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산모사 프로그램을 이용한 은나노함유 촉진수송막의 프로필렌/프로판 분리특성 예측

        박채영,한상훈,김정훈,이용택,Park, Chae Young,Han, Sang Hoon,Kim, Jeong Hoon,Lee, Yongtaek 한국막학회 2014 멤브레인 Vol.24 No.5

        This study is aimed to separate propylene and propane using membrane process instead of NCC(Naphtha Cracking Center) $C_3$ splitter. Membrane process is a low energy consumption and eco-friendly process while $C_3$ splitter requires high energy consumption in petrochemical processes. In this study, high performance facilitated transport membrane (FTM) is used for propylene/propane separation. FTM module was prepared on top of porous polyetherimide hollow fiber using PVP/$AgBF_4$/TCNQ. We developed simulation program predicting the membrane separation properties under operation conditions. Separation properties of FTM module for propylene and propane were obtained from the simulation program based on the pure gas permeation data.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predicted that an one-stage membrane process provides 99.5% of propylene at permeate side from a binary gas mixture of 95/5 vol% $C_3H_6$ / vol% $C_3H_8$ supplied as a feed gas. 본 연구에서는 석유화학공정 중에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NCC(Naphtha Cracking Center) $C_3$ splitter를 대신하여 에너지 소비가 적고 친환경 공정인 막분리법을 이용하여 프로필렌/프로판의 분리특성을 예측하고자 한다. 막소재로는 프로필렌/프로판 분리에 대하여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잘 알려진 촉진수송막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촉진수송막은 한양대학교에서 제조한 은나노입자가 함유된 VP/$AgBF_4$/TCNQ 용액을 에어레인에서 다공성 폴리이서이미드 중공사에 얇게 코팅하여 소형 중공사 막모듈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촉진수송막 모듈의 투과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프로필렌과 프로판에 대한 단일기체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분리막의 투과현상을 예측하기 위하여 전산모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전산모사 프로그램에 단일기체 테스트를 통해 얻어진 투과도와 선택도를 이용하여 95/5 vol% $C_3H_6$ / vol% $C_3H_8$ 혼합가스를 공급하였을 경우, 공급측 및 투과측 압력 변화에 따른 투과측 프로필렌의 농도가 99.5 vol%를 유지하는 단일 분리막 공정을 설계하였다.

      • KCI등재

        초·중·고등학생의 화장품 사용 및 화장행위 실태에 관한 연구

        박채영(Chae Young Park),박정연(Jeong Yeon Park)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7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8 No.3

        This paper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on the necessity of education related to cosmetics in schools as well as to secure data on the makeup culture among teenagers by identifying the actual usage of cosmetics by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below. For basic care products used by students, ‘lotion’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io at 79.7%. The ratio of students using makeup products wa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who did not use makeup products. The reason for using makeup ‘For looking more beautiful’ showed the highest ratio, 45.9%, and the reason for not using makeup as ‘Because it’s tiresome’ had the highest ratio, 18.6%. The grade of starting makeup use was ‘from elementary school’, which response showed the highest ratio of 52% among the respondents using makeup. The frequency of makeup use was once or twice a week (37%), the highest ratio among frequency responses. The situations for makeup were ‘All the time’ (30.6%), the highest ratio in the situations for makeup use. Furthermore, the makeup products showing the highest ratio were ‘BB and CC Cream’ (46.8%) for facial expression, ‘Tint’ (70.6%) for lips and ‘Eyeliner’ (58.1%) for eyes.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results, the age of starting makeup use significantly dropped as the age for makeup was expand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pplication of cosmetic products included makeup for skin, lips and eyes as well as basic care products such as toner and lotion. In conclusion, it is estimated that the number of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using makeup products will continue to increas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educational programs on makeup to build the appropriate awareness of it and to more extensively investigate issues related to makeup.

      • KCI등재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피부미용샵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 연구 - 위생요인을 중심으로 -

        박채영(Chae-Young Park)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7

        본 연구는 피부미용샵의 양적 확대와 병행하여 고객의 기대와 요구에 부응하는 질적 수준을 함께 향상시켜야 할 필요성이 절실한 현 시점에서 고객이 어떤 요인에 근거하여 피부미용샵을 선택하고, 어떤 속성을 고려하는지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해 고객이 요구하는 중요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피부미용샵 서비스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광주·전남지역의 20대 이상인 2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피부미용샵 선택 요인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차이를 토대로 피부미용샵 선택 요인의 항목별로 각 하위요인에 대한 중요도가 어느 정도이고, 이에 부응한 만족도는 어느 정도 되는지 그 현상을 파악하고자 IPA 격자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유지강화의 1사분면에 해당하는 항목은‘도구 및 제품의 위생관리’로 분석되었으며, 지속유지의 2사분면에 해당하는 항목은‘기본현황(법적 준수사항)’으로 분석되었고, 점진 개선의 3사분면에 해당하는 항목은‘종사자의 위생관리’와‘피부미용샵 내부 위생관리’,‘종사자의 전문성과 기술)’,‘서비스의 질’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함으로써 피부미용샵의 효율적 운영에 근거를 삼고자 하며 더 나아가서는 피부미용 산업의 양적·질적 저변 확대를 기대해본다.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important factors required by customers through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f how they choose skin care shops on the basis of certain factors and attributes at this time when there is an urgent need to improve the level of quality that meets their expectations and demands in combination with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skin care shop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217 people over the age of 20 in Gwangju and Jeonnam area with experience in using skin care shop services. The SPSS v. 21.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PA grid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importance-satisfaction of sub-factors for skin care shop choice showed that the items corresponding to the upper-left side of maintenance and strengthening, the upper-right side of stainability, and the lower-left side of gradual improvement were the‘sanitary control of tools and products’,‘basic situation(legal compliance)’, and‘workers’sanitary control’,‘internal control of skin care shops’,‘professionalism and skills of workers’and‘quality of services’, respectively.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based on the efficient operation of skin care shops, and further more the utilization of them is expected to expan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base of the skin care industry.

      • KCI등재

        스킨헬스케어를 위한 미용 왁싱 이용 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박채영(Chae-Young Park),박정연(Jeong-Yeon Park),유정(Jeong Yu)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8

        본 연구는 미용 왁싱 이용 실태 및 인식을 조사하여, 미용 왁싱 산업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전남지역의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은 20대가 가장 많았고, 결혼여부는 기혼, 직업은 전문직이 가장 높았으며, 월 평균 소득은 200만원 미만, 최종학력은 고졸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왁싱 시술에 대한 인식과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는 직접 경험해 본 제모법은 면도와 왁싱이 높게 나타났고, 왁싱에 대한 인지 경로는 지인, 왁싱을 시술받는 것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는 왁싱 시술을 하면 위생적이고, 깔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위생, 건강)이 높게 나타났다. 왁싱 시술 장소는 미용 전문샵(네일, 피부, 헤어 등)이, 왁싱 시술 이유는 피부 위생에 효과적이기 때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왁싱시술을 주로 하는 부위는 겨드랑이와 팔, 다리이고 시술 빈도는 월 2회, 시술 계절은 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시술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국가경제발전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뷰티산업의 일환으로 미용 왁싱 산업이 동반 성장하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o cosmetic waxing industry by investigating the using and awareness of cosmetic waxing.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30 subjects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s and the collected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ver. 21.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 groups were 20s in age group, married in marital status, professional in occupation, and high school graduation in educational background. For the difference in awareness by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hair removal techniques most experienced by subjects were shaving and waxing and most of them came to know the waxing through acquaintance. Most of them reported positive awareness for experience of waxing and clean hygiene and neatness accounted for most of reason. The most frequently used place for waxing was professional cosmetic shops (nail, skin, and hair) and the most frequent motivation for waxing was effectiveness for skin hygiene. The areas where waxing is mainly performed were armpit, arm, and leg. The most of subjects received the procedure twice a month and in spring. Most of them reported ‘very satisfied’ for the procedure. It is exp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the cosmetic waxing industry as a part of the beauty industry that is attracting attentions as a new growth engine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accomplish growth.

      • KCI등재

        2년제 대학의 피부미용 전공 트랙 교육과정 현황 분석

        박채영(Park, Chae Young),박정연(Park, Jeong Ye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3

        2년제 대학에서의 미용교육은 학문적 차원의 전문화와 더불어 양적인 팽창기를 맞고 있으며, 이에 따른 수요도 해마다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2년제 대학 미용관련학과의 교육과정에 대한 심층적 분석과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각 대학의 특성화에 따라서 크게 피부미용, 헤어미용, 네일미용, 메이크업 4분야의 모듈로 세분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피부미용은 의료, 관광, 향장 등 다양한 직군으로의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융합학문으로 ‘미용’이라는 커다란 범주 속에서 피부미용 교과과정이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2년제 대학 미용관련학과의 피부미용 전공 트랙 교육과정 개설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추후 피부미용 교과개발 및 발전 방안 마련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 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미용관련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2년제 대학 중 2014년도와 2015년도의 전체적인 교과목개요(학점, 시수)를 공개해 준 50개 대학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SPSS WIN version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로 처리하였으며, 독립 T검정 및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0개 대학을 대상으로 교과구분(K=159.258, p<0.01), 학년별(t=5.783, p<0.01)로 교과목수에 대한 평균 차이를 알아본 결과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점과 시수에 대한 평균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교과구분별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50개 대학을 대상으로 자격증 관련교과목에 대한 학년, 학기별로 교과목수, 학점, 시수에 대한 평균 차이를 알아본 결과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2년제 대학 미용관련학과 교육과정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beauty education in 2-year colleges is in quantitative expansion along with academic specialization, and demand for this is rapidly increasing every year. At this point, the curriculum of beauty department in 2-year colleges will need in-depth analysis and systematic research. It is being subdivided into 4 modules such as esthetic, hair beauty, nail care and makeup according to characterization of each college. The esthetic is an integrated study, which has a huge potential to develop into a variety of occupational groups such as medical treatment, tourism and cosmetics. The esthetic curriculum is likely to be independently constructed in a big category of beauty.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current curriculum of esthetic education major tracks in 2-year colleges, and provide basic data to come up with plans for further development of esthetic curriculum.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50 2-year colleges, which revealed the 2014 and 2015 overview(credit, time number) of subjects. The SPSS WIN version 21.0 was used to process the collected data by computer, and conduct the independent t-test and ANOVA.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 difference of curriculum division (K=159.258, p<0.01) and subject number(t=5.783, p<0.01) in 50 2-year college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items. For the mean difference of credit and time numb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only curriculum division. Second, the mean difference of grade for license-related subjects, subject number by school term, credit and time number in 50 2-year college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items. Based on the findings stated above, this study put forward plans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s in the department of beauty arts at 2-year colleges.

      • 농산물 중 Bensultap 및 Cartap, Thiocyclam, Thiosultap 시험법 개발

        박채영 ( Chae Young Park ),이정미 ( Jung Mi Lee ),이수정 ( Su Jung Lee ),구선영 ( Sun Young Gu ),장귀현 ( Gui-hyun Jang ),김현경 ( Hyun-kyung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3 No.0

        벤설탑 및 카탑, 티오사이클람, 티오설탑은 네레이스톡신의 분자구조로부터 유도된 살충제로 약제 살포 후 생체 및 환경 중에서 네레이스톡신으로 신속하게 전환된다. 네레이스톡신은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결합하여 종판막(end-plate membrane)을 통한 Na<sup>+</sup>과 K<sup>+</sup>의 전도를 억제하고 곤충이 중추신경계에 마비를 일으킴으로써 살충력을 나타낸다. 국내에서는 벤설탑, 카탑, 티오사이 클람의 잔류물의 정의를 네레이스톡신으로 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감자 등 55개 농산물에 대하여 0.05~10 mg/kg으로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다. 현재 식품공전에 네레이스톡신을 분석하기 위한 시험법이 있으나, pH조절 및 액-액분배의 반복으로 실험과정이 복잡하고 추출·농축에 시간이 오래 소요되어 시험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벤설탑 및 카탑, 티오사이클람, 티오설탑을 2% 시스테인 용액으로 추출한 후 3% 염화니켈 용액과 28% 암모니아수를 이용하여 네레이스톡신으로 전환시키고 아세토니트릴로 액-액분배하였다. 정제방법으로는 d-SPE(dispersive solid phase extract)을 이용하였으며, 정밀한 분석을 위하여 LC-MS/M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마련된 시험법은 전처리 시간을 4시간에서 1.5시간으로 단축하였으며, 정량한계를 0.03 mg/kg에서 0.01 mg/kg으로 낮춰 PLS (Positive List System) 조건을 만족하도록 개선되었다. 대표 농산물 5종(현미, 감자, 대두, 감귤, 고추)에 대하여 정량한계, 정량한계 10배, 정량한계 50배 수준으로 처리하여 회수율 실험을 한 결과 평균 회수율은(n=5) 85.5~104.8%, 상대표준편차(RSD)는 8.7% 이하로 나타났으며, 결정계수(R<sup>2</sup>)는 모두 0.99 이상으로 우수하였다. 본 시험법은 국제식품규격위원회 가이드라인의 잔류농약 분석 기준 및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식품등 시험법 마련 표준절차에 관한 가이드라인(2016)’에 적합하였으며, 향후 식품공전 개정을 거쳐 공정시험법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 KCI등재

        보그 코리아(Vogue Korea) 잡지 모델의 눈썹 형태와 길이가 패션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박채영(Park, Chae Young),김은실(Kim, Eun Sil)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각 연도별 보그 코리아 표지 모델의 눈썹 형태와 분위기를 분석하여, 어떠한 조화를 이루고 있는지 파악함으로써, 향후 눈썹 메이크업 시 눈썹 형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사진자료는 매년 12회 발행되는 보그 코리아(Vogue Korea) 표지 디자인 72장의 작품 중 눈썹 형태를 정확히 볼 수 있는 48장을 1차적으로 추출한 후 메이크업 박사학위 이상의 전문가 3인이 함께 선별하여 2차적으로 패션 스타일과 눈썹을 분석할 수 있는 30장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잡지 사진의 자료수집 발행 기간은 2010년부터 2015년까지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먼저 잡지 모델의 패션스타일을 파악하여 패션이미지를 분석하고, 눈썹의 형태와 길이를 분석하여 눈썹이 주는 분위기와 패션이미지의 분위기의 유기적인 관련성을 살펴보고 유사조화 관계를 이루는지, 혹은 대비조화 관계를 이루는지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1년도부터 2013년까지 유사, 대비, 유사조화를 이루며 전체적인 분위기에 따른 눈썹형태가 대비나 유사조화로서 표현되었고, 2010, 2014, 2015년도에는 유사와 대비조화가 혼합되어 표현되기도 하였다. 또한 엘레강스하고 로맨틱, 페미닌한 여성적인 분위기에서 무조건 곡선적이고 여성스러운 긴 눈썹을 사용할 것이라는 보편적인 예상과는 다르게, 오히려 직선적이고 각진선의 눈썹을 사용하여 상반된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하고, 액티브하고 모던, 댄디, 내추럴한 이미지에는 무조건 직선적이고 각진 눈썹을 사용할 것이라는 보편적인 예상과는 상반되게 오히려 곡선적이고 하향의 긴 눈썹을 사용하는 경우도 보여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of eyebrow shape in future eyebrow make-up by analyzing eyebrow form and mood of each year "s Vogue Korea cover model and understanding what harmony is being achieved. The photographic materials are firstly extracted from 72 pieces of the cover artwork of Vogue Korea, which can be seen 12 times a year, and the eyebrow forms can be accurately seen. We analyzed 30 works that can analyze style and eyebrows. The collection period of magazine photographs was analyzed from 2010 to 2015. The research method first analyzes the fashion style of the magazine model, analyzes the fashion image, analyzes the shape and length of the eyebrows, and examines the organic relation between the mood of the eyebrow and the mood of the fashion image, And to find out if they are harmonious with each oth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eyebrow shape according to the overall mood has been expressed as contrast or similar harmony with similarity, contrast, and harmony compared with 2011 to 2013, and the similarity and contrast harmony are expressed in 2010, 2014 and 2015. Unlike the universal expectation that it will use unconditionally curved and feminine long eyebrows in an elegant, romantic, feminine image, it is also possible to create a contradictory image by using straight and angled eyebrows, and to create an active, modern, In contrast to the universal expectation that natural images will be linear and angular eyebrows unconditionally, it has been shown that rather curved and downward long eyebrows are used.

      • KCI등재

        라이프케어의 피부미용 NCS기반 자격 L3수준의 교육 중요도 연구

        박채영(Chae-Young Park),박정연(Jeong-Yeon Park)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3 No.5

        최근 교육훈련기관과 산업체의 수요에 필요한 지식이 불일치하는 인력 미스매치(miss match)의 현상은 신입 직원의 재교육과 취업을 위한 사교육 비용 증가로 전이되어 결과적으로는 개인의 직무수행 능력 저하와 취업 역량 저조는 물론 국가 차원에서도 경제적, 물질적 낭비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실무에서 바로 활용이 가능하고 산업체에서 추구하는 인재양성을 목표로 국가에서 지정하는 직무 능력의 표준점을 구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시대적 흐름과 맞물려 NCS를 기반 한 자격제도까지 등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기관에서 NCS와 NCS기반 자격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준에 맞춰 학교급별로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NCS기반 자격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준의 전반적인 점검을 위하여 피부미용 분야 NCS기반 자격 중 피부관리 L3 수준의 능력단위와 능력단위 요소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직무 수준별 전문인력 양성에 필요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현장 전문가집단, 교육 전문가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L3수준의 능력단위와 능력단위 요소에 대한 요구분석을 위해 AHP 설문 기법을 실시하였다. 또한 AHP 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과 AHP전용 솔루션인 Expert Choice 2000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현장 전문가집단, 교육 전문가집단의 의견이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전문적인 능력을 갖춘 현장맞춤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변화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육훈련기관과 산업현장의 불일치를 해소해야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해결 방안으로는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인재상과 접목시켜 산업현장의 직무와 교육기관의 표준화된 교육이라 할 수 있다. The recent phenomenon of job “Miss Match”, which is inconsistent with knowledge in the demand of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s and industries, has spread to an increase in private education costs for reeducation and employment of new hires, resulting in weak individual job competency and poor employment capability, as well as economic and material waste at the national level. To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which are available immediately in practice and look for a standard point of national job competency with the aim of fostering human resources sought by industries, were developed, and even the NCS-based qualification system was launched in line with the stream of times.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competency units and competency unit elements at the NCS-based qualification L3 level in the skin care field for an overall check of the NCS-based qualification level at a time when educational institutes are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school curriculums according to the NCS and NCS-based qualification level. And it is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in foster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required by industries. To analyze the needs for competency units and competency unit elements at the L3 level, a survey using AHP method was carried out to a group of field experts and a group of education experts. In addition,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and Expert Choice 2000, an AHP-only solution was used to do statistical processing through the processes of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of opinion between a group of field experts and a group of education experts. This indicates that the inconsistencies between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s and industrial sites should be resolved at this time of change with the aim of fostering field customized human resources with professional skills. Consequently, the solution is to combine jobs at industrial sites and standardized educations of educational institutes with human resources required at industrial si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