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럽헌법조약 제정과 EU 제도개혁에 관한 연구

        방청록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4 국제지역연구 Vol.8 No.3

        The Constitutional Treaty for the European Union was finally agreed in Brussels on 18 June, 2004. While the constitution is a compromise between those who would like more integration and those who want to preserve the rights of the nation state, it certainly represents an important step forward compared to the previous Treaties. The constitution introduces a number of institutional reforms, such as simplification of the legislative procedure, introduction of 'double majority voting' in the Council's decision-making procedure, extended use of co-decision between the European Parliament and the Council under the ordinary legislative procedure, reform on the size and composition of the Commission, and the appointments of the new President of the European Council and the Minister for Foreign Affairs. These institutional changes are indeed significant achievements because these will impact greatly on both efficiency, transparency, and political credibility in the enlarged EU. Despite such achievements, the institutional reforms are also disappointing in certain aspects. In particular, executive accountability and legitimacy has not been adequately strengthened. At the same time, national governments are, to a certain extend, successful in optimizing their influence over important policy procedures. As a consequence, national interests are still able to hinder strategic policy-making at the EU level, in such policy areas as Commo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This implies that further development of the EU depends not only on the institutional changes, but also on a genuine political committment and political will of the member states. 유럽헌법조약 제정 합의에 따라 EU의 기구 구조 및 제도에 대한 개혁이 가능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유럽법체계의 단순화, 각료이사회 의결제도로 이중다수결제도의 채택, 공동결정절차 적용 확대에 따른 유럽의회 권한 강화, 집행위원회 구성 논의, 유럽이사회 대통령직 및 외무장관직 신설 등의 제도개혁안은 EU 정책과정의 민주성, 투명성, 효율성을 개선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EU 제도개혁에는 한계요인 역시 존재하고 있다. 다양한 측면에서의 제도개혁에도 불구하고 회원국간 그리고 EU기구 사이의 갈등이 지속될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EU 정책과정의 민주성과 투명성을 약화시키는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EU 제도개혁의 과제를 완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유럽통합 심화에 대한 회원국 정부의 정치적 의지가 우선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유럽헌법조약 부결과 유럽통합 심화에의 함의 연구

        방청록 한국유럽학회 2006 유럽연구 Vol.23 No.-

        The negative outcomes of the referendums in France and the Netherlands have halted the ratification of the “Treaty Establishing a Constitution for Europe”. These events illustrate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popular input in ratification process. It is, however,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 constitutional treaty represented a landmark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European integration, seeking to make EU more democratic, transparent and efficient. The constitutional treaty indeed introduced a number of institutional reforms, and it comprised central component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EU. Morever, the main features of the constitutional treaty formed part of a ‘multi-level governance’ interwining the national and EU level. Its significant achievements were meant to increase both the efficiency and democracy of the EU institutions, while also preserving a high degree of national participation. Although the constitutional treaty failed to enter into force, it will continue to identify policy options for the future European integration. In this regard, the present ‘period of reflection’ provide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stimulate a wider debate between EU's institutions and citizens on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EU. 프랑스와 네덜란드에서의 유럽헌법조약 비준 실패는 유럽통합의 심화와 확대 과정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럽헌법조약은 유럽연합 기구 구조 및 제도를 개선하며 민주성과 효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중요한 개혁안을 포함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유럽통합의 심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었다. 또한 유럽헌법조약이 비준되었을 경우. 유럽연합에서는 집행위원회 및 유럽의회 등과 같은 초국가적기관의 정책 권한 및 범위가 지속적으로 확장되는 동시에 회원국 정부 역시 정치적 영향력 및 권한을 강화하며 정책과정에의 참여를 확대하는 다층적 거버넌스의 특징을 더욱 강화할 수 있었을 것으로 고려된다. 그러나 유럽헌법조약이 부결됨에 따라 향후로도 개혁에 관한 논의를 지속해야 하는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하지만 유럽헌법조약의 내용과 부결의 경험은 이후 이른바 ‘숙고의 기간’을 거쳐 유럽통합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구체적 개혁을 고려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선례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유럽통합의 심화와 확대를 위한 논의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ASEM 사회ㆍ문화분야 협력의 성과와 개선 과제에 관한 고찰

        방청록 한국유럽학회 2020 유럽연구 Vol.38 No.1

        While ASEM has to a significant extent contributed to the increasing dialogue and cooperation between Asia and Europe in the socio-cultural arena,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regions has not lived up to expectations because it has not been fully successful in achieving expected results. ASEM’s increasing trasregional nature and its informal working methods can be pointed out as the main causes for the lack of tangible outcomes and inadequate follow-ups in the socio-cultur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regions. Therefore, in order not to lose momentum for the greater cooperation in the socio-cultural field, ASEM needs to respond to the important task to improve its capacity to produce concrete results. ASEM이 사회・문화분야에서 다양한 협력사업을 추진하여왔음에도 기대되었던 수준만큼의 가시적이고도 실효적 성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양 지역간 협력관계가 한층 심화된 수준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다. ASEM 사회・문화분야 협력이 보다 체계적으로 발전하지 못한 데에는 ASEM을 통한 아시아-유럽 양 지역간 협력관계에 범지역주의(transregionalism)의 성격이 강화되어온 점과 비공식적 대화협력체로의 ASEM의 성격이 계속 유지되어온 점 등의 요인들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만약 ASEM의 사회・문화분야 협력사업 양적 측면에서의 협력 확대에 부합하는 수준에서 가시적이고 실효성 있는 협력의 성과를 이끌어내지 못한다면 ASEM을 통한 협력사업 추진의 유용성 자체에 대한 문제제기에 직면하면서 협력의 추진동력이 계속 약화되는 문제를 경험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A Study on the Political Economy of Korea-EU FTA Negotiation and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방청록 한국유럽학회 2008 유럽연구 Vol.26 No.2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negotiation process of the Korea-EU FTA and its policy implications. While most existing researches on the Korea-EU FTA tend to present optimistic prospects on the outcome of the FTA negotiation, this study takes a more cautious view on the negotiation process of the Korea-EU FTA because the actual economic effects can vary according to the final outcome of the negotiation. Thus, it is suggest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carefully elaborate negotiation strategies, and, to this end, the effects of the FTA should be evaluated not solely on economic merits but with the consideration of socio-political implications as well. 본 연구는 한-EU FTA 협상의 정치경제와 이의 정책적 함의를 분석하고 있다. 그간 한-EU FTA에 관한 선행연구가 다수 수행된 바 있으나, 대다수의 연구는 한-EU FTA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는데 주 목적을 두어왔으며 결론적으로 협상과정 및 그 효과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제시하는 경향을 보여왔다. 하지만 본 연구는 한-EU FTA의 효과는 협상의 최종 결과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는 상대적인 성격을 지니기에, FTA의 파급효과에 대해서는 보다 신중한 관점을 취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한국정부는 협상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긍정적인 경제적 효과에 대한 ‘기대감’에만 근거하기 보다는, 협상과정에서 논의되는 주요 현안의 정치, 경제, 사회적 파급효과 전반에 대한 체계적이고도 면밀한 분석에 근거한 협상전략을 마련하여 실익 위주로 협상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고려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의 개방적 통상정책 추진전략과정책적 시사점 연구

        방청록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09 아태연구 Vol.16 No.1

        지난 1990년대 말 이후 한국의 통상정책은 경제적 개방과 자유화에 기초하는 ‘개방적 통상정책’을 추진하여왔다. 본 논문은 한국의 통상정책이 변화, 발전하여온 과정을 간략히 서술하고, 90년대 말 이후 개방적 통상정책이 추구되었던 배경과 주요 특징 그리고 그 정책적 효과를 분석, 평가하였다. 1990년대 말 외환위기의 상황은 정부가 통상정책 결정과정에서 시장개방과 자유화를 추구하며 시장의 효율성을 중시하게 되는 외부적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후 정부는 자유주의적 시장원리에 따른 개방적 통상정책의 논리를 개발하고 재생산하는 과정을 통해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고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고자 노력하여왔다. 하지만 정부의 통상정책 결정과정이 다소 폐쇄적이고도 배타적인 특징을 지녔던 이유로 정부 통상정책에 관한 국민적 합의를 형성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정부가 FTA정책 등과 같이 시장개방과 자유화에 기초한 개방적 통상정책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정부의 통상정책에 관한 사회적 합의를 형성하거나 정책 시행에 따른 부작용을 완화하려는 노력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Korean government began to pursue 'open trade policy' as an effective policy means to cope with the impacts of the economic crisis in the late 1990s. The Korean government has expected that free and open trade will bring substantial gains to Korean economy as a whole. In particular, FTA policy has been used as strategic policy means to not only expand the trade and investment, but also strengthen Korean economic effectiveness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However,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closed' nature of the government's trade policy-making process. Moreover, it has also been pointed out that socio-economic difficulties can be expanded if less competitive industries and individuals are exposed to highly competitive environments as a result of 'open trade policy'. These concerns imply that the public needs to be informed with more information on the trade policy-making process itself as well as the potential socio-economic impacts of the trade liberalisation. Therefore, government's trade policy process needs to be more open and transparent in order to form public consensus on the government's policy initiatives. This will be an important key to successful promotion of the government's trade policy objectives in its external economic relations.

      • KCI등재

        EU의 대 남북한 관계에 나타난 대외정책의 특징과 이론적 함의: 시민적 권력과 규범적 권력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방청록,마민호 한국유럽학회 2014 유럽연구 Vol.32 No.1

        This study analyz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policy of European Union based on the concepts such as “civilian power Europe,” “normative power Europe,” and “military power Europe.”In reviewing EU’s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 with South Korea and its development of relationships with North Korea, “civilian power” and normative power” is perceived to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EU's external policy-making. This is due to EU’s military constraints to establish its identity as “military power Europe,” its lack of relative interests in Korean Peninsula, and its limited role and influence as a less interested party in the region compared to United States and China. As a result, instead of “military power,” EU has established policies utilizing “civilian power” based on economic trade and humanitarian aid towards North Korea, as well as “normative power” based on normative value such as human right protection. Diplomatic and economic relations have been consolidated as Korea-EU relation as Korea-EU relation developed into strategic partnership sharing key values, which particularly reaffirms the importance of ”normative power” for EU. 본 논문은 EU 대외정책의 특징을 “시민적 권력으로의 유럽(civilian power Europe)”, “규범적 권력으로의 유럽(normative power Europe)", “군사적 권력으로의 유럽(military power Europe)”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EU가 남북한과의 관계를 발전시켜온 과정을 연구한 결과, 특히 “시민적 권력” 또는 “규범적 권력”으로의 개념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작용하여온 것으로 고려된다. 이는 EU가 “군사적 권력으로의 유럽(military power Europe)”으로의 정체성에 부합할 수준에서 군사적 역량을 갖추지 못한 현실과 특히 한반도 지역에서의 이해관계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을 뿐 아니라 이해 당사국이 아니라는 이유로 미국이나 중국 등 경쟁국과 비교하여 EU의 역할과 영향력은 제한적이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EU는 “군사적 권력” 보다는 경제통상정책과 원조정책 등에 기초한 “시민적 권력” 그리고 인권보호 등의 규범적 가치에 기초한 “규범적 권력”을 중심으로 한국과 북한에 대한 정책을 수립, 추진해왔다고 판단된다. 특히 한-EU 관계가 핵심 가치를 공유하는 전략적 동반자 관계(strategic partnership)로 발전하면서 외교 및 경제적 관계가 강화되어온 점은 특히 규범적 권력의 개념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Saving the Lisbon Treaty: Ireland's Rejection and the Renewed Momentum for its Ratification

        방청록 한국유럽학회 2009 유럽연구 Vol.27 No.1

        Since the Irish rejection of the Lisbon Treaty in June 2008, the EU member states have been trying to find a solution to get over the institutional and political crisis, and Ireland finally agreed to hold a second referendum on the basis of concessions assured by the EU leaders at the December 2008 European Council. The negative result in Irish referendum demonstrates that there exist persistent public concerns on the lack of legitimacy of the EU. This again reveals that the EU institutions have the important tasks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with the European citizens. In this regard, the Irish ratification of the Lisbon Treaty will provide a renewed momentum for the future European integration. Therefore, if Ireland fails to make the best use of current opportunities, the EU may lose important momentum to sort out the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problems of the E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