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반도 서남부 지역에 서식하는 섬휘파람새(Cettia diphone cantans) 번식기 울음소리 연구

        김성진(Sung-Jin Kim),박종길(Jong-Gil Park),홍길표(Gil-Pyo Hong),채희영(Hee-Young Chae) 한국조류학회II 2008 한국조류학회지 Vol.15 No.2

        포획조사를 실시하여 동정된 개체를 대상으로 섬휘파람새(Cettia diphone cantans)의 번식기 울음소리를 녹음하였으며 다도해(홍도), 월출산(춘양리, 도갑사, 금릉경포대)으로부터 총 8개체 240 song을 녹음 분석하였다. 조사지역별 번식기 울음소리의 동질성 검사를 통해 통일 집단 여부 분석결과 다도해(홍도 n=3; 72 song)와 월출산(춘양리 n=3; 80 song, 도갑사 n=1; 68 song, 금릉경포대 n=1; 20 song)에서 모든 조사지역의 개체들이 동일 집단을 형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 장소에서 녹음한 다도해 홍도 3 개체와 월출산 춘양리 3 개체만이 각각 동일 집단을 형성하였다. 번식기 울음소리의 유형은 다도해(홍도) 5 개, 월출산(춘양리) 5 개, 월출산(도갑사) 4 개, 월출산(금릉경포대) 4 개로 나타났다. 홍도와 춘양리 두 집단의 각각의 상관분석 결과 NNWP와 NNSP, COM이 강한 음의 상관관계(홍도 R=-0.97, 춘양리 R=-0.95)를 나타내었으며, NNSP와 COM이 일치하는 것(두 집단 모두 R=1.00)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녹음한 섬휘파람새 번식기 울음소리의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녹음한 섬휘파람새 전체의 번식기 울음소리는 일관되게 A, B 유형의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번식기 울음소리의 두 가지 유형을 T 검정 결과 NNWP, MIWP, DWP, NNSP, MASP, DSP, COM 요인에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번식기 울음소리 유형의 조사지역별 및 각 집단 간의 차이는 동종 개체군간의 경쟁 및 번식 전략의 선택과 같은 생태학적 요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번식기 울음소리 발달상의 변이에 의해 개체별 변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Communicative interaction are the essence of all animal societies, so it is appropriate to examine communication as a way to gain insight into social structure and thereby generate hypotheses about genetic structure. It is worth pointing out a suggestive pattern in the class Aves, with respect to the approach to genetic population structure by study of vocal communication. Last study of Japanese Bush Warbler Cettia diphone overlooked for distribution and song structure between subspecies. This study is Japanese Bush Warbler Cettia diphone cantans distribution and song structure of the population in South-West Korea. Population distribution researched by banding. Identified Japanese Bush Warbler Cettia diphone cantans record total 8 individuals 240 songs in Hong island, Dadohae National Park and Chunyang-ri; Dogap temple; Kumneung Kyungpo post, Wolchulsan National Park. song homogenity (MANOVA) analyzed each study area. Only the individual which records from identical place formed identical group. Each study site has 5 song types in Hong island and Chunyang-ri, 4 song types in Dogap temple and Kumneung Kyungpo post. But analyzed of all Japanese Bush Warbler Cettia diphone cantans song divided A or B type with parameters (NNWP, NNSP, and COM). Paired t-test against A or B type of song differed from most parameter significant (P<0.01). We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Hong Is. and Cunyang-ri in sample size, each region was related to negative correlation (Hong Is.: R=-97, Chunyang-ri: R=-95; P<0.01). Moreover, we analyzed NNSP and COM which are accord with correlation (R=1.00). Difference of each study site of song type are thought to intra-species male-male competition and selection of breeding strategy. In addition, repertoire size difference in each site are thought to received the effect of the variation of song development and cultural mutation. Variable variation, that even only affected to song type and repertoire size, and so Japanese Bush Warbler Cettia diphone cantans song study have to much investigation.

      • KCI등재

        설악산국립공원 멸종위기 산양(Naemorhedus caudatus) 개체군 크기와 서식지 이용 현황

        조재운 ( Chea Un Cho ),김규철 ( Kyu Cheol Kim ),권구희 ( Gu Hui Kwon ),김기윤 ( Ki Yoon Kim ),이배근 ( Bae Keun Lee ),송병철 ( Bung Cheol Song ),박종길 ( Jong Gil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5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산양과 서식지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산양의 분변 및 카메라 트랩을 이용한 개체수와 서식지 이용 분석을 2010~2014년 동안 수행하였으며 생태학적 조사 방법(흔적조사, 카메라트 랩조사)을 사용하였다. 분변 조사와 카메라트랩핑 분석 결과 각각 166개체 및 251개체의 산양이 설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흔적조사(분변)를 통한 서식지 이용 특성 분석에서 산양은 경사도 35°~60°, 고도 600~700m, 향 북동, 수계와의 거리 0~50m, 도로와의 거리 300~600m, 활엽수림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메라트랩 조사를 통한 산양 개체군 구성, 주간(07-18시)이 56.5%, 야간(18-07시)이 43.5%로 산양의 활동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산양의 개체수와 서식지 이용 특성 분석은 향후 그들이 살아가는 서식지의 보전과 서식지의 관리를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vestigate population size and habitat use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endangered long-tailed goral in the Seoraksan National Park using feces and camera trap during 2010 to 2014 (track survey, camera trap). As a result of feces tracking and camera trap, its population size was estimated as 160 (camera trap)~251 (feces) individuals in the Seoraksan National Park. The goral prefer 35°~60° (slope), 600~700m (elevation), NE (aspect), 0~50m (distance to stream), 300~600m (distance to road) and bread-leaved forest (forest type) according to field tracking of fecal. Based on field camera trap, we estimated the age classes of goral populations and activity of gorals during day-time (07-18 time, 56.5%) and night-time (18-07 time, 43.5%). Such analyses of population size and habitat use of the goral could be applied as important fundamental data for conservation of gorals and management of their habitats.

      • KCI등재

        한국 예비군의 해외파병 필요성과 가능성

        박종길(Park, Jong gil)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0 한국군사학논집 Vol.76 No.2

        The article discusses the necessity and feasibility of deploying Reserved Forces to respond to the dynamically changing environment,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ROK’s standing army-centric deployment system is limited in adhering to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hanges, and considering that the ROK Armed Forces will restructure its task organization primarily based on combat in regard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force-intensive foreign deployment appears to be limited in effect. Accordingly, a new perspective and approach based on a new paradigm is necessary. Therefore, this paper illustrates ample reasons to direct a new experiment of Reserved Forces’ foreign deployment as a solution to resolve limitations of standing army foreign deployment and also respond to environmental changes. The factors correlated with necessity is directly related with foreign deployment, comprising of national defense, national policy and strategy,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hange. The conclusion of this analysis is that Reserved Forces’ foreign deployment is integral to reinforcing national defense posture, strengthening national defense capabilities and contributions to international peace. Regarding the feasibility of Reserved Forces’ foreign deployment, it is analyzed that generally, positive conditions will be formulated to support enactment. However, it is estimated that proactive effort to acquire the sufficient conditions, such as improving of people’perception, strengthening of capabilities, and establishment of legal regulations. Reserved Forces’ foreign deployment, a relatively novel form of military force employment, would pose a difficult challenge and an opportunity at the same time, and will leave a significant mark as a turning point in the pursuit of national defense development and national interest.

      • KCI등재

        되솔새(Phylloscopus tenellipes)와 사할린되솔새(Phylloscopus borealoides)의 분류학적 위치에 관한 연구

        박종길(Jong-Gil Park),정시윤(Si-Yun Jeong),김양모(Yang-Mo Kim),진경순(Kyoung-Soon Jin),남동하(Dong-Ha Nam) 한국조류학회 2021 한국조류학회지 Vol.28 No.2

        되솔새와 사할린되솔새는 번식기 지저귐에서 차이가 뚜렷하지만 형태적으로 구별이 거의 불가능한 솔새과 조류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번식하거나 봄․가을에 이동하는 되솔새와 사할린되솔새 2종을 대상으로 형태적 특징과 계통분류학적 위치를 분석하였다. 되솔새(Phylloscopus tenellipes)는 지리산, 설악산, 소백산을 비롯한 고지대 산림에서 흔하게 번식하는 여름철새로 확인되었으며, 사할린되솔새(P. borealoides)는 봄․가을에 비교적 흔하게 통과하는 나그네새로 확인되었다. 솔새과 내에서 두 종 사이의 유전적 거리는 ND2에서 4.12%, COX1에서 4.25%로 측정되었다. 두 종의 계통분석 결과 ND2 유전자의 경우 대략 203만년, COX1 유전자의 경우 244만년 전에 분기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DNA 정보를 기준으로 두 종의 형태 분류 시 되솔새와 사할린되솔새는 외형적 색깔로 구별이 불가능하였지만 익식의 차이에 근거하여 81.8-96.2% 수준으로 종 구별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 결과 되솔새와 사할린되솔새의 종 동정 시 형태분류와 분자유전학적인 계통분류를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하여야 종 구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wo sibling species of leaf warblers, namely Pale-legged Leaf Warbler (Phylloscopus tenellipes) and Sakhalin Leaf Warbler (P. borealoides), exhibit near-identical morphology; however, their songs are markedly different during the breeding season.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identifying these two species of leaf warbler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NA barcoding. The Pale-legged Leaf Warbler was identified to be a summer visitor that commonly breeds in the highland forests of Jiri, Seora, and Sobaek mountains, while the Sakhalin Leaf Warbler was identified to be a relatively common spring and autumn passage migrant. The estimated interspecific genetic distance among Phylloscopus species was 4.12% based on ND2 and 4.25% based on COX1. The two sibling species of leaf warblers diverged approximately 2.03 (ND2) to 2.44 (COX1) million years ago. Although the plumage color patterns, bare-part colors, and biometrics of Pale-legged and Sakhalin leaf warblers identified as such based on DNA barcodes were near-identical, the species could be distinguished based on the wing formula (81.8–96.2%). Integrated morphological and genetic analyses may provide mor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classification of these two morphologically indistinguishable Phylloscopus species.

      • 꺅도요류의 도래현황과 외형적 특징에 관한 연구

        박종길(Jong-Gil Park),원일재(II-Jae Won),채희영(Hee-Young Chae) 한국조류학회II 2007 한국조류학회지 Vol.14 No.2

        본 조사는 꺅도요류의 도래현황과 종간 외형적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2007년 3월부터 10월까지 대흑산도 북쪽에 위치한 배낭기미습지에서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꺅도요(Gallingo gallinago), 바늘꼬리도요(G. stenura), 꺅도요사촌(G. megala)의 3종 555개체(봄 217개체, 가을 338개체)가 관찰되었으며, 이중 3종 113개체를 포획 조사하였다. 포획 개체의 종 구성은 꺅도요 51개체, 바늘꼬리도요 46개체, 꺅도요사촌 16개체였다. 꺅도요류 3종의 통과시기에 있어서 종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봄철 꺅도요는 3월 13일 처음 모습을 보였으며, 꺅도요사촌은 1개월 후인 4월 12일에, 바늘꼬리도요는 4월 25일에 관찰되었다. 남하시기에는 바늘꼬리도요가 8월 8일 모습을 보이기 시작하였고, 8월 22일에 꺅도요가 그 뒤를 이었으며, 8월 23일에 꺅도요사촌이 도착하였다. 꺅도요사촌과 바늘꼬리도요는 봄·가을 개체수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바늘꼬리도요는 봄 북상시기에 19개체가 통과하였지만 가을 남하시기에는 134개체가 통과하였다. 반대로 각도요사촌은 봄에 56개체가 통과한 반면, 가을에는 8개체가 통과하였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와 달리 꺅도요사촌 수컷은 20장의 꼬리깃을 가지며, 암컷은 18장을 가지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수컷의 꼬리 길이가 암컷보다 뚜렷하게 길어 큰꺅도요-(G. hardwickii)와 거의 같은 길이로 나타났다. 이같은 차이는 꺅도요사촌이 성적 이형이 나타날 수 있음을 보였다. 18장의 꼬리깃을 가지는 꺅도요사촌 암컷은 크기가 수컷보다 크고, 외형적 특성으로 인하여 가락지 부착조사에서 조차도 큰꺅도요와 구별이 매우 어려웠다. 결과적으로 외형적인 특징, 꼬리깃 수만으로 꺅도요사촌과 큰꺅도요의 구별은 불가능하고, 꼬리깃 형태와 측정자료 비교, 분석을 통해서 종 동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큰꺅도요가 포획되지 않아 한반도 서부에서는 희귀하게 통과하거나, 일부 지역에 한하여 통과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국내 큰꺅도요의 분포권, 도래실태, 동정방법에 대한 재조명이 요구된다. Specific differences in timing of migration and morphological difference among four Snipes were monitored at Baenanggimi reed-bed, northern part of Heuksando Island (34˚41' N, 125˚25' E) from early May to late October 2007. We monitored a total of 555 individuals (217 in spring and 338 in autumn) of three snipe species the Common Snipes (Gallingo gallinago), the Pintail Snipes (G. stenura), and the Swinhoe's Snipes (G. megala) and ringed 111 individuals (51 Common, 46 Pintail, and 16 Swinhoe's Snipe) by mist-netting survey. The timing of migr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species. In Spring, the first observation of the Common Snipe was on 13th March, about one month earlier than that of the Swinhoe's and the Pintail Snipes. The Swinhoe's and the Pintail Snipes were seen on 12th April and on 25th April, respectively. In Autumn, the Pintail Snipe was firstly observed on 8th August, the Common Snipe on 22th August and the Swinhoe's Snipe on 23th August. The Common Snipes stayed until early November and then all moved away. The population sizes of the Pintail and the Swinhoe's Snipes were different between spring and autumn migration. In spring the Pintail Snipe were not common, but it was abundant as the Common Snipe in autumn. Conversely, the Swinhoe's Snipe were common in spring and rare in autumn. Generally, the male Swinhoe's Snipe had 20 rectrices and the female had 18. The rectrices of male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those of female, and were almost same length as those of the Latham's Snipe (G. hardwickii). The data from this study we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Prater (1977) and Hayman et al.(1986). We suggest that the Swinhoe's Snipe has sexual dimorphism like the Latham's Snipe. There is reasonable possibility of mis-identification between the Swinhoe's Snipe with 18 rectrices and the Latham's Snipe even in hands. Actually, the identification was very difficult both in fields and hands. So, the patterns of rectrices, numbers of rectrices and measurements data were examined for correct identification in the lab.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Latham's Snipe are probably a very rare passage migrant, at least in western parts of Korea. More intensive surveys on its distribution, status and identification are still needed in fields.

      • 한국 미기록종 북방쇠개개비(Acrocephalus agricola)와 목점박이비둘기(Streptopelia chinensis)에 관한 보고

        박종길(Jong-Gil Park),채희영(Hee-Young Chae) 한국조류학회II 2008 한국조류학회지 Vol.15 No.1

        2004년 4월 8일부터 4월 10일까지 전남 신안군 흑산면 홍도(N 34 41' 07", E 125˚ 11' 33")에서 국내 미기록종인 휘파람새과(Sylviidae)의 북방쇠개개비(Acrocephalus agricola) 1회 여름깃 수컷 1개체를 관찰하였다. 또한 2006년 5월 23일부터 6월 7일까지 홍도에서 비둘기과(Columbidae)의 목점박이비둘기(Streptopelia chinensis) 성조 1개체를 관찰하였다. 위 2종은 한국에 공식적인 기록이 없던 미기록종으로 금번 관찰이 한국 최초의 기록이다. One 1st summer male of Paddyfield Warbler (Acrocephalus agricola) was observed on Hong Island (N 34˚ 41' 07", E 125˚ 11' 33"), Sinan-gun, Jeonnam Province from 8 to 10 April in 2004. An adult Spotted Dove (Streptopelia chinensis) was also observed in Hong Island from 23 May to 7 June in 2006. These two species had not been recorded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