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oposal of speaker change detection system considering speaker overlap

        박지수,윤영선,차신,박전규,Park, Jisu,Yun, Young-Sun,Cha, Shin,Park, Jeon Gue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2021 韓國音響學會誌 Vol.40 No.5

        Speaker Change Detection (SCD) refers to finding the moment when the main speaker changes from one person to the next in a speech conversation. In speaker change detection, difficulties arise due to overlapping speakers, inaccuracy in the information labeling, and data imbalance. To solve these problems, TIMIT corpus widely used in speech recognition have been concatenated artificially to obtain a sufficient amount of training data, and the detection of changing speaker has performed after identifying overlapping speaker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speaker change detection system that considers the speaker overlapping. We evaluated and verified the performance using various approaches. As a result, a detection system similar to the X-Vector structure was proposed to remove the speaker overlapping region, while the Bi-LSTM method was selected to model the speaker change syste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a relative performance improvement of 4.6 % and 13.8 %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baseline system. Additionally, we determined that a robust speaker change detection system can be built by conducting related studies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taking into consideration text and speaker information.

      • KCI등재

        개선된 단일상 합성법을 이용한 티올화 나노 금의 합성 및 확인

        박지수,김유혁,Park, Jisu,Kim, Youhyuk 대한화학회 2017 대한화학회지 Vol.61 No.4

        앞선 연구에서 TP(Thiolate-Protected)-나노은의 합성 시 초기에 형성되는 티올화 은 층간화합물의 형성을 막기 위하여 에탄올에 녹아있는 $NaBH_4$와 티올에 $AgNO_3$를 첨가하는 개선된 단일상 합성법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합성법을 보다 일반화하기 위하여 TP-나노금과 나노백금의 합성에 적용하였다. 합성된 생성물의 나노크기, 형상 및 금속에 부착된 티올의 배열은 UV-vis. 스펙트럼,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 X-선 회절 패턴 및 적외선 분광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규명 하였다. TP-나노금과 나노백금은 구형 및 타원형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입자크기는 각각 약 3~7 nm와 약 2 nm 이하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TP-나노금의 표면을 감싸는 옥탄티올 음이온의 메틸렌 사슬 [$-(CH_2)_7-$]의 메틸렌 배향은 trans임을 보여주고 있다. One-phase method to prevent the initial formation of Ag(I) thiolate layered materal from the mixture of $AgNO_3$ and thiols was previously developed to generate TP (Thiolate-Protected)-nanosilver. In this modified method, $AgNO_3$ is added to the mixtures of $NaBH_4$ and thiols in ethanol. This method was so successful that it was applied to synthesize TP-nanogold and nanoplatinum. Th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hese nanoparticles by ultraviolet-visible (UV-vis) absorption spectr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pictures, X-ray powder differaction (XRD) patterns and infrared(IR) spectra are described. The results show that colloidal nanoparticles are spherical or oval shape and the mean sizes for TP-nanogold and nanoplatinum are about 3~7 nm and below 2 nm, respectively. The conformation of polymethylene [$-(CH_2)_7-$] sequence in octanethiolate attached to nanogold was elucidated as trans.

      • KCI등재

        2.2 kW급 유도전동기의 회전자 적층구조를 고려한 회전체 동역학 해석모델 개발 및 베어링 간극의 영향 분석

        박지수(Jisu Park),심규호(Kyuho Sim),이성호(Sung-Ho Lee)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2019 한국윤활학회지(윤활학회지) Vol.35 No.3

        This paper presents the investigation of two types of rotordynamic modeling issues for 2.2 kW-class, rated speed of 1,800 rpm, squirrel-cage type induction motors. These issues include the lamination structure of rotor cores, and the radial clearance of ball bearings that support the shaft of the motor. Firstly, we focus on identifying the effects of rotor core lamination on the rotordynamic analysis via a 2D prediction model. The influence of lamination is considered as the change in the elastic modulus of the rotor core, which is determined by a modification factor ranging from 0 to 1.0.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unbalanced response of the rotor-bearing system significantly varies depending on the value of the modification factor. Through modal testing of the system, the modification factor of 0.079 is proven to be appropriate to consider the effects of lamination. Next, we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all bearing clearance on the rotordynamic analysis by establishing a bearing analysis model based on Hertz"s contact theory.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negative clearance greatly changes the bearing static behavior. Rotordynamic analysis using predicted bearing stiffness with various clearances from -0.005 mm to 0.010 mm reveals that variations in clearance result in a slight difference in the displacement of the system up to 18.18. Thus, considering lamination in rotordynamic analysis is necessary as it can cause serious analysis errors in unbalanced response. However, considering the effect of the bearing clearance is optional because of its relatively weak impact.

      • KCI등재

        뉴로모픽 아키텍처 기반 자율형 IoT 응용 통합개발환경 응용 시나리오

        박지수(Jisu Park),김서연(Seoyeon Kim),김회남(Hoinam Kim),정재혁(Jaehyeok Jeong),김경수(Kyeongsoo Kim),정진만(Jinman Jung),윤영선(Young-Sun Yun)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2 스마트미디어저널 Vol.11 No.2

        다양한 IoT 디바이스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IoT 플랫폼의 중요성 또한 대두되고 있다. 최근에는 IoT 디바이스에 인공지능 기술이 결합되는 추세이며, 저전력으로 많은 연산 처리가 가능한 뉴로모픽 아키텍처를 적용하는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GUI 형식의 뉴로모픽 아키텍처 기반 자율형 IoT 응용 통합개발환경(NA-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for Autonomic IoT Applications based on Neuromorphic Architecture)에서 IoT 디바이스와 뉴로모픽 아키텍처 FPGA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NA-IDE의 가능성 및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IoT 응용 시나리오를 제안한다. 제안된 시나리오는 IoT 디바이스에 카메라 모듈을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MNIST 데이터셋 이미지를 수집하여 뉴로모픽 보드를 통해 수집된 이미지를 인식하고 다른 IoT 디바이스에 연결된 센서 모듈을 통해 인식 결과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이기종 IoT 디바이스에 뉴로모픽 아키텍처를 적용하여 다양한 응용 서비스에 활용한다면 뉴로모픽 아키텍처 기반 자율형 IoT 응용 통합개발환경은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핵심 기술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한다. As the use of various IoT devices increases, the importance of IoT platforms is also rising. Recentl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being combined with IoT devices, and research applying a neuromorphic architecture to IoT devices with low power is also increasing. In this paper, an application scenario is proposed based on NA-IDE (Neuromorphic Architecture-based autonomous IoT applicatio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with IoT devices and FPGA devices in a GUI format. The proposed scenario connects a camera module to an IoT device, collects MNIST dataset images online, recognizes the collected images through a neuromorphic board, and displays the recognition results through a device module connected to other IoT devices. If the neuromorphic architecture is applied to many IoT devices and used for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the autonomous IoT applicatio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based on the neuromorphic architecture is expected to emerge as a core technology lead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리퀴드폴리탄 시대의 지역화교육 방향 탐색

        박지수(Jisu Park)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4 사회과수업연구 Vol.12 No.1

        오늘날 도시는 고정되지 않고 액체처럼 유동적으로 움직인다 하여 리퀴드폴리탄이라는 용어가 등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리퀴드폴리탄 시대의 특징을 파악하고 지역화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리퀴드폴리탄과 이 시대에 주목해야 할 관계인구에 대한 이론적 개념을 사회과교육의 측면에서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부산광역시와 강원특별차지도를 사례 지역으로 선정하여 인구 이동 빅데이터와 온라인 포털 사이트의 텍스트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한 후, 리퀴드폴리탄 시대에 강점을 갖는 지역이 어떤 특징을 갖는지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지역화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사회과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강원특별자치도의 경우 방문하는 목적이 지역성을 드러내는 시설의 비중이 높으나, 부산광역시의 경우 백화점과 같은 상업시설을 목적으로 방문하는 경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성을 나타내는 시설의 이용 비중이 높다는 것은 그 지역에 관심을 갖고 활동하는 방문자, 다시 말해 관계인구으로의 확산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리퀴드폴리탄 시대의 지역화교육은 인간이 만든 도시 그리고 인간의 사유에 의해 구분되는 지역이 하나의 정체성이 아닌 다양한 측면과 성격을 가진 복합적인 특징이 있다는 사실에서 출발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글로컬 지역의 정체성 함양과 지역화 역동성을 강조한 다중스케일의 네트워크적 영역성을 갖는 지역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앞으로 지역화교육이 올바른 방향을 갖고 이루어진다면 다가올 새로운 시대에 대비하고 시대적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times, cities have been depicted as fluid entities, constantly in flux rather than static. This concept has given rise to the term ‘Liquidpolitan’. This study seeks to comprehend the essence of the Liquidpolitan era and to explore the evolving direction of regional education. To this end, the theoretical concepts of Liquidpolitan and relational populations, which are noteworthy in this era, were first organiz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studies education. Next, Busan Metropolitan City and Gangwo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ere selected as case regions. Big data on population movement and text data from online portal sit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s with strengths in the Liquidpolitan era.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big data analysis, directions for regional education centered on social studies were presented.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in Gangwo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acilities that highlight regional characteristics have a high proportion of visits, whereas in Busan Metropolitan City, visits to commercial facilities such as department stores are more frequent. In other words, the high utilization rate of facilities that highlight regional characteristics suggests a higher likelihood of attracting visitors who are interested in and engage with the region, indicating the potential for expansion into a relational population. In conclusion, regional education in the Liquidpolitan era should start from the fact that cities created by humans and regions defined by human thoughts possess complex characteristics with various aspects and identities, rather than a single identity. To achieve this, regional education should emphasize the cultivation of glocal regional identity and dynamic region with multi-scale networked territoriality. If regional education proceeds in the right direction, it will be possible to nurture talents who can flexibly respond to the upcoming new era and adapt to its changes.

      • KCI등재

        사회과교육에서의 드론기반 3차원 맵핑의 활용 방안

        박지수(Park, Jisu)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교육 Vol.6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트윈 기술을 구현한 드론기반 3차원 맵핑을 사회과교육에 적용하고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첫째, 드론기반 3차원 맵핑에 대한 이론적 내용과 절차를 정리하였다. 둘째, 실제 지역을 대상으로 드론기반 3차원 맵핑을 실시하였다. 셋째, 사회과교육에서의 드론기반 3차원 맵핑에 대한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다양한 고도와 각도에서 드론이 촬영한 사진으로 구현하는 3차원 맵핑은 기존의 지도에서 높낮이를 확인하기 힘들었던 건물과 같은 지형지물을 정확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로 인해 드론기반 3차원 맵핑 모형은 다양한 높낮이의 건물들로 이루어진 도시경관을 재현하여 기존의 지리교육에서 사용하던 지리사진이나 지도에 비해 높은 해상도와 실제 질감을 구현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드론기반 3차원 맵핑은 제작하는 과정에 대한 경험은 교사에게 해당 지역을 분석하고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계기가 되고, 야외활동이 제한된 학생에게 현실적인 학습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지도학습과 지역화학습뿐만 아니라, 시각화 자료의 활용성이 높은 사회과교육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drone-based 3D mapping to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to find specific ways to use it. Goals are as follows. First, theoretical contents and procedures for drone-based 3D mapping were summarized. Second, a drone-based 3D mapping was performed on an actual area. Third, we explored specific application plans for drone-based 3D mapping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ccording to results of the study, 3D mapping implemented with pictures taken by drones at various altitudes and angles made it possible to accurately implement topographical features such as buildings, which were difficult to check heights on existing maps. As a result, the drone-based 3D mapping model was able to reproduce the urban landscape made up of buildings of various heights, realizing higher resolution and real texture compared to geography photos and maps used in existing geography education. As a result, the experience of the drone-based 3D mapping proposed in this study can provide teachers with an opportunity to analyze an area with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area. It also provide realistic learning materials to students with limited outdoor activitie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ring about a big change in social studies education where the use of visualization materials and the importance of regionalized learning are hig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