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자녀 진로에 대한 인식 및 진로지도 비교

        배기연(裵基延),이동혁(李東赫),황매향(黃梅香),이송하(李松河),차지숙(車芝淑),정혜윤(鄭惠允)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아시아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 5, 6학년 자녀를 둔 24명의 한국과 일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어머니가 직업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진로기대를 가지고 진로지도를 하고 있는지 비교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5개의 영역과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영역들의 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일본 어머니에게 직업이란 살아가는데 필요한 경제적 수단으로 자신의 적성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한국과 일본 어머니 모두 자녀는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행복하게 살아가기를 바란다. 둘째, 한국 어머니와 일본 어머니는 자녀가 이러한 직업을 선택해 가는 과정에 있어서 다소 다른 생각과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어머니는 ‘성취’를 생각한다면, 일본 어머니는 ‘관계’를 생각한다. 한국의 어머니는 자녀에게 매우 높은 수준의 성취를 기대할 뿐 아니라,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을 아끼지 않을것임을 밝히고 있는 반면, 일본 어머니는 직업을 인간관계기술을 배우는 곳이라고 생각하고, 자녀도 다른 사람과 잘 어울리면서 살아가기를 바란다. 셋째, 한국의 어머니는 자녀의 진로지도를 위해서 ‘직접적인 관여’를 선택하고 있다면, 일본 어머니는 ‘간접적인 관여’를 보여주고 있다. 한국의 어머니는 자녀의 성취를 위해서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이면 가능한 모든 것을 직접적으로 해 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일본 어머니는 자신의 역할을 정서적 지원 또는 진로에 대한 대화 등으로 제한하면서 간접적으로 지원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가 교육과 상담에 대해 갖는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Korean and Japanese mothers’ career guidance by conduct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For the study, 12 Korean and 12 Japanese mothers who have children of 5-6th grade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Korean and Japanese mothers perceived that an occupation is an important mean for living and needs to be chosen according to individual’s interest and aptitude. Also, Korean and Japanese mothers desired their children to obtain a job that will provide satisfaction and happiness. Second, some differences were found from Korean and Japanese mothers’ perceptions regarding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guidance. While Korean mothers expect their children to make high achievement in their career, Japanese mothers expect their children to build health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their career. This indicates that achievement is a significant factor for Korean mothers in their career guidance, but relationship is a critical element for Japanese mothers in their career guidance. Third, Korean mothers responded that they are likely to assist their children as much as children want, but Japanese mothers indicated that they tend to restrict their role as emotional supporters. Base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provided limitations and further recommendations.

      • SCOPUSSCIEKCI등재

        연수부에 발생한 혈관아세포종의 성공적 수술 치험 : 1례 보고 Report of 1 case

        배기한,엄진화,김대조,박권희 대한신경외과학회 1995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4 No.3

        Solid hemangolblastomas of the medulla oblongata are benign vascular neoplasms located in a critical area. We experienced a case of solid hemangioblastoma originated in the medulla oblongata with the syrinx in the cervical spinal cord.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provided precise anatomical location and radiologic features of the tumor, which facilitated its total removal. Cardiovascular and pulmonary disorders often complicate this type of surgery, and postoperative-dysphagia is frequent sequela

      • SCOPUSSCIEKCI등재

        송과체 부위 종양의 치료 방법에 대한 고찰

        배기한,엄진화,김동희,김대조,강창구,박권희 대한신경외과학회 1995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4 No.2

        The management of pineal region tumors remains controversial. Advocates of a conservative approach emphasize the excellent results of radiotherapy, particularly with germinoma, while a number of recent reports have demonstrated the safety of direct surgery. We analyzed 8 cases of pineal region tumors which had been treated at our institution over the past 7 years. Tissue diagnosis was obtained in 3 patients before irradiation and 5 patients underwent irradiation without histological diagnosis. Among 5 irradiated patients initially, four patients had been achieved complete remission by radiotherapy thus they were presumptively germinoma, but other one patient had no respones, so she had been underwent surgry. Among 3 biopsy proven cases, 2 were teratoma and other one was embryonal carcinoma. Complete gross microsurgical excision of well encapsulated tumor was possible in two teratoma cases. MRI and other neuroradiological studies have been found to be useful in indicating the biological nature and histological type of pineal tumor. So, consideration of MRI scans together with tumor makers and response to small dose irradiation will generally allow a specific diagnosis with a high degree of probability. In this way, germinomas may be selected for radiotherapy and the tumor less likely to response may be subject to primary surgery to obtain complete tumor extirpation or tissue diagnosis.

      • KCI등재
      • $^{131}I$ 3700 MBq (100 mCi) Therapy 입원 환자의 선량률(${\mu}Sv/h$), 잔류량(mCi), 배설률(%) 측정

        배기한,김화중,최재진,이원국,Bae, Gi-Han,Kim, Hwa-Joong,Choi, Jae-Jin,Lee, Won-Guk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09 핵의학 기술 Vol.13 No.3

        목적 : 현재 원자력법에 환자의 입원치료, 외래치료의 기준 용량(mCi)과 선량률(${\mu}Sv/h$)이 명확히 고시되어 있지 않아, (IAEA, BSS)기준에 따라 환자를 퇴원시킨다. 그래서 $^{131}I$ 3700 MBq (100 mCi)를 투여하는 갑상선암 치료환자에게 입원기간 동안 선량률(${\mu}Sv/h$)을 측정하여 선량률(${\mu}Sv/h$)과 잔류량(mCi), 배설률(%)에 따라 $^{131}I$ 3700 MBq (100 mCi)가 70%가 감소하여 1110 MBq (30 mCi)가 되는 시간을 확인하여 치료환자들의 퇴원기준 설정에 참고 자료가 되고자 한다. 실험재료 및 방법 : 갑상선제거수술을 받고 $^{131}I$ 3700 MBq (100 mCi)을 투여하는 환자 중 신장 기능에 이상이 없는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기는 Thermo사의 FH40G-L을 사용하여 $^{131}I$ Capsule을 개봉하고서 $^{131}I$ 3700 MBq (100 mCi)을 투여 후 즉시부터, 거리와 높이 1m에서 1, 2, 4, 8, 20, 24, 40시간째 소변 전/후 20초간 평균 측정하였다. 결과 및 결론 : (IAEA, BSS) 기준에 따라 $^{131}I$ 3700 MBq (100 mCi)를 투여한 후 20시간째 $49{\pm}13\;{\mu}Sv/h$로 100%에서 78%가 배설하여 체내에 814 MBq (30 mCi)가 잔류하여 퇴원 가능한 체내 잔류량 1110 MBq (30 mCi) (1 m에서 $66\;{\mu}Sv$/h) 이하를 만족하였다. Purpose: As Korean nuclear law doesn't have any clear guideline about the dose and the external dose rate(uSv/h) requiring hospitalization in radioactive iodine treated patients, the patients are discharged when they meet the guideline of IAEA Basic Safety Standards(BSS). We measured external dose rate(${\mu}Sv/h$) of inpatient underwent 3700MBq (100 mCi) $^{131}I$ radioiodine treatment and considering external dose rate(${\mu}Sv/h$), residual activity(mCi) and excretion rate(%) we found the time for RA to be lowered from 3700MBq (100 mCi) to 1110 MBq (30 mCi) to give reference to set a guideline for discharge. Materials and Methods: Forty-two patients underwent thyroidectomy and scheduled for radioiodine treatment, who received 3700MBq (100 mCi) of $^{131}I$ orally and had no renal disease were examined. After 1, 2, 4, 8, and 20, 24, 40 hours iodine uptake and before/after the urination, the external dose rate(${\mu}Sv/h$) measured using FH40G-L(Thermo Fisher Scientific Inc., MA) at a distance and a height of 1 m for 20 sec on the average. Results and Conclusions: At 20 hours, the external dose rate was decreased to $49{\pm}13\;{\mu}Sv$/h, namely, 78% of administrated radioactivity was excreted and 814 MBq (30 mCi) was residual, and it met the accepted limit for discharge of (IAEA, BSS) under 1110 MBq (30 mCi) (1 m at 66 uSv/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