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저가형 2D LiDAR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로봇의 승강기 탑승 가능 상황판단 기법

        배문규,정철민,박채훈,안대용,이화수,강창묵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21 제어로봇시스템학회 국내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6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judging situation for entering an elevator based on a convolution neural network. The proposed method was verified through several experiments with low-cost 2D LiDAR and performed reasonable results.

      • KCI등재

        제도적 동형화와 FDI: 교토 의정서 기간 동안 환경규제 강도와 해외직접투자 비교 분석

        배문규,이건희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3 국제경영리뷰 Vol.27 No.2

        As environmental issues have become increasingly serious around the world, countries have been working to curb greenhouse gas emissions. An international effort was the adoption of the Kyoto Protocol, an international treaty that aims to impose legally binding emission reduction obligations on industrialized countries. This study aims to fill a gap in the literatur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regulatory stringency, a key element of the Kyoto Protocol, and FDI from an institutional theory perspective. Institutional isomorphism, the process by which organizations become more similar over time as they adapt to environmental pressures, is the focus of this study. Our results reveal a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regulatory stringency and FDI during different commitment periods of the Kyoto Protocol. During the initial phase and the first commitment period (2001-2012), when global commitment to the Kyoto Protocol was strong, a posi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strict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FDI inflows. However, the second commitment period (2013-2018) presented a contrasting scenario.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FDI became insignificant. These findings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application of institutional theory to global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FDI. They show how changes in the broader institutional environment, such as the weakening of global commitments to the Kyoto Protocol, can alter organizational responses and investment patterns. It also presents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and practitioners, and discusse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전 세계적으로 환경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 배출을 억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제적 노력은 선진국에 법적 구속력이 있는 배출량 감축 의무를 부과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국제 조약인 교토의정서의 채택이었다. 본 연구는 교토의정서의 핵심 요소인 환경규제의 엄격성과 FDI 간의 관계를 제도 이론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선행연구의 간극을 채우고자 한다. 조직이 환경의 압력에 순응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유사해지는 과정인 제도적 동형성이 본 연구의 초점이다. 연구 결과는 교토의정서의 다양한 공약 기간 동안 환경규제 엄격성과 FDI 간의 역동적인 관계를 보여준다. 교토의정서에 대한 전 세계의 의지가 강했던 초기 단계와 첫 번째 공약 기간(2001년-2012년)에는 엄격한 환경규제와 FDI 유입 사이에 긍정적인 관계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두 번째 공약 기간(2013년-2018년)은 대조적인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환경규제와 FDI 간의 관계는 중요하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글로벌 환경규제와 FDI에 대한 제도 이론의 적용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 교토의정서에 대한 글로벌 공약의 약화와 같은 광범위한 제도적 환경의 변화가 조직의 대응과 투자 패턴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또한 정책 입안자와 경영실무자에게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 방향과 연구의 한계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 KCI등재

        동학사상과 증산교사상 비교 연구 -『대순전경』초판을 중심으로-

        배문규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Donghak(東學) founded by Choe Je-u(崔濟愚, 1824~1864) is represented in Jeungsangyo, a religious movement founded by Gang Il-sun(姜一淳, 1871~1909) by comparing major thoughts of the two movements. The thoughts of Donghak and Jeungsangyo were compared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ey involve the thought of Gyeongcheon(敬天; revering Heaven). It was an indigenous ethnic idea of Korea to respect the sky itself. Donghak is one of the modern thoughts that reflect this idea of revering Heaven, and Jeungsangyo also reveals the thought as it is. Second, they both use incantations(呪文). Incantation has long been a religious behavior and used widely in religious rituals. It is Choi Je-u who used incantations in respect of new modern religions. The followers of Jeungsangyo have used the incantations of Donghak as they are or created their own ones. Next, they represent the thought of human respect(人間尊重). Donghak was a movement strongly against foreign invasions and feudalism. Anti-feudalism can be embodied by human respect and human equality. This thought was extremely progressive in the hierarchical society of those days. Human respect and human equality are found in all new religions after Donghak such as Jeungsangyo. Last, they tell of Gaebyeok(開闢). Gaebyeok means that another world of the Latter Heaven(後天),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Heaven(先天),will appear. This kind of thought is found in all of the new modern religions. Among them, Donghak was the first to introduce the idea and make it widely known to the public. Donghak’s thought of Great Opening became more concrete in Jeungsangyo. No thought has been established single-handed. The history of thoughts was a history of influencing or embracing critically other thoughts. The same is true for Jeungsangyo founded by Gang Il-sun. It is thought that Jeungsangyo, although founded under the influence of diverse ideas, was affected the most by the thoughts of Donghak. 이 연구의 목적은 최제우(崔濟愚, 1824~1864)가 창시한 동학(東學)사상이 강일순(姜一淳, 1871~1909)의 증산교(甑山敎) 사상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연구자는 다음 내용들을 중심으로 동학사상과 증산교 사상을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첫째, 경천사상(敬天思想)이다. 경천사상은 하늘 자체를 존중하는 우리나라의 고유한 민족사상이다. 이 경천사상이 강하게 투영된 근대 민족사상이 동학이다. 증산교도 이러한 경천사상이 그대로 투영되어 나타난다. 둘째, 주문(呪文)이다. 주문은 오래전부터 있어 온 종교 행태이다. 근대 신종교에서는 최제우가 주문을 사용하였다. 주문은 주로 종교 의식에 사용되고있는데, 증산교에서도 동학의 주문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자신들의 주문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셋째, 인간존중사상(人間尊重思想)이다. 동학은 반외세·반봉건적인 모습이강하게 나타났다. 반봉건적인 모습의 대표적인 것이 인간존중과 인간평등이다. 이것은 당시 신분사회에서는 매우 진보적인 생각이 아닐 수 없었다. 이러한 인간존중과 인간평등은 동학 이후 증산교를 비롯한 모든 신종교에서 그 모습이 나타난다. 넷째, 개벽사상(開闢思想)이다. 개벽은 선천(先天)과는 다른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는 뜻으로 후천(後天)개벽을 말한다. 후천개벽은 근대 신종교에서 모두 나타나는 사상이다. 하지만 후천개벽사상을 최초로 도입하여 널리 알린 신종교는 동학이었다. 동학의 후천개벽은 증산교에서 더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오랜 역사에서 어떤 사상이라도 혼자 뚝 떨어진 사상은 없었다. 어떤 사상의 영향을 받거나 어떤 사상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만들어지는 것이 사상의 역사였다. 강일순의 증산교 사상도 마찬가지이다. 다양한 사상의 영향을받아서 증산교 사상이 형성되었지만, 무엇보다 동학사상이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증산교에 나타나는 동학의 모습 고찰 - 『 대순전경』초판에 나타난 ‘동학 관련 내용들’을 중심으로

        배문규 동학학회 2016 동학학보 Vol.0 No.4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Donghak founded by Choi Jewoo(崔濟愚, 1824-1864) influenced on the formation of Jeungsankyo(甑山敎) from the perspective of Donghak. For this, centered on contents regarding Donghak shown in the first edition of Daesoonjeonkyung that is the classics of Jeungsankyo, researcher is trying to figure out how Donghak is appeared in Jeungsankyo. Thus, in this study, discussion was based on the following contents. First, we want to discuss that the birthplace and growth background of Kang Ilsoon(姜一淳, 1871-1909) are closely related to Donghak, and we want to reveal that his disciples are mostly related to Donghak. The growing environment of a person has a profound effect on the person. To Kang ilsoon, his birthplace and growth area were the pivotal areas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so among his disciples there are many characters related to Donghak. Second, we will analyze Donghak lyrics in the first edition of Daesoonjeonkyung and consider the relevancy between Kang Ilsoon and Donghak through his words and actions. In the first edition of Daesoonjeonkyung , many contents of Yongdamyusa are mentioned in Donghak lyrics. This can also be seen directly in Kang Ilsoon's words and actions. This tells us that Jeungsankyo was highly influenced by Donghak and that Kang Ilsoon was well acquainted with Donghak. We think that looking Donghak through external classics such as the first edition of Daesoonjeonkyung would help to understand Donghak better than looking through its internal classics such as Dongkyeongdaejeon and Yongdamyusa. 본 연구의 목적은 최제우(崔濟愚, 1824-1864)에 의해 창도된 동학(東學)이 강일순(姜一淳, 1871-1909)의 증산교(甑山敎)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동학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증산교의 경서인『 대순전경』초판에 나타나는 동학 관련 내용들을 중심으로, 증산교에 동학이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강일순의 출생지와 성장 배경이 동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논하고, 강일순의 제자들이 주로 동학과 관련한 인물임을 밝히고자 한다. 한 인간의 성장기 환경은 그 사람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강일순의 출생지와 성장지는 동학농민운동의 중추적인 지역이었다. 그래서 그의 제자들 중에는 동학과 관련한 인물들이 매우 많다. 둘째,『 대순전경』초판에 기술된 동학가사를 분석하고, 강일순의 언행을 통하여 강일순과 동학의 관련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대순전경』초판에는 동학가사라 하여『 용담유사』의 많은 내용들이 언급되고 있다. 이것은 강일순의 언행에 직접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증산교가 동학에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강일순이 동학을 잘 알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 동경대전』,『 용담유사』등의 자체 내부적인 경서를 통해 동학을 바라보는 것보다,『 대순전경』초판 등과 같이 외부 경서를 통해 동학을 바라보는 것도 동학을 더 이해할 수 있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동학의 고유사상에 관한 고찰

        배문규 동학학회 2013 동학학보 Vol.0 No.27

        Donghak which was initiated by Je-Woo Choi whose style name is Su-Woon(1824-1864) is generally considered as being deeply related with Confucianism,Buddhism and Taoism. Such idea after all led to a negative perspective that Donghak is merely a combination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However, Donghak cannot be considered as a thought formed through simple combination of foreign thoughts lik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f the origin of Donghak cannot be found from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 question may arise on where its ideological relevance can be found. This study is intended search for the indigenous thought system of Korea for answer to this question. Therefore, the originality of Donghak was examined in the following context:First, the nation of Korea maintained a heaven-worshipping thought from long ago. As for the god for Donghak, the Lord(天主), Kings(上帝), or Hanool are another expression of such heaven-worshipping thought. The Lord(天主), since it is a term appearing also in the ancient texts of Korean nation like『Hwandangogi(桓檀古記)』or『Samgukyusa(三國遺事)』, is a concept different from the Lord(天主)a term interpreted as God in Roman Catholic. Kings(上帝) also is another name of heaven originally of Korean nation different from Okhwang sangje(玉皇上帝) of Taoism. And the term Hanool also is deeply related to heaven that Korean ancestors worshipped from long before. Second, the Creation thought appearing in the mythology of Dangun(檀君神話) the initiator of Korean nation some 5 millennia ago and the Creation by Je-Woo Choi the initiator of Donghak are very similar in contents and structure. Also, the 21 letters spells are related to the concept of three by seven(3×7=21) the number for turnover of a new leaf. And this three by seven concept is the indigenous thought system handed down from long before to the ancestors of Korea a northern nomadic people. Third is the relevant of Donghak with Seon-do(仙道) that is Pungnyu-do(風流道) artistic appreciation uniquely of Korea. Pungnyu-do can be analyzed in two aspects: It includes Mu-gyo(巫敎, shamanism), Mu-do(武道, martial arts) and Seon-do(仙道), and it also comprehend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hatever aspect it is analyzed in, the ideological systems of Donghak and Pungnyudo are very similar. When the originality of Donghak is examined in the above three aspects, it is shown that Donghak is a the crystal of the ideological system that Korean nation has inherited from long before. Researching on Donghak in association with Confucianism,Buddhism and Taoism may enrich the contents of Donghak, but it may places the prejudice that Donghak was formed by being affected by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o overcome such prejudice and limitation, more thorough historical verification and studies should be done on the relevance of Donghak with the indigenous thoughts of Korea rather tha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수운 최제우(水雲 崔濟愚, 1824~1864)에 의해 창되된 동학(東學)은 사상적으로유교, 불교, 도가 혹은 도교와 많은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음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이러한 생각은 동학을 유학(儒學), 불교(佛敎), 도가(道家) 혹은 도교(道敎)의 단순한 조합(組合)이나 결합(結合)이라는 부정적인 시각을 갖게 하였다. 하지만 동학을 단순하게 유학, 불교, 도가 혹은 도교와 같은 외래사상의 종합으로형성된 사상이라고 할 수는 없다. 동학의 사상성(思想性)을 유·불·도에서 찾을수 없다면, 그 사상적 관련성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본연구에서는 이 의문에 대한 해답을 한국의 고유한 사유체계에서 찾고자 한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맥락에서 동학의 고유성을 개진하였다. 첫째, 우리 민족은 오래전부터 하늘을 숭배하는 경천사상(敬天思想)을 가지고 있었다. 동학의 신(神)인 천주(天主), 상제(上帝) 혹은 한울님이 바로 이러한 경천사상의 또 다른 표현이다. 천주는『 환단고기』,『 삼국유사』와 같은 우리 민족의 고서적에도 나타나는 용어이기 때문에, 서양의 천주와는 다른 개념이다. 상제도 도교의 옥황상제(玉皇上帝)와는 다른 우리 민족의 고유한 하늘의 또 다른 명칭이다. 그리고한울님이라는 용어도 우리 조상들이 오래전부터 숭상한 하늘[天]과 깊은 관련이 있다. 둘째, 단군신화(檀君神話)에 나타나는 개벽사상과 최제우의 다시 개벽사상은 내용 및 구조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사하다. 또한 동학의 21자 주문은 단군신화에 나오는 환골탈태(換骨奪胎) 수(數)인 삼칠(三七:21)관념과 관련성이 있다. 그리고 이 삼칠관념은 북방 유목민인 우리 조상들에게 오래전부터 전래되어온 고유한 사유체계이다. 셋째, 한국 고유의 선교(仙敎) 즉 풍류도(風流道)와 동학의 관련성이다. 풍류도는고대에 있었던 한국 고유사상이다. 풍류도는 무교(巫敎), 무도(武道), 선도(仙道)를포함하고 있는 측면과 유교, 불교, 도가를 포함하고 있는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할수 있다. 어떤 측면에서 분석하더라도, 동학과 풍류도의 사유체계가 매우 흡사하다. 이상 세 가지 측면에서 동학의 고유성을 고찰해 볼 때, 동학은 우리 민족이 오래전부터 가지고 있었던 사유체계의 결정체임을 알 수 있다. 동학을 유·불·도와 연관하여 연구하는 것은 동학의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 수는 있지만, 동학이 유·불·도의 영향을 받아서 형성되었다는 선입견을 탈피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선입견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동학이 유·불·도가 아닌 한국의 고유한사상과 관련이 있다는 것에 대한 철저한 고증과 연구가 더 필요하다.

      • KCI등재

        자원제약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Bricolage효과를 중심으로

        배문규,이건희 한국산업경영학회 2019 경영연구 Vol.34 No.1

        혁신은 성장과 성과의 원동력으로서 중요한 역할에도 불구하고, 자원제약과 기업의 혁신 성과에 대한 결과는 상이하다. “브리콜라주”라는 개념은 이러한 결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브리콜라주는 기업이 보유한 자원을 재결합하고, 시장의 불확실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자원 제약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생존과 번영을 도와줄 수 있다. 본 논문은 자원 기반 관점에서 자원 제약과 혁신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리더십과 브리콜라주가 혁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4개의 가설을 설정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대구 및 경북지역 소재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총 320부의 설문 결과를 SPSS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성분석, 타당성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원 제약이 혁신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브리콜라주와 리더십은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조절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논문은 자원제약과 혁신성과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혁신을 위한 새로운 방안으로 브리콜라주를 제안하는 것이 기존 연구와의 차이점이다. Despite the critical role of innovation as a driving force for growth and performance, the outcome of resource constraints on the company's innovation performance is different. The concept of “bricolage” is helpful in understanding these results. It helps companies understand what they do when facing resource constraints. According to prior research, bricolage can be a recombination of resources held by businesses, effectively managing market uncertainty, and helping companies survive and even thrive despite resource constraints. The study looked at resource constraints and their relationship to innovation from a resource-based view and identified how leadership and bricolage affect innovation. And in the context of resource provision, we identified the moderate effect of bricolage and leadership.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a total of 320 samples of survey gathered from people in Daegu and Gyeonsangbuk- do. As a result, we found that resource constraints have a negative effect on innovation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we found that bricolage and leadership have a positive effect. And there was no moderate effect. Based on the research, bricolage predicts that it can be a good choice for innovation in the context of resource constraints.

      • KCI등재

        청년창업지원 정책 탐색: 창업생태계와 제도이론에 기초한 중요도-성과 분석

        배문규,이희용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3 경영컨설팅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경상북도 청년창업지원 정책을 창업생태계이론과 제도이론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본 연구는 높은 청년실업률과 경제적 다각화 욕구에 대한 해결책으로 청년창업을 강화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핵심 청년창업지원 정책과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창업지원 정책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데 있어 지역적 맥락을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경상북도 청년창업지원 정책을 분석하기 위해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사용하여 인지된 중요성과 관련하여 다양한 지원 정책의 성과를 평가했다. 연구결과는 1사분면 정책은 창업자금 지원, 창업공간 제공, 인력확보 지원 등으로 중요도와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사분면 정책인 창업가정신·창업교육은 중요도는 낮고 성과는 높게 나타났다. 3사분면에서 멘토링, 컨설팅 및 규제 개혁 지원은 중요도와 성과가 낮았다. 마지막으로 판로개척·글로벌화 지원, R&D 지원 등 4사분면 정책은 중요도는 높고 성과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청년창업지원 정책의 맥락에서 창업생태계이론과 제도이론을 확장함으로써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정책적 시사점은 정책입안자가 규제 개혁 및 자금 지원에 주의를 기울여 자원할당의 우선순위를 지정하고 보다 효과적인 정책을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실무자는 교육 내용을 수정하고 더 많은 대상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으며, 컨설팅 관점에서는 지역 상황에 맞는 조언을 제공하고 자금조달을 용이하게 하는 지원을 향상시킬 수 있다.

      • KCI등재

        다중 저가형 IMU와 플렉스 압력센서를 이용한 전이학습 기반 동작분류 및 모션캡쳐 시스템

        배문규,김건태,박이형,강창묵 대한전기학회 2023 전기학회논문지 Vol.72 No.11

        In this paper, we present a transfer learning-based human motion capture and classif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IMU and flex sensors without camera.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6 low-cost IMUs and 12 flex pressure sensors. For the human motion classification, the signals of multiple IMUs were reconstructed into images using wavelet transform. The transformed image is designed to be used as an input to the convolution neural network. The network was designed using Inception V3-based transfer learning. For motion capture without using a camera, the presented system was constructed through a combination of IMUs (MPU6050) and flex pressure sensors (thin film pressure sensors) rather than multiple IMUs. The proposed method showed 86.67% accuracy and 0.869 points of f1-score. The proposed system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a healthcare system that can provide exercise coaching without cameras, and without space restrictions.

      • 동학 윤리 사상의 인성교육 적용방법 모색 - 경남교육청 인성교육 시행계획을 중심으로 -

        배문규,김대훈 한국윤리교육학회 2018 한국윤리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본 연구는 인성교육의 실시 방법을 한국에서 자생한 동학(東學) 윤리 사상을 통하여 구체적으 로 실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 것이다.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2014년 “인성교육진흥법”이 제정되어 공포되었다. 이후 각 교육청에서는 ‘인성 교육 시행계획’을 만들어 각 단위학교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연구자는 경상남도교 육청의 ‘인성교육 시행계획’에 동학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중심으로 논의를 개진할 것이다. 첫째, 현재 경상남도교육청의 인성교육의 전체적인 모습을 ‘인성교육 시행계획’을 중점으로 살 펴보고자 한다. 둘째, 동학 윤리 사상에서 인성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동학 윤리 사상의 요소를 실제로 인성교육 계획서와 지금 시행되고 있는 학교 현장에 적 용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우리나라에서 나타난 많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우리의 사상에서 그 답을 찾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인성교육이 중시되는 것도 현재 우리나라에 인성교육이 그만큼 필요하 다는 반증인 것이다. 우리의 사상인 동학을 통해서 인성교육의 기본 바탕을 마련해 보는 것도 그 의미가 작지 않다고 본다.

      • KCI등재

        수출중소기업의 조직학습을 통한 마케팅 민첩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배문규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4 경영컨설팅연구 Vol.24 No.2

        Uncertainty and change have become significant challenges that businesses must address. High competitive intensity, uncertainty, and rapid changes require companies to increase their focus on agility to survive. In this environment, marketing agility signifies the ability to respond quickly and effectively to customer demands and technological changes, emerging as a crucial capability in the current context. Particularly, small and medium-sized export companies must continuously learn and adapt internall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ir internal capabilities and resources and to respond agilely to market changes. However,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learning on marketing agility has been an overlooked aspect. To fill this gap in existing research, this study focuses on small and medium-sized export companies, examining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learning (information acquisition, information distribution, shared interpretation, organizational memory) on the construction of marketing agility (responsiveness, flexibility, speed) and how marketing agility affects business performance. A survey-base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207 companie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results confirmed that information distribution, shared interpretation, and organizational memory positively impact marketing agility, whereas the effect of information acquisition on speed was not significant. Furthermore, marketing agil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vides theoretical, practical, and consulting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