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RISS 인기논문

        강박장애환자의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박제,김수진 한국질적탐구학회 2016 질적탐구 Vol.2 No.1

        본 연구는 강박장애환자의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탐색하기 위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강박장애를 진단 받은 만 20세 이상의 성인이며 교육내용과 질문내용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본 연구의 참여를 동의한 자이다. 자료수집은 G시 소재의 J 정신병원 강박증 클리닉에 참여한 7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2012년 7월부터 2013년 1월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ake(1995)가 제시한 범주합산과 유형 만들기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3개의 유형, 13개의 범주, 49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강박장애환자의 특성을 파악하였고,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환자의 경험을 탐색하였으며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이 강박장애환자의 강박사고 및 강박행동을 감소시킴으로써 그들의 삶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방안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강박장애환자들의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 참여 경험은 강박장애환자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강박장애환자 대상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if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gram for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made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lives of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d to explore their experiences during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July, 2012 to January 2013 throughout in-depth personal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struments. The subjects were 7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participated in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gram at a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clinic in J Mental Hospital, located in G Cit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data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Stake (1995). In conclusion, the experiences of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patterns, 13 categories, 49 meaningful units.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gramme could reduce the obsessive thinking and compulsive behavior of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The study is expected to be the foundation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o understand and help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based o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ir vivid experiences.

      • KCI등재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탄약특허 분석 및 예측

        박제,손창호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2 한국군사학논집 Vol.78 No.1

        Since the recent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n the defense industry has been growing rapidly, and the proportion of defense improvement costs has also been gradually increasing. Without objective analysis of defense industry technology, which invests a huge budget, efficient technology development is difficult and defense budgets can be wasted. In this paper, we tried to efficiently analyze the defense industry through qualitative methods reflecting the subjective opinions of experts and objective and systematic quantitative methods through data analysis,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defense budget. In particular, among the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which are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 patent analysis method of defense industry technology was presented using data mining, and through case studies, not only characteristics between technologies but also vacuum technologies were derived. Among the various defense industry technologies, patents related to ammunition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of analysis from various perspectives are judged to be applicable to the defense industry R&D field in the future.

      • KCI등재

        칸트의 인과성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제철 ( Bak Jechul ) 한국가톨릭철학회 2020 가톨릭철학 Vol.0 No.35

        본 논문에서 필자는 인과성 개념에 대한 흄의 이론을 옹호하고, 이 이론에 대한 칸트의 대안 이론을 비판하고자 한다. 인과성에 대한 흄의 입장은 다음과 같다. 시·공간적으로 인접한 사건 쌍이 계속 반복적으로 패턴을 이루며 발생할 경우, 그 경우 우리는 그러한 사건 쌍이 인과적이라고 추론한다는 것. 인과성에 대한 흄의 이러한 분석을 이해하고 나면, 인과적 사건 쌍과 비인과적 사건 쌍을 구분해 낼 수 있는 기준이 생기게 된다. 그 기준이란 바로 반복적 패턴을 이루는가, 패턴을 이루지 못하는가 하는 것이다. 칸트는 흄이 하고 있는 이러한 작업을 하고 있지 못하다. 그는 인과적 사건 쌍과 비인과적 사건 쌍을 구분해 내지 못한다. 그리고 이 두 사건 쌍을 구분해 내지 못하는 이유는 칸트가 시간적 선ㆍ후에 대한 파악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인과관계가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까마귀가 날고, 배가 떨어어진 사건에 인과법칙을 적용하지 않으면, 어느 사건이 먼저인지를 파악할 수 없다는 것이 칸트의 주장이다. 그런데, 우리가 시간 순서를 정하기 위해 이 두 사건에 인과법칙을 적용하면, 이 두 사건은 인과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까마귀가 난 사건이 원인이 되고, 배가 떨어진 사건이 결과가 되는 것이다. 이 두 사건 사이의 시간적 선ㆍ후에 대한 파악을 포기할 것인가, 아니면 이 두 사건 사이에 억지로 인과성을 부여할 것인가? 칸트가 이런 딜레마적 상황에 놓이게 된 것은 그가 인과성을 잘못 이해하기 때문이다. 인과성에 대해 칸트는, 어떤 경우 우리가 두 사건을 인과적인 것으로 보는가에 초점을 맞추지 않는다. 칸트는 인과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이해하는 것이다. 즉 “모든 사건들은 원인을 가진다.” 이렇게 접근하게 되면, 어떤 사건 쌍은 인과적이고, 어떤 사건 쌍은 그렇지 않은지를 가려낼 수 없다. 칸트는 자신의 기획을 완성하기 위해(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인과성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지만, 결국 실패하는 것으로 보인다. In this paper, I advocate Hume’s theory of causality and criticize Kant’s alternative theory of this theory. Hume argues that if pairs of spatio-temporally adjacent events occur repeatedly in a pattern, we infer that the pairs are causal. Once you understand Hume’s analysis of causality, you have a standard for distinguishing between causal and non-causal event pairs. The criterion is whether a pattern is formed repeatedly or not. Kant is not doing the work that Hume is doing. He cannot distinguish between a causal event pair and a non-causal. And the reason why these two pairs of events cannot be distinguished is that Kant insists that a causal relationship must be applied in order to be able to grasp the temporal order. Kant’s argument is that if the law of causality is not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crow flies and the pear falls, it is impossible to determine which event comes first. However, if we apply the causal law to these two events to determine the temporal order, the two events are causally linked. The crow event is the cause, and the pear event is the result. Will we give up the understanding of the temporal order between the two events, or will we force the causality between the two events? Kant was placed in this dilemma because he misunderstood causality. When it comes to causality, Kant does not approach the case in which we see both events causally. His approach to causality begins with the understanding that “all events have a cause.” With this approach, it is impossible to identify which event pair is causal and which event pair is not. Kant tries to analyze causality to complete his project, but eventually fail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