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동엽 시의 멜랑콜리 표상 연구

        방승호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3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presentation of melancholy in Shin Dong Yeob's poetry. By highlighting his expressions of melancholy, I aim to emphasize the source of inner pain and consciousness that underlies ideology and conception. Specifically, I clarify that melancholy is an emotional phenomenon of the self to which all existing entities respond as well as an emotional source that drives Shin Dong Yeob’s poetry. Therefore, discussion about this subject is imperative. In this paper, I focus on the "animal" and "flower" as representations of melancholy. First, the animal primarily represents a being that has been alienated from reality. Animals typically appear as entities that cry out toward the word,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manifestation of a melancholic sense of self. Specifically, dogs are represented in poetry as hwan gyeon that are considered as either ill or mad dogs that wander aimlessly. The expression "mad dog" can be interpreted as symbolizing the "dog with rabies" described by Walter Benjamin. Furthermore, a variety of animals including water fowls represent the release of passion embedded in depression through howling. Shin Dong Yeob's flower is a subject that exhibits melancholy as a lonely form of life. The scent that a flower emits conceals its inner self, ironically conveying its own solitude. This fateful isolation represented by flowers is reminiscent of Benjamin's "absolute monarch's depression." The melancholy expressed by the flower does not simply sink to an inner self; rather, Shin Dong Yeob induces ardent passion through the melancholic representation of the flower. Shin Dong Yeob's concept of melancholy is highlighted through the representations of the animal and flower in that one can confirm the possibilities of passion and redemption. Shin Dong Yeob's inner self does not simply dwell in depression and sadness. To overcome the ordeal, it wails and struggles continuously. The cry of the animal or the scent of the flower are not mere representations of melancholy, but expressions conveyed by Shin Dong Yeob's inner self to the world. In other words, melancholy is the emotional source and spiritual product that revolves around the plane of poetry that drives Shin Dong Yeob's work. 이 논문은 신동엽 시의 멜랑콜리 표상을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신동엽 시에 나타난 멜랑콜리를 조명함으로써, 이념과 사상 이면에 감춰진 내면의 아픔과 의식의 원천을 짚어보고자 한다. 특히 멜랑콜리는 현존하는 모든 존재가 반응하는 자아의 감정적 현상이자, 신동엽 시를 추동하는 정서적 근원이 된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논의는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 된다. 이 논문에서 주목한 멜랑콜리의 표상은 ‘짐승’과 ‘꽃’이다. 먼저 ‘짐승’은 주로 현실에서 도태된 존재를 표상한다. 이들은 주로 세상을 향해 울부짖는 존재로서 나타나는데, 이 과정에서 자아의 멜랑콜리가 드러나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개’는 병에 걸려 걱정하는 ‘환견(患犬)’이나, 미친개처럼 돌아다니는 존재로 시 속에 구현된다. 이러한 ‘미친개’의 표상은 벤야민이 언급한 ‘광견병 걸린 개’의 상징과 유관한 의미로 풀이된다. 나아가 ‘물새’를 비롯한 다양한 짐승들은 울부짖음을 통해 우울함 속에 내재한 열정을 산출한다. 신동엽 시의 ‘꽃’은 고독한 생명으로서 멜랑콜리를 드러내는 대상이 된다. ‘꽃’이 자신의 내면을 감추기 위해 발산하는 ‘향기’는 역설적으로 존재 본연의 고독을 드러낸다. ‘꽃’이 표상하는 숙명적인 고독은 벤야민의 ‘절대 군주의 우울’을 연상하게 한다. ‘꽃’이 드러내는 멜랑콜리는 단순히 내면으로 침잠하지 않는다. 신동엽은 ‘꽃’의 멜랑콜리를 통해 오히려 ‘무진한 정열’을 도출해낸다. 신동엽의 멜랑콜리가 주목되는 점은 ‘짐승’과 ‘꽃’이라는 표상을 통해 오히려 열정과 구원의 가능성들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신동엽의 자아는 우울과 슬픔에 빠져 있지만은 않는다. 자신에게 주어진 조건에 굴하지 않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울부짖고 또 몸부림친다. 이러한 점에서 신동엽 시에 나타난 ‘짐승’의 울음과 ‘꽃’의 향기는 단순한 멜랑콜리의 표상이 아니라, 세상을 향해 전달하는 자아의 메시지나 다름없다. 다시 말해, 신동엽 시의 멜랑콜리는 자아의 의식을 추동하는 정서적 근원이자 시세계를 중심하는 정신적 소산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허수경 시의 공간 양상과 내면의식

        방승호 현대문학이론학회 2019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patial aspects and consciousness of Heo su-gyung and analyze the sources of inner consciousness that stimulate his plane of poetry. All the values she earned in her life come into shape through the poetic space, thereby making the process of such introspection a very important step into analyzing the poetic world and comprehending the subject. Therefore, the research considers the problem of looking upon Heo su-kyeong’s poetic space a very important matter, and analyzes her consciousness and point of view about space such as ‘Hometown’, ‘City’, ‘Station’. His hometown is the space that controls Heo su-gyung's sense of self. Having left his hometown twice, Heo su-gyung embodies the specific sites in her hometown in her poetry to reach her home. Then, she reconstructs the hometown by mobilizing all the images that remain in her memory. Her self's willpower to return home is the driving force, a motivation behind the creation of the poetry. Therefore, though her wounds of childhood manifest and sadness that cannot be returned to continue on, Heo su-gyung continuously embodies the space of hometown in her poetry. This practice that Heo su-gyung conducts stems from his self-consciousness to return to the source itself. Next, Heo su-gyung projects the emotions of anxiety and the sense of loss into the urban space. Heo su-gyung's inner self cannot settle in one place in the city as she roams the streets within the city. As a result, the city manifests as the space which reflects the empty voidness of her inner self that feels the loss. The streets of cities gradually lose their physical spatiality. The manifestations of uncertain self-consciousness and self-denial lead to turning urban space into a site of abstract contemplations. In the end, in the collection of poems published before Heo su-gyung's departure from life, a variety of spaces are provided that reveal existential awareness and an awareness of death. Her inner self, which has wondered around in the urban areas, now focuses on the specific space called "reverse." The "reverse" is a place of existential exploration in which Heo su-gyung's inner self cannot escape, and is the representation of the moment when the unfortunate existence of death is recognized. Combining these aspects, the meaning of space in Heo su-gyung's poetry is far from being simple. Her hometown is the driving force behind Heo su-gyung's consciousness that preserves her inner self, and the urban space represents the feeling of loss felt by her inner self as the return to hometown becomes impossible. It is a space that exemplifies the isolation and alienation from the reality that her inner self experiences. Heo su-gyung's tragic recognition of the return's impossibleness develops into existential reflection and a specific demeanor that a person who recognizes death would possess. Finally, the "reverse" becomes the final stage of Heo su-gyung's life, both as a space for the loss of the identity that her tragic inner self goes through and a space of confronting death.

      • KCI등재

        Cardiac Parasitic Infection in Trichinellosis Associated with Right Ventricle Outflow Tract Obstruction

        방승호,박재범,지현근,김준석,고성민,김완섭,신제균 대한심장혈관흉부외과학회 201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7 No.2

        Here, we present a rare case of cardiac parasitic infection found in an adult female patient who had the symptoms of dyspnea upon exertion. She was diagnosed with a double-chambered right ventricle due to infundibular hypertrophy confirmed by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and cardiac computed tomography. We performed surgery of infundibulectomy around the pulmonary valve. In the e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of the resected infundibular muscle demonstrated trichinellosis, a type of roundworm infection.

      • KCI등재

        허수경 시의 시간의식 연구

        방승호 어문연구학회 2019 어문연구 Vol.99 No.-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time awareness in the poem of Heo Sukyeong. Especially, this paper apprehended the aspects of time awareness through recognition of reminiscence and moment. In doing so, it established how characteristics of time awareness contributed to the poem of Heo Sukyeong. In the poem, it frequently shows the self recognition of time and this characteristic eventually affects the constructing of the world of poem. Thus, establishing time awareness in the poem of Heo Sukyeong becomes the necessary key of understanding the world of poem that he desired. The effect of memory and reminiscence in the poem makes the lyrical subject to liberate from the simple order of time. The act of reminiscence plays the role as a liberation from general past point of view and forming the present that subject exists. Moreover, the archaeological imagination of Heo Sukyeong becomes the source of ‘reminiscence’ action that reforms present by bringing out the past. Heo Sukyong maintains the desperate time that self experienced by reminiscence. Then, the phenomenon of the past that summoned to the memory affects the psychological state of self and formation of mood of the poem and highlights the desperation of the present time. As a result, the past time that summoned to memory of narrator forms the present and shows the autonomous attitude toward the world. Moreover, reference of Benjamin and Husserl showed in the poem of Heo Sukyeong supports the explanation of these aspects of time awareness. The ‘moment’ in the poem is the point that past gathers and the source of powerful energy that released from present to the future. For that reason, interest of the moment means the interest of the past and concentration for present and the future. The poem focuses on this ‘moment.’ The frequent appearance of the word ‘moment’ and ‘the time’ in the poem shows the poet’s time awareness that wishes to focus on the ‘moment’. This characteristic also attributes to express the ‘nihilism’ in the poem. The role of the ‘moment’ in the poem of Heo Sukyeong is never weak. The practical act of self that focuses on the ‘moment’ shows the denial of the reality, and also becomes the power to form psychological time of ‘lost’ and ‘grief’. Moreover, it develops to ‘criticism’ toward the present situations and exists as showing the one aspect of ‘nihilism’ 이 논문에서는 허수경 시에 나타난 시간의식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고는 주체의 과거 회상과 순간에 대한 인식을 통해 드러나는 시간의식의 양상을 파악하였다. 그럼으로써 이러한 시간의식의 특징들이 어떻게 허수경 시의 주제의식에 기여하는지를 규명하였다. 허수경 시는 시간에 대한 자아의 인식이 자주 드러나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현실을 바라보는 자아의 태도를 형성하는 것에 영향을 준다. 때문에 허수경 시의 시간의식을 규명하는 것은, 그가 추구했던 시세계를 이해하는 것에 반드시 필요한 열쇠가 된다. 시에 나타난 기억과 회상의 작용은 서정적 주체가 단순한 시간 질서에서 해방하게 만든다. 회상의 행위가 일반적인 과거 시점에서 벗어나 주체가 실존하는 현재를 구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허수경이 지닌 고고학적 상상력은, 이와 같이 과거의 기억을 꺼내어 현재를 재구성하는 ‘회상’ 작용의 원천이 된다. 허수경은 과거 회상을 통해 자아가 경험했던 절망적인 시간을 유지시킨다. 그리고 기억으로 소환된 과거의 현상들이 현재의 자아의 심리적 상태나 시의 분위기 형성에 기여하면서 현재의 절망성을 더욱 부각한다. 결과적으로 화자의 기억으로 소환된 과거의 시간이 현재를 만들어내고, 세계를 바라보는 주체적 태도를 드러내는 것이다. 그리고 벤야민과 후설의 언급들은 허수경 시에 나타난 이러한 시간의식의 양상을 설명하는 데에 뒷받침된다. 시에서 말하는 ‘순간’은 과거가 모이는 지점이자 현재에서 미래로 발산되는 강력한 에너지의 근원이 된다. 때문에 순간에 대한 관심은 곧 과거에 대한 관심이며, 현재와 미래를 위한 집중을 뜻한다. 허수경의 시는 이러한 ‘순간’에 주목한다. 시 속에 ‘순간’, ‘때’와 같은 시어가 종종 나타나는 것은 ‘순간’에 집중하고자 하는 시인의 시간의식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은 시 속에 ‘허무의식’을 표출하는 것에 기여한다. 허수경 시에서 ‘순간’이 가지는 역할은 결코 미약하지 않다. ‘순간’에 집중하는 자아의 실천적 행위는 현실의 부정성을 드러내고, ‘비애’의 심리적 시간과 회의적 미래를 구성하는 힘이 된다. 나아가 현재의 국면에 대한 ‘비판’으로 발전하며 ‘허무의식’의 한 측면을 보여주는 시간으로 존립한다.

      • KCI등재

        Surgical Experience of Persistent Type 2 Endoleaks with Aneurysmal Sac Enlargement after Endovascular Aneurysm Repair

        방승호,박재범,지현근,김준석,장일수 대한흉부외과학회 201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7 No.2

        Herein, we present a case of a successful treatment of persistent type 2 endoleaks associated with aneurysmal sac enlargement after endovascular aneurysm repair in an elderly patient. We confirmed the diagnosis by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and selective angiography revealing an 11.0-cm aneurysm sac with type 2 endoleaks. An attempt for the endovascular embolization of collateral arteries was unsuccessful due to anatomic variations and their multiple complex communications. Instead, transperitoneal sacotomy and direct suturing on the feeding target vessels was successfully performed without any endograft damage. In conclusion, sacotomy appears to be a feasible therapeutic substitute where endovascular or other techniques have a high risk of failure and lead to unsuccessful results.

      • KCI등재

        김남조의 시쓰기와 진정성의 시학

        방승호 한국시학회 2022 한국시학연구 Vol.- No.69

        김남조의 70여년의 시쓰기를 지탱해온 것은 무엇인가. 본고는 이것에 대한 물음을 찾고자 김남조의 시를 들여다본다. 김남조의 시쓰기는 자신의 시에 대한 반복된 성찰을 수반한다. 이것은 자신이 언급한 ‘시적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한 스스로의 노력이다. 시에 대한 열정으로 나타나는 시쓰기의 결실을 김남조는 또다시 탐색한다는 점에서 열정에 대한 메타적 열정의 모습을 드러낸다. 자신의 시를 함량미달의 부족한 것으로 치부하는 것도, 역설적으로 시쓰기를 지속하게 하는 반성적 행위가 되며, 이 과정에서 수반되는 존재론적 통증을 김남조는 그대로 시로 재생하고자 한다. 이러한 점에서 김남조의 ‘시적 진실성’은 ‘진정성’의 개념과 닮아 있다. 그러나 김남조의 진정성이 특별한 이유는, 단순히 시쓰기에 대한 내적 탐색의 과정을 수반한다는 점에 있는 것이 아니다. 김남조는 시쓰기 과정에서 소외된 언어를 바라본다. 미처 시가 되지 못한 언어들을 재사유함으로써 ‘외부’ 언어가 지닌 새로운 가능성을 포착한다. 이는 ‘언어적 타자’, 다시 말해 은폐된 언어를 재생하는 과정이자, 김남조만의 새로운 시적 사유의 가능성을 만들어내는 원동력이다. 김남조의 진정성이 지향하는 궁극적인 지점은, 그의 시에서 ‘빛’과 ‘어둠’의 이미지가 만들어내는 행간의 비유에서 촉발된다. 이것은 절망 속에 내재된 희망을 찾는 일이며, 은폐된 타자들을 재생하여 ‘미래의 시’를 찾아내는 열쇠가 된다. 그리고 열쇠를 김남조는 진정한 ‘시인 됨’에서 찾아낸다. 이러한 점에서 김남조의 진정성의 시학은 초월적 존재의 도래가 아닌, 지나간 것에 대한 작은 변화의 실천과 열정에서 희망을 바라보는 벤야민의 메시아주의와 맞닿는다. 김남조의 진정성은 무한한 자기 성찰로 다가갈 수 있는 행간의 가능성이자 희망의 메시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