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本資源外交の特徵と變化 1970-1990 -石油エネルギ-確保の對策と限界-

        박홍영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3 일본연구 Vol.20 No.-

        This article examined the change of Japan Resources Diplomacy (JRD) in 1970-1990. The major era (-1960), Japan depended on an oil major and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The OPEC era (1960-1980), Japan recognized that to acquire the energy resources was important. So that Japan has the hope to plan JRD. However, Japan hid the will and at the same time, JRD was planned go ahead and positively. The other side, the market era (1980-1990), Japan devoted itself to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Japan performed domestic measures for this purpose closely. It was the storage, energy-saving, law maintenance and the development of the alternative energy. And, in the limit, JRD was bound up in the Middle Eastern order and OPEC countries` policy, the relations with US. It is the basic solution that Japan disperses the problem in oil import, to reduce a risk. However, the dispersion in itself of the import is the thing more than ranges of the JRD. Therefore it may be said that Japan put into the realism, E. H. Carr says. However, this realism is the Japanese self-portrait that Japan`s participation and engagement in Middle Eastern order was impossible.

      • KCI등재
      • KCI등재

        탈냉전 이후 일본 사회상의 변화: 평가와 해석의 문제

        박홍영 한국동북아학회 2008 한국동북아논총 Vol.13 No.4

        This article examined Japanese social image. First, the issue of history textbook, a viewpoint and influence of the Emperor, the issue of Yasukuni shrine; they were called History Recognition. Second, Japanese government trust, patriotism, self-confidence for the nation, the issue of national defense; they were called Nation Consciousness. Third, the issue of constitution reform and the laws for emergency, a rising conservative politician group, a point of view for the Japanese security; they were called Political Arguments. Japan try to rationalize the past thing. Because the issue of history is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and the time to interpret came. This is the change of Japanese social image that was showed like the history recognition; history textbook, patriotism, the issue of Emperor, the issue of Yasukuni shrine. The problems to be concerned with closely in the past, while they are existing. They have the negative side and are connected with Japanese tradition at the same time. In Japan to be a common nation is militarization, this is connected to national self-defense. It mean switch to the Japanese initiative defense. The Japanese public opinion shows a clear changing image after the Post Cold War. This article showed the dynamism of Japanese social image on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이 연구는 일본사회의 여러 쟁점을 과거(역사교과서 문제, 천황의 지위 및 영향 문제, 야스쿠니 신사문제), 현재(정부신뢰도, 애국심 혹은 국가에 대한 자부심, 국가방위 문제), 미래(평화헌법 및 유사법제 문제, 신진 보수정치인 그룹, 일본의 안전에 대한 관점)문제로 분류해서 살펴봤다. 과거문제를 보면, 일본은 과거사에 대한 합리화를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역사문제는 해석문제로 이제 일본 나름대로 해석할 시기가 도래했다고 보는 것이다. 일본역사교육은 미래세대의 양육이라는 차원에서 과거의 잘못과 가해사실을 합리화하면서 비켜가는 흐름의 양상이 강화되고 있다. 이 점이 역사교과서에 보이는 일본 사회상의 변화이다. 이런 바탕 위에 애국심, 천황문제, 야스쿠니 신사문제 등이 있다. 현재문제들은 현존하면서도 과거사와 관련된 문제이다. 과거사에 이들의 부정적인 측면이 있었지만, 이들은 일본의 전통과 맥이 닿아있다. 이를 일본 사회상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보면, 과거사에 얽매여 일본의 전통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는 논리가 숨어 있다고 본다. 과거문제나 현재문제는 전통 위에 있다는 논리다. 그리고 일본사회 변화의 풍향계라고 할 수 있는 미래문제를 보면, 이들은 일본의 보통국가화와 관련이 있다. 보통국가화는 군사화이며 자주국방론이다. 이를 일본 사회상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보면, 전수(專守)방위가 아닌 선제(先制)방위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일본 국민여론도 냉전 이후 뚜렷한 변화상을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논의되는 우경화는 이를 말한다.

      • KCI등재

        エネルギー安保に対する日本政府の対応 : 1970年代の石油危機の事例

        朴洪英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1 日本硏究 Vol.50 No.-

        日本政府は、自主開発原油三割の目標および石油代替エネルギー元年の設定、国際資本との協調、融資買油の活用、国民生活安定緊急措置法及び石油需給適正化法、熱管理法、石油備蓄法などの実施や改正のような国内対策とともに、中近東諸国に対する対外政策として資源外交を積極的に行なった。また予算案に太陽エネルギー、水素エネルギー等、豊富かつ無公害の新エネルギー技術の開発に要する経費を計上するなどの措置が日本の政策的処方であった。 つまり、日本政府の法的かつ政策的対策が採られた結果、日本国内の消費は低迷し、大型公共事業が凍結か縮小された。また日本政府は、競争力を失った「構造不況業種」を縮小させ、成長分野に資源を振り向ける「積極的調整政策」も取った。1970年代の石油危機は日本にとって危険な状態に迫られる苦しい環境をもたらしたが、その環境を乗り越える智慧と実力を養う機会でもあったのであろう。しかし限られた資源の下で置かれている状態から免れることはできないのが実体であることは言うまでもないので、これからも代替エネルギーの開発や省エネルギーへの一層の努力が必要であろう。

      • KCI등재후보

        북핵문제에 대한 일본 안보정책의 제약과 기회고찰: 북한의 NPT가입 및 탈퇴 시기(1989-1993) 사례

        박홍영,허만호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2 국제지역연구 Vol.11 No.3

        As regards its security policy towards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e initial cooperative position (1989-1991) taken by Japan subsequently transformed into a firm position, resulting from a change in Japans partnership with the USA. In other words, Japan proclaimed “positive diplomacy for region stability” in the context of a “global partnership” with the USA. The main principle of this global partnership is a separation of political and military issues between Japan and the USA, respectively. As such, the USA takes charge of military security through its military bases in the Asia-Pacific region, while Japan tries to resolve political questions through positive diplomacy, thereby discarding past constraints and establishing a new position for itself through security diplomacy in the post-cold war era. However, as a result of this policy, Japan recently drove North Korea into a corner by linking the nuclear issue with political questions, for example, diplomatic normalization issues with mutual inspections, and economic cooperation with nuclear issues etc. Therefore, insofar as the USA is calling for a proactive role from Japan as its global partner in East Asia, a corresponding influence is also needed in the future from Japan. The cooperation between the USA, Japan, and South Korea through KEDO can be analyzed as follows; the USA dominates the East-Asian military order, while Japan takes charge of the politico-economic support. Accordingly, to a certain degree the Japanese role can be interpreted as supporting American world military strategy, while also strengthening Japan's position in East-Asian affairs. Consequently, it is difficult to deny that Japan's role i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a new world order centering on the USA. 일본의 안보적 관점에서 볼 때, 북한 핵문제에 대해 일본은 초기(1989-1991)에는 협력적이던 것이 점점 변하여 후기(1992-1993)에는 경직화되면서 공세적으로 변했다. 그 배경에는 미일관계의 새로운 위상변화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새로운 위상변화란 미일간의 “글로벌 파트너십” 표명이며 일본 스스로가 “지역안정을 위해 적극적 외교”를 구사하겠다는 표명에서 나타났다. 글로벌 파트너십의 핵심내용은 정치와 군사문제의 분리해석이며 이는 미일간 역할분담을 의미했다. 미국은 미군 주둔을 통해 군사적 안전보장 역할을, 일본은 정치적인 측면에서의 적극외교를 통한 정치적 문제해결을 시도한다는 것이었다. 여기서 탈냉전기 일본의 안보외교는 제약에서 기회로의 전이를 시도했다. 이 기회를 이용해 일본은 핵문제를 당사국 문제(국교 정상화와 상호사찰, 남북경협과 핵문제)와 링크시켜 북한을 궁지에 몰아 넣었다. 앞으로 미국이 글로벌 파트너로서 동아시아에서의 일본의 역할을 기대한 이상 그에 상응한 일본의 영향력도 증대할 것이다. 본 논문의 고찰대상 시기보다는 앞선 이야기이지만 미국이 동아시아의 군사적 질서를 주도해 왔고 일본은 정치적 혹은 경제적(기술 및 자본협조) 후원을 통한 KEDO를 둘러싼 한미일 역할분담을 해오고 있음이 이를 입증해 주는 단서일 것이다. 여기서 일본은 미국의 군사적 세계전략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후견인 역할이지만 동시에 일본의 관점에서 보면 동아시아 지역질서에 관여하는 적극적 참여자로서 그 만큼 발언수위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여기에 일본의 “국제적 역할”이 있다. 그 역할은 긍정적이던 부정적이던 미국을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 만들기라는 것이다.

      • 캔위성 대회를 위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설계 및 구현

        박홍영,서정기,신구환,장태성,김태권,김단희,이인 한국항공우주학회 2012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2 No.11

        캔위성은 이미 해외에서 다수 경연대회가 있을 만큼 널리 보급된 초소형 위성 교육 프로그램이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가 주최하고,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가 주관한 국내 최초의 캔위성 경연대회를 위한 하드웨어 기술과 소프트웨어 기술에 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2012 캔위성 경연대회는 8월 9일 세종시에서 개최되었으며, 진행은 열기구에 의한 낙하방식과 로켓 방식으로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낙하 방식을 위한 전개기구, 캔위성, 지상국과 로켓 방식을 위한 로켓 발사 장치, 로켓 영상 장치, 로켓용 캔위성 지상국에 대한 설계, 구현, 시험 및 운용 전 과정을 기술한다. Cansat is a pico-satellite for educational purpose in order to understand real satellite system and its operation. Cansat program is well-known as much as there are serveral official competitions in the world. The first cansat competition in Korea which hosted by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and conducted by KAIST SaTReC, was held in Aug. 8 2012.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ardwares and softwares for the 2012 Korean Cansat Competition.

      • KCI등재

        日本資源外交の特徴と変化 1970-1990 : 石油エネルギー確保の対策と限界

        朴洪英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3 일본연구 Vol.20 No.-

        This article examined the change of Japan Resources Diplomacy(JRD) in 1970-1990. The major era(-1960), Japan depended on an oil major and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The OPEC era(1960-1980), Japan recognized that to acquire the energy resources was important. So that Japan has the hope to plan JRD. However, Japan hid the will and at the same time, JRD was planned go ahead and positively. The other side, the market era(1980-1990), Japan devoted itself to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Japan performed domestic measures for this purpose closely. It was the storage, energy-saving, law maintenance and the development of the alternative energy. And, in the limit, JRD was bound up in the Middle Eastern order and OPEC countries' policy, the relations with US. It is the basic solution that Japan disperses the problem in oil import, to reduce a risk. However, the dispersion in itself of the import is the thing more than ranges of the JRD. Therefore it may be said that Japan put into the realism, E. H. Carr says. However, this realism is the Japanese self-portrait that Japan's participation and engagement in Middle Eastern order was im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