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평균 유선선량 측정방법의 표준화 및 유방 두께, 실질양상과의 상관관계 분석

        박혜숙,김희중,이창래,조효민,유아람,Park, Hye-Suk,Kim, Hee-Joung,Lee, Chang-Lae,Cho, Hyo-Min,Yu, A-Ram 한국의학물리학회 2009 의학물리 Vol.20 No.1

        유방암은 우리나라 여성에게 발생하는 암 중에서 발병률이 높은 암이다. 따라서 유방자가진단, 임상적 검사, 유방 X선촬영 등과 같은 유방암 초기 검출검사는 중요하다. 이들 중 유방 X선촬영은 무자각증상 시기에 유방암 초기 검출을 위해 40대 이상의 여성들에게 매년마다 시행하기를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유방의 유선조직은 방사선 민감성 조직이다. 이에 유방 X선촬영장치의 평가 중 평균 유선선량 측정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된다. 평균 유선선량의 직접측정은 어렵기 때문에 incident air kerma 측정, 적절한 변환계수 등을 적용하여 계산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평균 유선선량의 측정 방법의 표준화이다. 두 번째는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평균 유선선량과 유방 실질양상 및 두께와 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했다. 본 연구 결과, IAEA 가이드라인(CoP)에 따라 평균 유선선량 측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전반적으로 우리나라는 유방촬영 시 받는 평균 유선선량이 식품의약품안전청 및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에서 제시하는 3mGy 이하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평균 유선선량과 시뮬레이션된 평균 유선선량은 각각 1.7과 1.6 mGy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뮬레이션된 평균 유선선량은 주로 유방의 유선조직의 비율에 따라 의존한다. 유방의 glandularity 증가에 따라 낮은 에너지의 광자의 흡수가 증가하여 평균 유선선량도 증가하였다. 또한 유방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평균 유선선량은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유방촬영의 진단 참고준위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 form of cancer among korean woman. Therefore, the early detection activities of breast cancer such as breast self-examinations, clinical breast examinations, mammography are important. A yearly mammography examination has been recommended for women aged 40 and older for the early detection of breast cancer in asymptomatic periods. However, the glandular tissue of breast is the most radiation-sensitive tissue, and the determination of average glandular dose (AGD) forms an important part of the quality control of the mammographic systems.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estimating AGD directly, it is often estimated from the measurements of the incident air kerma and by applying the appropriate conversion factor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tandardize the method of measuring AGD. The secondary objective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AGD per various composition and thickness of the breast using Monte Carlo simulations. As a result, we standardized the method of measuring AGD according to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guidelines (CoP: an international code of practice). Overall, AGD for mammographic practice in Korea was less than 3.0 mGy recommended by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stration (KFDA) protocol, and Korean Institute for Accreditation of Medical Image (KIAMI). The measured and simulated AGD for a given condition were calculated as 1.7 and 1.6 mGy, respectively. For the AGDs obtain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The simulated AGD was dependent on the fraction of glandular tissue of the breast. The AGD increases with increasing of the breast glandularity due to increasing absorption of low energy photons. The AGD also increases as a function of breast thicknes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eline to establish a reference level of radiation dose in mammography.

      • KCI등재

        직접 및 간접변환 방식의 디지털 유방 X선 촬영시스템의 영상화질 비교 연구

        박혜숙,오유나,조희정,김상태,최유나,김희중,Park, Hye-Suk,Oh, Yu-Na,Jo, Hee-Jeong,Kim, Sang-Tae,Choi, Yu-Na,Kim, Hee-Joung 한국의학물리학회 2010 의학물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직 간접 변환방식 검출기를 사용한 디지털 유방 X선 촬영시스템의 영상 화질을 비교하고 평가함에 있다. 영상의 정량적인 분해능을 나타내는 변조전달함수(MTF), 노이즈 특성을 나타내는 정규화된 잡음력 스펙트럼(NNPS), 그리고 신호 대 잡음비 성능을 나타내는 양자검출효율(DQE)인자를 이용하여 영상 화질평가를 하였다. DQE는 IEC 62220-1-2 규약에 따라 edge 팬텀을 사용한 MTF 도출을 이용하여 계산되었다. 대조도 대 노이즈비(CNR) 측정은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에서 제시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측정되었다. 직접 변환방식 검출기가 간접 변환방식 검출기에 비해 공간주파수별로 MTF와 DQE 값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동일한 평균유선선량(AGD)일 때 직접 변환방식의 검출기는 더 높은 CNR값을 보였다. 공간주파수별로 높은 DQE 값을 갖는 직접 변환방식 검출기는 디지털 유방 X선 촬영시스템에 있어서 향상된 영상 화질과 적은 환자선량을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compare and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image quality for digital mammography systems which use a direct and indirect conversion detector. Three key metrics of image quality were evaluated for the direct and indirect conversion detector, th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normalized noise power spectrum (NNPS), and detective quantum efficiency (DQE), which describe the resolution, noise, and signal to noise performance, respectively. DQE was calculated by using a edge phantom for MTF determination according to IEC 62220-1-2 regulation. The contrast to noise ratio (CNR) was evaluated according to guidelines offered by the Korean Institute for Accreditation of Medical Image (KIAMI). As a result, the higher MTF and DQE was measured with direct conversion detector compared to indirect conversion detector all over spatial frequency. When the average glandular dose (AGD) was the same, direct conversion detector showed higher CNR value. The direct conversion detector which has higher DQE value all over spatial frequency would provide the potential benefits for both improved image quality and lower patient dose in digital mammography system.

      • KCI등재

        유효검출양자효율과 선량을 이용한 소아 흉부 X-선 영상의 기술적인 인자에 관한 조사

        박혜숙,김예슬,김상태,박옥섭,전창우,김희중,Park, Hye-Suk,Kim, Ye-Seul,Kim, Sang-Tae,Park, Ok-Seob,Jeon, Chang-Woo,Kim, Hee-Joung 한국의학물리학회 2011 의학물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ous technical parameters for the dose optimization in pediatric chest radiological examinations by evaluating effective dose and effective detective quantum efficiency (eDQE) including the scatter radiation from the object, the blur caused by the focal spot, geometric magnification and detector characteristics. For the tube voltages ranging from 40 to 90 kVp in 10 kVp increments at the FDD of 100, 110, 120, 150, 180 cm, the eDQE was evaluated at the same effective do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DQE was largest at 60 kVp when compares the eDQE at different tube voltage. Especially, the eDQE was considerably higher without the use of an anti-scatter grid on equivalent effective dose. This indicates that the reducing the scatter radiation did not compensate for the loss of absorbed effective photons in the grid. When the grid is not used the eDQE increased with increasing FDD because of the greater effectiv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eMTF). However, most of major hospitals in Korea employed a short FDD of 100 cm with an anti-scatter grid for the chest radiological examination of a 15 month old infant. As a result, the entrance surface air kerma (ESAK) values for the hospitals of this survey exceeded the Korean DRL (diagnostic reference level) of $100{\mu}Gy$. Therefore, appropriate technical parameters should be established to perform pediatric chest examinations on children of different 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serve as a baseline to establish detailed reference level of pediatric dose for different ages. 본 연구에서는 피사체에 의한 산란, 초점에 의한 흐림, 기하학적 확대도 그리고 검출기의 특성이 반영된 유효검출양자효율(effective detective quantum efficiency, eDQE)과 유효선량을 평가하여 소아 흉부 X선 촬영 시 선량의 최적화를 위한 조사조건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100, 110, 120, 150, 180 cm의 FDD (focus-to-detector distance)일 때 관전압을 40 kVp에서 90 kVp까지 10 kVp씩 증가시켜가며 동일한 유효선량일 때 eDQE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eDQE는 다른 관전압과 비교 시60 kVp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특히, 동일한 유효선량일 때 그리드가 없을 경우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eDQE를 나타냈다. 이는 그리드에 의한 산란선의 감소가 그리드에서 흡수된 유효 광자의 손실을 보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드 가 없을 경우 FDD가 증가할수록 향상된 유효변조전달함수(effectiv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eMTF)로 인하여 eDQE는 증가하였다. 국내 대형병원들의 대부분은 15개월 소아의 흉부 X선 촬영 시 그리드와 함께 100 cm의 짧은 FDD를 사용하고 있다. 그 결과 대부분의 경우는 국내 환자선량권고량(diagnostic reference level, DRL) $100{\mu}Gy$을 초과하였다. 이는 5세 소아 흉부 X선 촬영 시 150 cm에서 180 cm 사이의 긴 FDD를 사용하지만, 15개월을 모사하고 있는 표준 소아팬텀의 흉부 X선 촬영의 경우 100 cm의 짧은 FDD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이에 따른 소아의 흉부 X선 촬영을 시행하기 위한 적절한 조사조건이 확립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는 나이에 따른 소아 선량의 권고량을 설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 구어·문어 상호능력 신장을 위한 ‘-다’, ‘-ㄴ다/는다’의 교육 연구 : 교육 단계 및 교육 내용의 범주 설정을 중심으로

        박혜숙 ( Park Hye-suk ) 한민족어문학회 2018 韓民族語文學 Vol.0 No.80

        이 연구는 한국어 구어·문어 상호능력의 신장을 위해 대표적 문어체 종결어미인 ‘-다’, ‘-ㄴ다/는다’의 교육 단계 설정과 교육 내용의 범주 설정 및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다’, ‘-ㄴ다/는다’의 구어적, 문어적 의미 기능과 용법에 대해 살펴보고 「표준모형」의 관련 내용과 현행 한국어 교재 5종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 ‘-ㄴ다/는다’의 구어적, 문어적 기능과 용법에 관한 적절한 교육 단계와 교육 내용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더불어, ‘-다’, ‘-ㄴ다/는다’의 구어적 기능에 관해서는 현재와 같이 ‘반말’의 범주가 아니라 각각의 의미 특성에 따라 주제 또는 기능과 연계하여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밝히고 과제 구성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wofold. The first purpose is to present how to set up the stages of education and determine the educational contents categories of ‘-다’, ‘-ㄴ다/는다’, The second purpose is to improve the spoken and written language of learners of Korean l. ‘-다’, ‘-ㄴ다/는다’ is the most representative Korean sentence final ending of literary style. To do this, previous studies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literary closing function and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colloquial functions of ‘-다’, ‘-ㄴ다/는다’. After that, the relevant contents of ‘the Internationally Accepted Standard Korean Language Education Model’ were reviewed and five cur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analyz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독서교육의 방향 찾기

        박혜숙(Park, Hye-suk)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0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4 No.1

        우리 사회는 무한경쟁을 강조하는 신자유주의 논리에 휘말려 들어가고있다. 구제금융 위기 이후 어려워진 경제 상황은 이런 현실을 합리화하는데 악용되고 있다. 학교 현장의 상황도 이런 현실의 축소판이다. 자기 옆에 있는 타인을 돌아보지 않고 자신의 생존을 위해 타인을 적으로 간주하게 되는 현실이 아이들 속에서 그대로 재현된다. 대학을 가기 위해 거 쳐 가는 곳으로 전락해버린 고등학교 현장은 ‘내가 살아남기 위해 친구를밀쳐내야 하는’ 생존 법칙을 내면화하는 곳이 되어 버렸다.교육 현장에서 교육의 본질에 대한 고민은 어딘가로 사라졌다. 이런 현실이 지속된다면 앞으로 우리 아이들은 사방이 벽으로 꽉 막힌 전쟁터에서 살아남기 위해 누군가에게 총을 겨눈 채 불안과 고독 속에서 살아가게 될 것이다. 이런 현실을 바로 잡기 위한 노력이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 현장에서 이런 노력을 하기에 가장 적합한 교육활동이‘독서토론모임 활동 중심의 독서교육활동’이다.독서토론모임 활동은 아이들이 자신을 둘러싼 현실을 직시하고 그 현실 속에 서 있는 자신을 돌아보게 만든다. 그리고 친구들과 책을 읽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는 경험은 서로의 생각을 확장시키고 나아가 자신들을 둘러싼 무력의 포위망을 넘어설 수 있게 해주는‘연대의 힘’을 갖게 만들 수 있다. Korean society is getting involved in the neo-liberalismemphasizing free-for-all. Poor economic conditions after the IMFbailout are misused to justify this fact. The scene of school is alsoa miniature of the society. This fact is realized and repeatedamong the students - a reality that people don't look aroundanother person and consider each other as an enemy to survive.The site of high school that became a way station to go to university is now a place that teaches the survival rule, 'Push yourfriends to survive' to students. At the place of education, thinking about the essence of education is disappeared. If this situation is continued, children will live in the uncertainty and lonesome, with aiming their guns at someone in the closed war site. The effort to correct this should be done in school. 'Reading education based on reading-debating activity' is the most suitable educational activity to make this effort in school. Reading-debating activity makes children face the reality and look back themselves. The experiences of sharing ideas in debating expand each children's ideas and have them get a 'Power of solidarity' which helps to overcome the encircling net of force around them.

      • KCI등재후보

        백석과 박용래 시의 비교 고찰

        박혜숙(Park, Hye-suk) 한국비평문학회 2013 批評文學 Vol.- No.48

        이 글은 백석과 박용래 시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병렬적 나열 방식을 상호텍스트성의 관점에서 특징과 성취를 고찰하여 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문학작품은 개별 작품들이 독자적으로 존재하면서, 다른 작품들과 유기적인 연관성을 맺으며 창작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연관 속에서 문학 작품을 바라볼 때 그 작품을 깊이 이해하게 된다. 백석과 박용래는 작품에서 세계관을 드러내는 방식이 닮았다. 시적으로 형상화해서 배열하는 유사성에, 나아가 가치관까지 맞닿아 있은 것으로 사료된다. 시행을 병렬적으로 전개하는 것은 언뜻 보기에 이질적인 것들이 단순히 나열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궁극에는 통합된 의미로 심화 확장된다. 대등하게 나열된 시어, 구문들은 시의 전체 의미를 효과적으로 이미지화하고 영상미가 뛰어나서 영상장르에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어 타장르와 상호텍스트가 된다. 병렬적인 나열 방식은 박용래 시에서 좀 더 변형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는 시적 상상력을 더하여 백석 시의 전통을 창조적으로 계승한 면이다. 나열 방식의 변형은 자연과 인간의 합일을 통해 생태학적 가치를 추구하고 있으며 영상미가 배가된다. 디지털 영상매체 시대에 활자매체인 시문학이 영상장르에 원자재를 제공하는 가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n effect clear on a parallel arrangement method in the viewpoint of intertextuality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achievements which have been commonly appeared in BaekSeok’s and ParkYongRae’s poetry. Literary works individually exist, but also organically link up with each other. So this link provides deeper understanding of their literary works. BaekSeok’s and ParkYongRae’s poetry resemble each other in a way of showing their own world view as well as poetically embodied arrangement. Developing lines in parallel may seem to enumerate the heterogeneous things. Eventually, however, they are extended further into an integrated meaning. Equally arranged words and phases visualize the whole meaning of the poem effectively and have image beauty. Therefore, it becomes the intertextuality with other genres as it is used in video genres. The parallel arrangement method appears in ParkYongRae’s poetry by adding poetic imagination, and it succeeds BaekSeok’s tradition creatively. This pursues ecological value through unifying nature and humans. Moreover it improves the beauty of image. Poetry literature which is media in print is also valuable to be sources of video media in the digital media era.

      • KCI등재후보

        화자집중훈련(Speaker Immersion)이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유아의 자발적인 맨드(Mand) 및 택트(Tact) 행동 증가에 미치는 영향

        박혜숙(Park Hye-Suk),안효민(Ahn Hyo-Min),김수정(Kim Su-Jeong),김승주(Kim Seung-Ju),이유진(Lee Yu-Jin),장혜정(Jang Hye-Jeong),유연희(Yu Yeon-Hee) 한국행동분석학회 2018 행동분석․지원연구 Vol.5 No.2

        이 연구는 화자집중훈련이 자발적인 맨드와 택트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 아동들은 자폐성 장애가 있는 만 4~6세 남녀 아동 다섯 명이었으며, 참여자 간 지연된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화자집중훈련은 화장실 사용, 간식 시간과 같이 반복되는 일상에서 진행되었다. 중재 절차의 주요 요소는 설립조작(establishing operation)인데, 즉 참여 아동이 앞서 언급된 일과를 수행하려 할 때 실험자에 의해 일과 진행이 중단되어 맨드의 필요성이 증가한 상황이 조작되고, 참여 아동의 맨드에 의해 다시 중단된 활동이 계속되어 그 활동을 완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여 아동에 따라 하루에 여섯 번에서 15번의 설립조작이 제시되었다. 목표하는 맨드 관련 강화 이력의 원활한 형성을 위해 설립조작이 이루어진 상황에서 에코익 촉구가 사용되었다. 아울러 중재에 의한 맨드의 증가가 자발적인 택트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복도 벽에 게시된 그림이나 사물을 택트하는지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들의 맨드의 빈도가 중재 전보다 증가하였다. 공작 시간이나 자유 놀이상황과 같이 중재되지 않은 상황에서 맨드와 택트가 증가하였으나, 이러한 일반화의 정도는 참여 아동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실험 결과는 참여 아동들의 언어능력(verbal capabilities)수준과 관련하여 논의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a Speaker Immersion Procedure on frequency of spontaneous mands and tact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study was conducted for 2 girls(4-, 6-year old) and 3 boys (4-, 6-year o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a private agency where Early Intensive Behavioral Intervention was provided in a metropolitan city. All of the participants had mands and tact but didn’t show spontaneous mands and tacts. Data were collected in a delayed multiple baseline across participant design. Target behaviors were spontaneous mands and tacts when relevant establishing operations were in place. Intervention was Speaker Immersion during which an intensive mand training was provided with captured or devised establishing operations through a Behavior Chain Interruption Strategies. Relevant establishing operations were manipulated during daily routine such as using bathroom or snack time. The children needed to mand for each step of daily routine in order to complete the routine. For example, the children were required to mand for pulling up pants, using soap, water, paper towel and etc. in order to finish using the bathroom. 6-15 establishing operations were manipulated during one intervention session. During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er provided echoic prompts if the children didn’t emit independent mands within 3 to 5 seconds after a relevant establishing operation was in place. The prompted mands were followed immediate reinforcement. Generalizations were tested in other settings such as at a play ground, during art activity or free plays. Spontaneous tacts were also tested to see whether increasing spontaneous mands during daily routine induce increased ta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vention procedure were effective in increasing spontaneous and independent mands during training sessions. The results of generalizations and increasing tacts varied across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level of verbal capabilities of each particip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