‘two income earners per family’ model. This made many women pursuing after their vision of life in the outside of the modern gender reward system, but the culture in which women are expected to be wholly responsible for the care work has not changed. Amidst this situation, women who participate in the public labor are suffering from double work. Worse yet, they are considered lower labor force in the labor market precisely because of this need to assume double work. Until now, individual women are handling this situation by leveraging the method of diversifying gender strategy, but this individual-level adaption model limited by the intersection of class places too heavy burden on the shoulders of each woman. And this situation is at the root of the current social problems in Korea. Nowadays, the Korean women are blocking the neo-liberalistic social changes actively while choosing to dodge the lifetime milestones such as pregnancy, child birth and child rea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