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교육 보편화의 두 사례

        박환보(Hwanbo Park),양희준(Heejoon Yang),김기석(Ki-Seok Kim) 한국비교교육학회 2009 比較敎育硏究 Vol.19 No.1

        이 글은 고등교육 보편화를 대표하는 두 사례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공교육에 의한 보편화 사례인 캘리포니아 주와 사학 위주의 한국 사례를 비교한다. 한국에 만민고등교육(Tertiary Education for All: TEFA)이란 전대미문의 현실이 도래하였다. 동시에 극심한 질의 편차와 과도한 사학 의존도가 해결할 과제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특징을 드러내기 위해 캘리포니아 고등교육체제를 비교 대상으로 삼았다. 특히 고등교육 정책의 입안과 시행 과정을 비교하였다. 캘리포니아 주 고등교육체제는, 사립대가 강세인 미국에서, 교육 기회의 확대와 질 보장이라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한 공공 고등교육체제이다. 이는 캘리포니아敎育像(The California Idea)에서 기원하였다. 이해집단 간 대립과 갈등을 겪었으나 대화와 토론을 통해 도출된 합의에 바탕을 두고 1960년 종합계획이 수립되었다. 이에 근거하여 나날이 폭증하는 기회 확대 요구를 효율적으로 수용하였다. 동시에 질적 발전에 주력하여 복수의 소위 “세계수준” 연구대학을 만들었다. 한국에서는 교육정책은 물론 특히 고등교육정책이란 용어에 값하는, 즉 캘리포니아교육상에 해당하는, 정책이 없었다. 만민고등의 현실화는 정책 당국자나 수혜자 모두가 의도한 바가 아니다. 정부로서는 미필적 고의에 가깝고, 실은 과동한 민영화 탓에 아무 노력 없이 거둔 無爲의 소산이다. 앞으로 새로운 교육현실에 대한 이론 검토와 함께 그 실상을 드러내는 실증 분석이 필요하다. 앞으로 고등교육비교교육사회학 연구가 후속되면 현실 설명뿐만 아니라 정책대안 마련에도 공헌할 것이다. This study tired to explore remarkable changes in Korean higher education system with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Although the idea of "Tertiary Education for All (TEFA)" is closer to reality in Korea than in any other country, they are faced with over-privatization and an quality differentials in its tertiary education. To explain this unique phenomenon, we compared the Korean experience with the California higher education system, with focusing on the evolution of education policies. The California higher education system is one of good examples that public university succeed in expand access while also building high quality academic excellency in United States. To meet the varied and expanding needs of society, over the past century Californians created a tripartite structure of public institutions initiated by 'the California Idea'. The Master Plan of the California System in 1960, this success is a result of long dialogue and hard-wining compromise between the various stock holders with conflicting views and interests. Based on this master plan, the California state has been able to not only meet the expanding demands of higher education, but also build several world-class research universities. The Korean authority, however, had no comprehensive master plan or policies on a tertiary education that used to guide the process of expansion in Korea. TEFA in Korea became a reality, not as a consequence of policy makers' efforts or financial commitment, but as an unintended consequence of the skate holders: policy makers, university managers, professors, parents, and students.

      • KCI등재

        한국 개발NGO의 교육개발협력 사업성과 분석

        박환보(Hwan bo Park),조혜승(Hye seung Cho),유혜영(Hye young Yu),문찬주(Chan ju Moon),구양흔(Yang heun Goo),우승희(Seung heui Woo) 국제개발협력학회 2017 국제개발협력연구 Vol.9 No.3

        이 연구는 한국의 개발NGO가 아프리카 지역에서 수행한 교육개발협력 사업의 성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개발NGO인 굿네이버스가 2012년부터 5년 동안 아프리카 지역에서 실시한 희망학교지원사업의 성과를 ‘학교의 교육여건, 재학생의 교육경험, 학교의 교육성과’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아프리카 7개 국가의 희망학교와 동일 지역에 위치한 비희망학교 총 45개 초등학교의 4학년과 6학년 재학생 총 2,756명(25개 희망학교 재학생 1,489명, 20개 비희망학교 재학생 1,2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희망학교 재학생들의 학교시설 만족도가 비희망학교 재학생에 비해서 높았으며, 특히 선택시설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희망학교 재학생은 학교시설 이외에도 교육프로그램과 교사의 생활지도 영역에 대해 비희망학교 재학생에 비해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성과의 측면에서도 학교지원사업은 재학생들의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아프리카 지역에서 학교지원사업을 추진하는 데 필요한 시사점으로 교육성과를 고려한 학교시설 개선 사업, 교육 프로그램과 연계된 시설사업, 교사지원의 중요성, 학부모 참여를 고려한 지원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project conducted by Korean development NGOs in Africa. For this purpose, focusing on the Good Neighbors Hope School Project, a total of 2,756 students (1,489 students in 25 hope-schools and 1,267 students in 20 non-hope schools) from 45 schools in 7 African countries were surveyed. Through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we have developed research framework and survey instrument that include three aspect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school, the education experience of the current students, and the educational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ducational condition of the school improved in all aspects and the educational condition was higher than the average level in the surrounding area. In addition to the school facilities, Hope School students were relatively positive about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teachers life guidance areas compared to the non-hope school students. Finally, in terms of educational outcomes, the school facility support project has shown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support projects in Africa were discussed as follow: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facilities project considering the educational achievement, the facility project connected with the education program, the importance of teacher support, and the integrated support considering parents participation.

      • KCI등재

        중등 예비교사의 세계시민의식 유형과 결정요인 분석

        박환보(Park, hwanbo),임진영(Im, jinyoung),박경희(Park, kyunghee)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0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중등 예비교사의 세계시민의식 수준에 따라 집단 유형을 구분하고, 각 유형에 미치는 개인특성과 경험 요인의 영향력을 비교하였다. 특히 실천적 세계시민의식 영역에 주목하여 예비교사의 세계시민의식을 이해하고, 향후 예비교사 대상의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행동과학연구소가 개발한 세계시민의식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대전 지역 소재 A 대학의 교직과목을 수강 중인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예비교사의 세계시민의식 유형은 ‘적극적 세계시민의식형(52.1%)’, ‘소극적 세계시민의식형(22.5%), ‘미성숙 세계시민의식형(25.4%)’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유형에 따라 실천적 의지, 능력, 활동 정도가 각각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3가지 유형을 구분하는 결정요인으로는 영어능력, 자원봉사활동과 해외경험, 제도신뢰 및 친구와의 정치사회적 대화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교사의 세계시민의식 유형과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global citizenship among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level of global citizenship and to explore the factors effect on each types. Especially, this study focus on the action area among the three dimension of global citizenship. For this purpose, 180 students were surveyed A university in Daejeon metro city with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Korea Institute for Research in the Behavioral Sciences (KIRBS). The results show that the types of pre-service teachers divided into 3 group, ‘active global citizenship (52.1%)’, ‘passive global citizenship (22.5%)’, and ‘immature global citizenship (25.4%)’. fluency of English language, experience of volunteer and overseas, institutional trust, and communication with friends about political issues were significant factor effect on the practical type of global citizenship. Th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사업 효과 분석

        박환보(Park, hwanbo),임진영(Im, jinyoung)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1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부와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이 추진한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사업’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사업에 참여한 교사와 일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선도교사 사업 참여에 따른 인식 변화와 사업 참여동기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선도교사 132명과 일반 교사 48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사전검사 결과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사업은 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이해’, ‘세계시민교육 실천 역량’, ‘세계시민교육 활동 참여 의지’를 향상시키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실천 역량 향상을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 lead teachers program promo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UNESCO Asia Pacific Institute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For this purpose, a pre-and post survey was conducted for teach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GCED lead teacher program (142) and ordinary teachers who did not (48).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 in perception according to the GCED lead teacher program, an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conducted with the results of the pre-test as a covariance, and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as also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CED lead teachers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eachers’ ‘recogni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ability to practic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discuss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cher competency in implementing the GCED.

      • KCI등재

        아프리카 교육 ODA를 위한 ADEA와의 협력방안

        박환보(PARK, Hwanbo),이유리(LEE, Yoo Ri) 한국아프리카학회 2019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6 No.-

        한국 정부는 아프리카 지역협의체와의 협력을 통해 아프리카의 교육 발전을 도모하고자 노력해왔다. 2012년부터 대한민국 교육부가 아프리카교육발전협의회(Associ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Africa, 이하 ADEA)의 공식 운영위원회로 활동해왔던 것이 그 대표 사례이다. ADEA와의 협력은 지역 국제기구를 활용하여 양자협력의 한계를 극복하고, 아프리카의 교육발전을 위한 협력의 교두보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해당 기구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협력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며 구체적인 협력 방안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아프리카 교육발전을 위한 지역협의체인 ADEA의 특징과 주요 활동을 분석하고, 향후 한국 정부가 아프리카 국가와의 교육개발 협력 사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단기간에 원조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도약한 국가로서 한국이 아프리카 국가와의 교육개발협력 사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Korean Government has been constantly exerting it’s effort to promote education development in Africa through regional arrangement. The representative case of the strategy above is the performance of South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s an official steering committee of Associ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Africa(ADEA) since 2012. Cooperation with ADEA implies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conquest its limitation of bilateral cooperation with African countries along with procuring its bridgehead of cooperation for education development of Africa. However, due to lack of information regarding the organization, its efficacy and specific cooperation method seems opaque at present. Based on such awareness, this paper analyzes main features and major activities of ADEA, drawing political implications needed for better performance of South Korean government’s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african countries. Ultimately, this paper will assist South Korea to contribute on pursuing educ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with African countries, as a country which transformed itself from beneficiary to donor country in short term.

      • KCI등재
      • KCI등재

        학생인권조례 시행이 학교의 인권환경 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환보(Hwanbo Park)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enforcement of ‘the Student Human Rights Ordinance’ on the making human rights environment in schools. For this purpose, I used the Korean Survey on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2019 data,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e Student Human Rights Ordinance on the both of a promotion of human rights friendly environment and a reduction of human rights violation in schools with OLS and PSM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the enforcement of the Student Human Rights Ordinance on the human rights friendly school environment. Second, the enforcement of the Student Human Rights Ordina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reduction of the human rights violations in schools. Third, among the personal variables, stud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steem, happiness, and awareness of guaranteeing human righ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motion of human rights friendly environment, and the reduction of human rights violation in schools. Fourth, students’ participating in human rights education had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both of the promotion of the promotion of human rights friendly environment, and the reduction of human rights violation in schools. Finally, it was shown that the more inclusive and caring for the vulnerable social groups in the local community, the more i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human rights friendly environment and reduction of human rights violation in school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mote activities that can spread a culture of caring and respect each other in schools, and to mainstream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beyo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tudent human rights.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인권조례 시행이 학교의 인권환경 조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9년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인권조례 제정을 통해 기대했던 학교의 인권친화적 환경 조성과 인권침해적 환경 개선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인권조례 시행이 학교의 인권친화적 환경 조성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지만, 학교의 인권침해 환경 개선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생인권조례 시행은 학교의 인권침해 요소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변인 중에서 자아존중감, 행복감, 인권보장인식 등 학생 개인의 심리적 특성은 인권친화적 학교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인권침해적 학교환경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권교육 경험도 인권친화적 학교 환경 조성과 인권침해 환경개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고 포용적일수록 인권친화적 학교환경 조성이나 인권침해적 학교환경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동․청소년인권 증진과 보장을 위해서는 학교에서 배려와 존중의 문화를 확산할 수 있는 활동의 개발과 추진이 필요하고, 학생인권의 제도화 논의를 넘어 아동․청소년 인권을 주류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일본의 대학을 통한 국제개발협력에 관한 연구

        박환보(Hwanbo Par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1

        이 글은 최근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강조되고 있는 대학의 역할 증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일본의 사례 분석을 통해서, 우리 대학의 국제개발협력 사업 참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글이다. 이를 위해서 일본의 ODA 정책 변화의 맥락을 간략하게 고찰하고, 이에 따른 대학의 국제개발협력 사업 참여 형태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일본의 대학을 통한 국제개발협력의 특징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참여가 개인적 차원에서 기관적 차원으로 확대되었다. 둘째, 대학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는 문부과학성이 대학의 본래 기능인 교육, 연구 기능을 국제협력이라는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각 기능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대학의 국제개발협력 사업 참여가 정부의 ODA 정책과 유기적인 연계를 통해서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 한다. 특히 문부과학성이 개발협력사업을 독자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아니라, 대학 본연의 인력양성과 연구 기능을 지원하여, 국내외의 개발협력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는 점은 최근 한국의 원조분절화 문제를 해결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plor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cooperation activities by university in Japan and tried to draw implication on Korean universities. Doing this, this study reviewed Japanese ODA policy and analyzed a type of ODA activities by university. The findings from the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way of participation in development cooperation has expanded to organizational level as well as individual level. Second, the ministry of education(MEXT), which can control universities directly, has supported universities to participate in various ODA activities financially and administratively. Based on this findings, this study concluded that government’s role is important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cooperation activities by university. Specially, it could imply on Korea that MEXT did not conduct development cooperation activities independently but supported universities to make a full use of their capacity in development cooperation activities.

      • KCI등재

        청소년의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박환보(Park, Hwanbo),유나연(Yoo, Na-Yeon),장세정(Jang, Se-Jeong),유혜영(Yu, Hye-You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6 比較敎育硏究 Vol.26 No.4

        이 연구는 청소년의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개인수준과 학교수준 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세계시민교육에 있어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국제시민교육연구(ICCS) 2009 자료를 토대로 2수 준의 위계적 선형 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HLM)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학생이 양성평등, 타문화 출신자에 대한 평등 인식, 이민자에 대한 평등인식에 있어서 남학생에 비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에서 사용하는 언어와 시험언어의 차이에 따라서 청소년의 세계시민의식 수준의 차이점이 나타났다. 부모의 학력과 직업지위는 대체로 청소년의 세계시민의식 수준에 영향을 미쳤고, 청소년의 정치사회적 이슈에 대한 관심 정도에는 부모의 영향력이 매우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세계시민의식 함양에 있어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학교수준에서는 교사학생관계와 학생참여의 가치가 세계시민의식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추진하는데 있어 학교풍토 변화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udent’s individual background and school factors on global citizenship and to provide some suggestions to improv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To achieve this purpose, we used International Civic and Citizenship Education Study (ICCS) 2009 data which studied student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civics and citizenship as well as student perceptions, and attitudes related to civics and citizenship from 38 countries. The data was analyzed with a 2-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Girl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boys toward gender equality and equal rights for different ethnic groups and immigrants.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level of student’s global citizenship depended on whether home language was different from test language. Parental educational attainment and parental occupational status generally affected the level of student’s global citizenship and students’ interest i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appeared to be strongly affected by their par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rents play important role in improving global citizenship. At the school level,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the value of student particip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global citizenship. Therefore, in order to implemen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ange of school climate.

      • KCI등재

        교육협력여건을 고려한 수원국의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박환보(Park Hwan Bo),이한별(Lee Han Byul),김명진(Kim Myong Ji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5 比較敎育硏究 Vol.25 No.3

        본 논문은 OECD DAC 수원국 리스트에 명시된 국가들의 교육협력 관련 특성을 토대로 수원국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성에 따라서 교육협력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국제기구들이 수집한 통계자료를 활용한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여 교육협력여건을 설명하기 위한 요인을 추출하고, 추출한 요인을 토대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성분분석의 결과 세 가지 요인들이 추출되었고, 각각의 특성에 따라서 기초교육역량, 성장잠재력, 교육여건으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요인점수를 활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후, 수원국들을 '고도인재육성 지원형', '종합적 교육협력 추진형', '모범사업 발굴 및 확산형', '포괄적 파트너십 활용형'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각 유형별로 교육협력 여건을 살펴보고, 해당 유형에 속한 국가와의 교육협력전략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recipient countries and develop the educational cooperation strategies of Korea on the basis of educational characteristics.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ome factors were abstracted from the statistical data that were collected by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Based on the abstracted factor scores,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y recipient countries and also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s the result of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ree factors were abstracted, and they were named as the basic education competency, growth potentiality,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in accordance with their ow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using the factor scores, the recipient countrie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support for fostering highly talented people," "driving comprehensive educational cooperation," "excavation and proliferation of best practices," and "using comprehensive partnership."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suggested the educational cooperation strategy with the countries that are included in each 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