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계집』편지를 통해 본이황의 지인과 그 의미

        배병권 조선시대사학회 2021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8

        Toegye Yi Hwang (1501-1570) w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scholars of the 16th century. Therefor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Yi Hwang, and school-oriented studies mainly focused on his students. This study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Yi Hwang and ‘his acquaintance’. After his death, Yi Hwang’s acquaintances were divided by his disciples during the compilation of Toegyejip. Among the letters of Toegyejip, th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acquaintance” included a wide range of scholars, ranging from famous scholars of the time to scholars such as Hanyang, Gyeongsangjudo. In addition, there was a conflict between the disciples during the compilation process of Toegyejip, but eventually, the characters selected from the perspective of Jo Mok were included. Jo Mok reflected some of the opinions of Yoo Seong-ryong and Kim Sung-il, but modified the selected characters. These selected people differed compared to later records. In some cases, the figures listed in the literature book and the acquaintances classified by the disciples were overlapped, and the opinions of the disciples at that time were prioritized and defined as acquaintances of Yi Hwang.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Yi Hwang and his acquaintances, letters played a role as a medium. The time when Yi Huang sent letters was mainly after his 50s, when he was compiling several books to establish Joseon’s conduction as Chinese ideas flowed in. Questions and answers were also actively carried out through “Question list”. These letters were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writings to enhance the status of his teacher, Yi Hwang, while the Oh Hyeon canonized into the National Academy were being discussed in the royal court at that time. 退溪 李滉(1501~1570)은 16세기를 대표하는 학자로, 당대 대표적인 사림 가운데 한 명이었다. 그동안 이황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고, 주로 문인들을 중심으로 한 學派 위주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이황과 관련된 인물 가운데 ‘知人’을 중심으로 그들과의 교유양상을 살펴보았다. 이황의 지인은 그의 사후 문집 편찬 과정 속에서 高弟들에 의하여 분류되었으며, 문집의 편지 가운데 ‘知’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여기에는 당대 유명한 학자부터 한양․慶尙左道, 慶尙右道 등의 유림들까지 광범위한 인물들이 속해있었다. 문집의 편찬 과정 속에서 고제간 갈등이 있었으나, 최종적으로 편집을 주관한 趙穆은 柳成龍과 金誠一의 의견을 일부 반영하면서도 선별된 인물들을 수정하였다. 이렇게 선별된 인물들은 후대 기록인 『東儒師友錄』이나 『朝鮮儒賢淵源圖』, 『『陶山及門諸賢錄』과 비교했을 시 차이가 존재하였다. 문인록에 수록된 인물들과 고제들이 분류한 지인과 중복되는 경우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당시 고제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이들을 이황의 지인으로 규정하였다. 지인에게 보낸 이황의 편지에는 당시 중국의 여러 사상이 유입되는 상황 속에서 조선의 道統을 확립하려는 이황의 모습이 나타난다. 이황은 이를 위해 趙光祖와 李彦迪의 행장을 찬술하였으며, 『朱子書節要』와 『理學通錄』 등을 편찬하였다. 또한 지인들과 問目을 통한 질의응답은 이황의 학문적 교유양상과 위상을 보여준다. 따라서 제자들은 이러한 편지를 중심으로 문집에 수록하였다. 당시 조정에서는 五賢의 문묘 종사에 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었다. 제자들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퇴계집』에 나타나 지인과의 교유 양상을 통하여 스승인 이황의 학문적 위상을 드러냄과 동시에 자신들이 속해 있는 퇴계학단․학파의 위상도 함께 높이고자 하였다.

      • 선천성 슬개골 탈구 및 치료 1례 보고

        이호승,배병권,윤희석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1 忠北醫大學術誌 Vol.11 No.1

        선천성 슬개골 탈구는 드문 질환으로 수술적 치료 없이는 정복이 불가능하며 다른 선천성 원인에 의한 재발성 슬개골 탈구와 구별되어야 한다. 본 증례는 생후 5개월 된 남아로 좌측 슬관절 신전 장애를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이학적 검사상 좌측 슬부의 20도 굴곡구축, 좌측 경골의 외전 및 좌측 족부 모든 족지의 외측편위 등의 소견이 동반되어 있었다.단순 방사선 사진상 특이 소견은 보이지 않았으며 양측 슬부의 초음파검사에서 좌측 슬개골이 대퇴골 외과(lateral condyle)의 외측으로 탈구된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수술 소견상 슬개골은 슬부 외측으로 탈구되어 있었고 대퇴골 외과는 저형성되었으며 슬개골 외측 지대와 외측 광근의 심한 구축으로 인하여 도수정복이 불가능하였다. 저자들은 선천성 슬개골 탈구 1례에 관하여 슬부의 광범위 외측 유리(release), 대퇴 사두근 중 내측 광근의 전진, 슬개 건 종지부의 내측전이를 이용하여 좋은 수술적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ongenital dislocation of the patella is a rare condition that can not be reduced without operative treatment.It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recurrent or habitual patella dislocation. We experienced a case of congenital patella dislocation.Five months old male admitted for the extension lag of the knee.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flexion contracture of the knee, external rotation of the tibia and lateral deviation of the all toes of the ipsilateral foot.Plain knee radiographs revealed no abnormal findings.An ultrasonographic image demonstrated that the patella was dislocated laterally to the lateral femoral condyle.On the operative field, the dislocated cartilaginous patella and lateral femoral condyle seemed to be hypoplastic, and the lateral retinaculum and the vastus lateralis were contracted.Because of tightness of the lateral retinaculum and the vastus lateralis, the dislocated patella failed to be reduced in any efforts of closed manipulation.After the extensive lateral release, the advancement of the vastus medialis and the medial transfer of entire patella tendon, the patella could be relocated within patella groove of the femur. We report a case of congenital patella dislocation that treated by the operative procedure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