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기돌봄에 대한 인식과 경험

        박향경,권자영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9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7 No.3

        This study is an explanatory study of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self-car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Data was collected over three sessions using FGI and analyzed using subject analysis method.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19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ith work experience of 3~10 years at mental health centers,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mental health clinic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self-car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could be analyzed into six subjects: entering the mental health practice field, perceiving myself and my surrounding in the reality of the mental health practice field, slowly becoming exhausted, ways to overcome crisis, unfamiliar but sort of realizing how to self-care, and boundary and space for self-care.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and practice recommendations were made on the following: creating a sympathetic and caring mental health practice environment,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a systematic self-care education program for the emotional welfare and growth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s professionals, and provision of self-care education and education about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rauma, secondary trauma, and burn out during the process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training. 본 연구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기돌봄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 초점집단면접방법(FGI)을 활용하여 총 3차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주제분석방법을 통해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재활시설, 정신의료기관 등에 근무하고 있는 경력 3년 이상 10년 이하의 정신건강사회복지사 19명이다. 연구결과,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기돌봄에 대한 인식과 경험은 정신건강실천현장으로 들어섬, 정신건강실천현장의 현실 속에서 나와 주변을 봄, 서서히 고갈되어감, 고비를 넘기는 혹은 넘긴 방법들, 낯설지만 알것 같은 나를 돌보는 일, 나를 돌보기 위한 울타리와 장 등 6개 주제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공감과 돌봄의 환경’으로서 정신건강실천환경 조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전문가로서의 정서적 안녕감과 성장을 위한 체계적인 자기돌봄 관련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제공,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수련교육 과정에서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외상, 이차외상, 소진 등에 관한교육과 자기돌봄 교육의 제공 등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 삶, 종교, 돌봄 - 한 정신장애인의 어머니 이야기 -

        박향경 영성과 사회복지학회 2014 영성과 보건복지 Vol.2 No.1

        나는 이 연구에서 성인 정신장애인 자녀를 돌보는 한 어머니의 삶에서 종교의 의 미를 질적연구방법인 내러티브탐구방법을 통해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정신장애인 자녀를 스무 해 이상 돌보고 있는 일흔 두 살의 어머니로 종교적 배경 은 불교이다. 연구참여자의 생애에서 종교의 의미는 ‘가족의 삶이 된 종교’로 해석 되었고, 그 과정은 ‘삶의 시작에서 만나다’ ‘삶의 울타리 안으로 들어오다’ ‘삶 속에 서 스며들다’ 였다. 연구참여자에게 있어서 종교는 한 개인과 가족의 삶을 조직화하 고 구성해가는 중심 원리이자 정신장애인 자녀의 돌봄의 형태로 드러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 주된 관심을 두는 사회복지에 있어서 종교는 간과할 수 없는 유무형의 환경임을 시사한다. 제언으로는 사회복지교육과 훈련에 종교에 관한 내용을 포함시킬 것과 종교가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임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실천관계에 대한 사례관리자와 정신장애인의 인식 연구

        박향경(Park, Hyang Kyung),권자영(Kwon, Ja You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4 No.4

        본 연구는 사례관리자와 정신장애인의 실천관계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지역사회 정신보건 실천현장에서 이들의 바람직한 실천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어떠한 이해와 노력이 필요한가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초점집단면접방법(FGI)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주제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에서 사례관리경험이 있는 정신보건전문요원 세 집단 20명과, 연구참여 당시 사례관리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두 집단 11명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이 진술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공통범주는 ‘좋은 실천관계에 대한 인식’, ‘실천관계 형성에 영향을 주는 사례관리자ㆍ정신장애인’, ‘실천관계에 영향을 주는 기관환경’으로 도출되었으며, 연구참여자 군에 따라 정신장애인 영역에서는 ‘사례관리자와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사례관리자 영역에서는 ‘이상적인 실천관계’ 범주가 각각 다르게 도출되었다. 주제 분석의 결과를 통해 실천관계에 있어서 정신장애인과 사례관리자간의 정서적 유대 등 관계를 촉진하는 실제관계(real relationship)의 중요성과 ‘가족처럼’으로 대표되는 한국적 관계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적용, 바람직한 실천관계 형성을 위한 기관의 물리적 환경과 사례관리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근무환경, 정책적 지원 등에 대한 실천적 제언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by exploring the perception of case managers and person with mental disabilities of their working relationship, explores what understanding and efforts are needed in order to develop best working relationships i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field. Data were collected using FGI which was analyzed through the subject analysis method. Participants were comprised of 3 groups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that have had case managing experience in mental health centers and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2 groups of mentally disabled persons who were using case managing service during 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After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participants’ testimonies, the common categories that were extracted were ‘perception of a good working relationship,’ ‘case manager/mentally disabled person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a working relationship,’ ‘facility environment that influences the working relationship,’ and different categories were discov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participant: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y the case manager’ for mentally disabled persons, ‘ideal working relationship’ for case manager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ubject analysis, the importance of real relationship between the client and the case manager,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relationship represented by ‘family-like,’ and working environment and policy support for the good working relationship were found, and practical sugges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are provided.

      • KCI등재

        지적장애인의 주거환경변화가 거주장애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박향경(Park, Hyang Kyung),권자영(Kwon, Ja Young),최명민(Choi, Myung Mi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4

        본 연구는 장애인 인권 차원에서 진행된 대규모생활시설에서 소규모생활시설로의 전환이 지적장애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해 최근 주거환경의 변화를 경험한 한 시설을 선정하여 기관 종사자와 거주장애인을 대상으로 개별인터뷰와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고 기관방문 및 관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규모생활시설에서 거주장애인의 삶이 “관리되는 시설생활”이었다면 소규모거주시설로 이주 후의 삶은 “함께 살아가는 가정생활”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주거환경의 변화를 통해 거주장애인은 개인공간의 소유를 통한 사생활 보호, 일상생활에 대한 자발성 증진, 개별 돌봄으로 인한 정서적 안정, ‘우리집’에 대한 소속감 강화 및 이타적 상호작용 향상 등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물리적 환경의 변화 뿐 아니라 이로 인한 종사자와 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 질의 변화에서 비롯되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가 갖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살펴보고 소규모시설 전환에 관한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to explore how the change from large scale to small scale residential facilities, a decision based on human rights considerations, affect the live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a facility that recently experienced conversion was selected, individual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ts staff and resident disabled,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facility visits and observations, which were analyzed wi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lives of resident disabled in large scale residential facilities, previously “managed,” transformed into “living together in family life“ after moving into a small scale residential home. Thus, this change in residential environment allow resident disabled to experience privacy by owning individual space, enhancement of voluntarism in daily life, emotional stability due to individual care, strengthening of membership to “our home,” and improvement of altruistic interactions. Also, these changes arise from not only a change in physical environment but also from the transformation of the staff and the quality of their servic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considered and recommendations were made related to conversion to small scale residential homes.

      • KCI등재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어머니가 경험한 가족생활 내러티브탐구 -폭풍우가 휩쓸고 간 숲 드러난 뿌리로 부둥켜안으며 지켜오다-

        박향경 ( Hyang Kyung Park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가족복지학 Vol.52 No.-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가족생활을 중심으로 가족구성원들과의 경험을 탐색하고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탐구로 수행되었으며, 자료수집은 남편, 다른 자녀들과 생활하며 20년 이상 정신장애인 자녀를 돌봐온 어머니와의 심층인터뷰, 관찰, 연구일지 등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참여자들이 경험한 가족생활의 의미는 “ 폭풍우가 휩쓸고 간 숲, 드러난 뿌리로 부둥켜안으며 지켜오다 ” 로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정신장애인과 함께 생활하는 가족의 삶을 지원하고 보호하기 위한 돌봄제공자 친화적인 정신보건정책의 필요성과 정신장애의 만성화 과정에 따른 가족지원서비스의 다양화 등 사회복지 정책과 실천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in depth and undertand what experiences a mother of an adult-child with mental disorder has gone through and how their lives have ever been changed for 20 years in the flow of time and space since the outbreak of a child``s mental illnes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he narrative inquiry of Clandinin and Connelly(2000). The meaning of living family experiences derived from narratives of participants was "a forest swept by the storm is keeping and embracing with exposed roots". This study suggests practice and policy strategies that help the families who living with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

      • KCI등재

        인터넷 토론방 댓글에 나타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 대한 대중의 인식

        박향경(Park Hyang-Kyung),정익중(Chung Ick-Jo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1

        본 연구는 최근 발생한 일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복지지원금 횡령사건과 관련하여 인터넷 토론방에서 논의된 댓글 내용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댓글분석 결과, 토론방 댓글 참여자들은 우리나라 공공복지 최일선에서 공무원과 사회복지사라는 이중적 역할을 수행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사회복지제도를 비롯하여 공무원제도의 희생자라고 인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사회복지사는 공공영역에서도 여전히 전문직이라기보다는 개인의 희생과 헌신을 앞세운 도덕성이 강조되는 봉사직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인식 개선을 위해 필요한 사회복지계의 노력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함의가 논의되었다. Recently, there were some welfare embezzlement cases of public social work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ublic perceptions of public social workers by analysing the comments named "datgeul" in the internet media discussion rooms("toronbang") about welfare embezzlement cases of public social work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main discourse about public social workers to perform a dual role as the public servants and social workers on the front line of public social welfare is that they are the victims of both a public official system and welfare administration system. In addition, social workers in public sphere are still recognized as service personnels with sacrifice and commitment rather than as professional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to improve public perceptions of social welfare professionals.

      • KCI등재

        사회복지사가 경험한 노인클라이언트의 죽음

        박향경(Park, Hyang Kyung),권자영(Kwon, Ja You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7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5 No.4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실천을 하는 사회복지사의 노인클라이언트의 죽음과 그 이후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로서 사회복지사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살이나 사고사가 아닌 노인클라이언트의 죽음을 경험한 7명의 사회복지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클라이언트 생존 당시 사회복지사와의 관계, 클라이언트 죽음 이후 심리적ㆍ정서적 경험, 클라이언트 죽음과 그 이후 기관의 지원 경험, 클라이언트 죽음 이후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의 변화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노인클라이언트의 죽음을 경험한 사회복지사는 슬픔, 상실감, 죄책감 등 심리적ㆍ정서적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 과정에서 업무환경에서의 공감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경험하였다. 또한 노인클라이언트의 죽음을 통해 그간의 사회복지실천을 성찰, 노년기의 특성을 반영한 실천을 하게 되었고 삶과 죽음에 대한 이해가 넓어지는 경험을 하였다. 그러나 기관환경에서 충분히 공감을 받지 못한 경우 실천과정에서 클라이언트와 조직에 냉담해지는 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노인클라이언트의 죽음이라는 위기상황을 경험한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실천현장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depth by the phenomenological study who lost their elderly clients because of death. For the study purpose, the elderly who died of suicides and accidents were excluded. We selected 7 social workers as research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deaths of elderly clients. The main research questions were explored by differentiating before and after client’s death. Before clients death, the main question was related with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and clients. After clients death, we investigated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experiences of the workers, agency’s posthumous support, changes in the social worker’s practices and so on. As a result, the social workers who experienced elderly client’s death underwen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such as sadness, sense of loss and guilt, further realized the importance empathic approach in the working environment. Also, it is found that the workers who lost their clients due to death ten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carrying out practice with consideration of the traits of old age and gain a broader understanding of life and death. However, workers who did not receive sufficient support from the agency tend to experience burn out and indifference toward the organization.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social workers who experienced the crisis because of elderly client’s death.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